{{{+1 角山驛 / Gaksan Station}}} ||<-3> {{{+2 '''각산역'''}}} [br](속안심내과연합의원) || ||<-3> [[대구 도시철도 1호선|[[파일:Daegu1.svg|width=30]]]] || || [[설화명곡역|{{{#!html
설화명곡 방면}}}]][[반야월역|반야월]][br]← 1.0 ㎞ || [[대구 도시철도 1호선|{{{#!html
1호선
(145)
}}}]] || [[안심역|{{{#!html
안심 방면}}}]][[안심역|안 심]][br] 0.9 ㎞ → || ||<-3>{{{#!wiki style="margin: -5px -10px -11px" [include(틀:지도, 장소=각산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Gaksan || || [[한자]] ||<-2><|2> 角山 || || [[간체자]] || || [[가나(문자)|가나]] ||<-2> [ruby(角山, ruby=カクサン)] || ||<-3> '''주소''' || ||<-3> [[대구광역시]] [[동구(대구광역시)|동구]] 안심로 지하363 ([[신서동]]) || ||<-3> '''관리역 및 고객센터''' || ||<-3> 신기관리역 / 1고객센터 || ||<-3> '''운영 기관''' || || [[대구 도시철도 1호선|{{{#ffffff 1호선}}}]] ||<-2> [[대구교통공사|[[파일:대구교통공사 로고.svg|width=180]]]] || ||<-3> '''개업일''' || || [[대구 도시철도 1호선|{{{#ffffff 1호선}}}]] ||<-2> 1998년 5월 2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2층(심도 13.3m)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불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145번, [[대구광역시]] [[동구(대구광역시)|동구]] 안심로 지하363 ([[신서동]]) 소재. '''[[동구(대구광역시)|동구]] 동호지구'''의 대표역으로 역 북쪽은 안심공업단지, 역 남쪽은 동호지구 신도시가 있다. 출구는 모두 하양 방향에만 설치되어 있으며, 역명과 달리 신서동에 있다. 진짜 각산동은 역에서 한참 북쪽의 반야월 구길에 있다. 역명은 지명을 따라 제정되었다. 쇠뿔 모양의 바위가 있었다고 하여 소바우 또는 우암곡이라 하였는데, 구한말인 [[1907년]] 이 곳에 부임한 현감 송헌면(宋憲冕)이 이 곳의 지명이 자신의 조상인 우암 [[송시열]]의 [[피휘|호와 같다 하여]] 소 우(牛)의 뿔 각(角)과 바위 암(岩)의 산 산(山)을 따서 각산동으로 고쳐 불렀다. 정작 각산역의 실제 소재지는 각산동이 아닌 '''[[신서동]]'''이며, 출구 4개 모두 신서동에 있다. 진짜 각산동은 1번출구로 나온뒤 횡단보도를 건너가면 각산동이고, 그 북쪽으로 반야월 구길(반야월로) 및 [[대구신서혁신도시]]에 있다. 각산역에서 각산동으로 가려면 [[대구 버스 북구3|북구3번]], [[대구 버스 동구2|동구2번]], [[대구 버스 동구4, 동구4-1|동구4(-1)번]], [[대구 버스 동구7|동구7번]](혁신도시 안쪽)을 이용해야 한다. == 역 정보 ==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 지나는 반야월 신길(안심로)에는 [[시내버스]] 노선이 구길(반야월로)에 비해 적은데, '''개통 당시에는 각산역 앞으로 운행하는 시내버스가 단 하나도 없었다.''' 그래서 개통 이후에도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의 [[마곡역]] 못지않을 정도로 주변에 아무것도 없어서 매우 한산한 역이었다. 시내버스는 [[2004년]]부터 [[대구 버스 628|628번]]을 시작으로 각산역 쪽으로 다니기 시작했다. 물론 이 역 일대에서도 비행기가 서변동처럼 착륙시 아파트와 가깝게 날아오는 관계로[* [[용계역]] 쪽으로 꺾는다. [[대구부산고속도로]] [[동대구JC]] 및 [[동대구IC]] 근처에서는 랜딩하는 여객기를 볼 수 있다. 그래서 [[용계역]] 역시 이용률이 낮다.], '''층수가 조금 낮다.''' [[이마트 반야월점]]은 지하철 [[반야월역]]이 아니고 각산역에 내려야 한다. 하지만 1km를 건강삼아 걷고 싶다면 [[반야월역]]에 내려도 된다. 각산역에서 강동중고교 방향의 남쪽으로 15~20분 정도 걸어가면 [[대구선]] [[금강역]]이 나온다. 하지만 영업은커녕 승차권 발매도 안 된다. 대구경북지방병무청도 안심역에서 하차하는 것이 아니라 각산역에 내려서 4번 출구 앞에서 택시를 타고 가야 한다. 안심역이 가깝긴 하지만 거기는 각산역에 비해 택시가 잘 잡히지 않기 때문. 8분 소요. 요금은 3,600원이다. 한때 이곳에 전시된 그림이 [[세월호]] 희생자를 비하하는 그림으로 오인되어 [[마녀사냥]]당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자세한 사항은 [[각산역 상명대 특선 그림 논란]]을 참고. 최근 각산역에 [[이마트24]]가 입주했다. 이로써 각산역에도 편의점이 하나 들어서게 됐다. 1번 출구 인근에 [[대구동부경찰서]]가 있다. 2020년 기준 1번출구 앞에 커다란 안경점이 생겼다. 2020년 7월 6일에 행정동이 분동되면서 안심3동 임시청사가 2, 3번 출구에 생겼다. 2022년 6월에 부역명인 속안심내과의원이 삭제되었다, 하지만 2023년 9월 21일 부역명 속안심내과연합의원으로 새로 변경되었다. 출입구가 사거리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몰려 있는데 [[대구교통공사]]에 따르면 국비를 지원 받아 [[현충로역]] [[신기역(대구)|신기역]]과 함께 편측 출입구를 개선할 예정이라고 한다.[[http://www.idaegu.com/newsView/idg202211210048|#]] == 일평균 이용객 == 각산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대구 도시철도 1호선|[[파일:Daegu1.svg|width=25]]]] || {{{#ffffff '''비고'''}}} || ||<^|1><-3>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1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1년 || 794명 || || || 2002년 || 1,252명 || || || 2003년 || 1,960명 || || || 2004년 || 6,056명 || || || 2005년 || 7,208명 || || || 2006년 || 7,348명 || || || 2007년 || 7,312명 || || || 2008년 || 7,700명 || || || 2009년 || 7,396명 || ||}}}}}}}}} || || 2010년 || 7,586명 || || || 2011년 || 7,857명 || || || 2012년 || 8,024명 || || || 2013년 || 8,047명 || || || 2014년 || 8,391명 || || || 2015년 || 8,469명 || || || 2016년 || 8,578명 || || || 2017년 || 8,585명 || || || 2018년 || 8,474명 || || || 2019년 || {{{#d93f5c 8,888명}}} || || || 2020년 || 6,117명 || || || 2021년 || 6,795명 || || || 2022년 || 7,432명 || || ||<-3> {{{#ffffff '''출처'''}}} || ||<-3> {{{#!wiki style="margin: -0px -10px" [[https://www.dtro.or.kr/index.do?menu_link=/icms/bbs/selectBoardList.do|대구교통공사[br]사전정보 공개게시판]]}}} ||}}} * [[2000년]] 이전의 승객 수 자료 없음 [[1998년]] 개통 첫 해에는 1일 평균 승차 인원이 300명도 되지 않을 정도로 적었다. 지금도 [[이마트 반야월점]] 앞을 지나는 시내버스 노선은 [[대구 버스 518|518번]]과 [[대구 버스 518-1|518-1번]]밖에 없다.[* 다만 이마트 반야월점 뒤로는 시내버스가 많은 구길이 있어서 신서네거리(녹원맨션) 정류장을 이용하면 된다.] 하지만 각산역의 영업 개시 후 개발을 시작한 [[안심지구#s-2.1.3|동호지구]] [[아파트]] 단지가 [[2004년]]에 입주를 시작했고, 이마트 반야월점도 같은 해 [[8월 31일]]에 오픈하면서 이용객이 본격적으로 증가했다. 이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2호선]] [[대실역]]과 비슷한 사례이다. [[신서동]] 롯데캐슬레전드 [[아파트]] 등 동호지구 신도시 주민들이 이 역을 먹여 살릴 정도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동호지구 신도시에서 이용하는 승객이 압도적인지라 사실상 동호지구의 대표역이다. == 승강장 == [[파일:각산역 승강장.jpg|width=100%]] 각산역 승강장 [[파일:각산역 안내도.png]] [br] 역 안내도 ||<-4> [[반야월역|반야월]]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안심역|안심]] || || {{{#ffffff 상}}} ||<|2> [[파일:Daegu1.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동대구역(도시철도)|동대구]]·[[중앙로역(대구)|중앙로]]·[[반월당역|반월당]]·[[설화명곡역|설화명곡]] 방면|| || {{{#ffffff 하}}} ||[[안심역|안심]] 방면|| == 연계 교통 == 각산역 1번출구 정류장은 1번 출구로부터 횡단보도를 포함해 무려 200m나 떨어져 있다. || 정류소 || 시내버스 || || 각산역(1번출구) || [[대구 버스 518|518]], [[대구 버스 618|618]], [[대구 버스 849, 849-1|849, 849-1]] || || 각산역(2번출구) || 518, [[대구 버스 518-1|518-1]], 618, 849, 849-1 || || 동호육교1 || 518-1, 618, 849, 849-1, [[대구 버스 동구2|동구2]], [[대구 버스 동구4, 동구4-1|동구4]], [[대구 버스 동구7|동구7]], [[대구 버스 북구3|북구3]] || || 동호육교2 || 618, 849, 849-1, 동구2, 동구4-1, 동구7, 북구3 || == 여담 == 일부 버스정류장에 있는 [[대구 버스 618|618번]] 노선안내도에, 각산역이 '''긱'''산역으로 잘못 표기되어 있다. [각주] == 둘러보기 == [include(틀: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역 목록)] [[분류:1998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대구 도시철도 1호선]][[분류:대구광역시의 지하철역]][[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