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가톨릭관동대학교 로고.svg|width=20]] {{{#006277 '''가톨릭관동대학교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학교법인 인천가톨릭학원)] ---- [include(틀:강원특별자치도의 대학)] ---- [include(틀:강릉시의 대학)] ---- [include(틀:대한민국의 가톨릭 산하 대학교)] ---- [include(틀:한국가톨릭계대학총장협의회)] ---- [include(틀:ABEEK 인증대학)] ---- [include(틀:KAAB 인증대학)] ---- [include(틀:링크플러스 사업단)] ---- [include(틀:링크3.0 사업단)] }}} || ---- [include(틀:가톨릭관동대학교)] ||<-3> {{{+1 '''가톨릭관동대학교'''}}}[br]'''天主敎關東大學校'''[br]'''CATHOLIC KWANDONG UNIVERSITY ''' || ||<-3> [[파일:가톨릭관동대학교 로고.svg|align=center&width=230]] || ||<-2> '''교훈''' ||'''진실(眞實, VERUM)''' || ||<|5> '''상징''' || '''동물''' ||[[거북이]] || || '''교목''' ||[[소나무]] || || '''교화''' ||[[산수유]] || || '''교색''' ||{{{#006277 '''CKU BlueGreen'''}}} || || '''슬로건''' ||'''미래가치를 디자인하는 창의실용교육 중심대학''' || ||<-2>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분류''' ||[[사립대학]] || ||<-2> '''개교''' ||[[1955년]] [[4월 25일]] '''관동대학교''' ^^([[명지학원]])^^ [br][[2014년]] [[9월 1일]] '''가톨릭관동대학교''' ^^(인천가톨릭학원)^^ || ||<-2> '''총장''' ||제5대 김용승 박사[* 가톨릭대학교 경제학과 명예교수. 前 가톨릭대학교 부총장, 前 대통령비서실 교육문화수석비서관.] || ||<-2> '''행정처장''' ||신대근(마르코) 신부[*인천교구 [[천주교 인천교구|인천교구]] 소속] || ||<-2> '''감사실장''' ||박종훈(요셉) 신부[*인천교구 [[천주교 인천교구|인천교구]] 소속] || ||<-2> '''법인''' ||[[천주교 인천교구|학교법인 인천가톨릭학원]] || ||<-2> '''대학병원''' ||[[가톨릭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 || ||<|2> '''주소''' || '''강릉'''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범일로579번길 24 (내곡동) || || '''--양양--'''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양양읍]] 거마천로 120[* 실제로 쓰이지는 않는다.]-- || ||<|2> '''재학생''' || '''학부생''' ||6,856명^^(2022년)^^ || || '''대학원생''' ||475명^^(2022년)^^ || || '''교직원''' || '''전임교원''' ||420명^^(2022년)^^ || ||<-2> [[대학기본역량진단|{{{#ffffff '''대학기본역량진단'''}}}]] ||일반재정지원 미선정 대학^^(2021년)^^ || ||<-2> '''웹사이트''' ||[[https://www.cku.ac.kr/sites/cku/index.d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2> '''소셜 미디어''' ||[[https://www.instagram.com/cku_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www.facebook.com/pinecku|[[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channel/UCgPgGZhShF9YR09wYeCDwe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blog.naver.com/ckufund|[[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hite {{{#!folding [ 지도 펼치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가톨릭관동대학교, 너비=100%)]}}} || }}}}}}}}}}}} || [목차] [Clearfix] == 개요 == '''가톨릭관동대학교 - CATHOLIC KWANDONG UNIVERSITY'''({{{#006277 '''CKU'''}}})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에 위치한 4년제 [[종합대학교]]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가톨릭관동대 마리아관.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가톨릭관동대 창조관.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19c, #006276, #006276, #00819c)" '''마리아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19c, #006276, #006276, #00819c)" '''창조관'''}}} ||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4pJ06e2kChw, 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19c, #006276, #006276, #00819c)" '''가톨릭관동대학교 홍보영상 (2023년)'''}}} || == 소개 == 1955년 설립된 관동의숙을 모체로 한다. 이후 1959년 4년제 대학교로 인가받음과 동시에 교명을 관동대학으로 바꿔 달았다. 관동대학교 시절을 포함하여, 가톨릭관동대학교는 강원도 영동 지방에서 가장 오랜 기간 종속된 4년제 대학교이다.[* 강릉원주대학교가 '강릉사범학교'로 1946년에 개교하여 역사는 더 긴 편이나 4년제 대학으로서는 관동대가 더 길다.] 지방 사립 중에 역사가 상당히 오래된 축에 속하고, '관동'이라는 교명을 개교 직후부터 유지하고 있다. 인천가톨릭학원도 학교를 인수하면서 '관동'이라는 이름을 유지하는 편을 택했는데, 이 편이 인지도 면에서도 유리하다고 본 듯.[[https://www.news1.kr/articles/1638731|#]] 인근에 위치한 대학들로는 [[국립대학]]인 [[강릉원주대학교]]와 [[전문대학]]인 [[강릉영동대학교]]가 있다. 현재 학교의 운영은 학교법인 인천가톨릭학원[* [[천주교 인천교구]] 산하]에서 맡고 있다. 이전에는 [[명지대학교]]를 운영하는 학교법인 [[명지학원]][* [[개신교]]계 재단이다.]이었다. 그러나 이전 법인은 재정난으로 인해 학교, 그 중에서도 [[의과대학]]의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고[* 특히 협력병원이던 [[명지병원]]을 매각하였는데, 인수한 곳(인천사랑병원)에서 인수 대금을 안 줘서 죽 쒀서 개 준 꼴이 되었다. 물론 명지병원 자체가 빚이 워낙에 많았던 것을 감안해야겠지만.], 교내는 물론 지역 사회에서도 학교 부실화에 대한 우려가 터져나왔다. 결국 2014년에 [[천주교 인천교구]]로 학교가 인수[* 비영리법인인 학교법인은 매매의 대상이 될 수 없기에 형식은 무상기증이었지만, 명지학원에 인천가톨릭학원 측이 기부금을 주는 형식으로, 사실상의 매매이다. 단지 기부금이기에 명지학원 측도 교육사업에만 쓰여야 한다는 제한이 걸린 정도라고 보면 된다.]되었다. 따라서 이제는 [[명지학원]]과 전혀 관련이 없는 대학이며, 이 때문에 관동대는 개신교계 [[미션스쿨]]이 [[가톨릭|천주교]]계 미션스쿨로 전환된 국내 유일의 사례가 되었다. 2015년 2월에 졸업하는 11학번 및 복학생들이 사실상 1회 졸업생이라 할 수 있다. 2014년 6월 30일, 교육부로부터 인천가톨릭학원의 관동대학교 인수가 승인이 되었다. 같은 해 7월과 8월에 교명을 변경하고 새로운 UI를 작업하는 등 행정적/실무적 내용 변경을 진행했으며, 9월 1일부터 가톨릭관동대학교가 정식으로 출범하였다. 가톨릭관동대학교가 개교됨과 동시에 舊 관동대학교는 폐교되었다. 물론 교직원, 학생, 모든 자산은 가톨릭관동대학교로 이어지게 된다.[[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4/09/01/0200000000AKR20140901072400062.HTML?input=1179m|#]] 인천가톨릭학원의 학교 인수 후, [[인천교구]]는 의과대학의 부속병원으로 [[인천광역시]] 서구에 새로 설립한 [[국제성모병원]]을 무상 기증했으며, 국제성모병원 내의 수익사업을 대학으로 이전했다고 밝혔다. 또한 수익용 기본 자산과 법인의 법정분담금을 포함해 천억 원 이상을 대학에 신규 투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창조관 건축과 강릉하키센터 인수, 강의실 리모델링 등을 통해서 시설이 개선되었다.] == [[가톨릭관동대학교/역사|역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가톨릭관동대학교/역사)] == 역대 총장 == === 관동대학 === ||<-4> {{{#006277 '''관동대학의 역대 총장'''}}} || || '''순번''' || '''성명''' || '''임기''' || '''비고''' || || '''초대''' || 최병원 || 1959.04.13. ~ 1961.05.01 || 정식대학 인가 || || '''제2대(서리)''' || William Garfield || 1961.05.02. ~ 1963.02.27. || 복음주의동맹선교회 인수 || || '''제3대''' || David Livingston Jr || 1963.02.28. ~ 1969.07.03. || || || '''제4대''' || John Rathbun [* 선교사] || 1969.07.04. ~ 1971.04.25. || || || '''제5대''' || 이계원 || 1971.04.26. ~ 1974.10.16. || 명지학원 인수 || || '''제6대''' || 김영돈 || 1974.10.17. ~ 1983.02.28 || || || '''제7대''' || 최향규 || 1983.03.01. ~ 1985.08.31 || || || '''제8대''' || 동홍욱 || 1985.09.01 ~ 1985. || || || '''제9대''' || 김남득 || 1986. ~ 1986.12. || || || '''제10대(서리)''' || 이계원 || 1986.12.19. ~ 1987.01.31 || || || '''제11대''' || 백영철 || 1987.02.01 ~ 1989.02.20 || 관동대학교 초대 총장 || === 관동대학교 === ||<-4> [[파일:명지나무.svg|width=20]] {{{#006277 '''관동대학교의 역대 총장'''}}} || || '''순번''' || '''성명''' || '''임기''' || '''비고''' || || '''초대 ~ 3대''' || 백영철[* 1938년생, 평안북도 용천군 출신으로 관동대학교 최장기 재임 총장이었다. 이후 [[대전과학기술대학교]](舊 혜천대학) 총장과 이북5도위원회 평안북도지사 역임.] || 1989.02.21. ~ 2001.02.28 || 종합대학으로 승격 || || '''제4대''' || [[유병진]][* 1951년생, 現 [[명지대학교]] 총장으로 사학 비리로 실형을 선고 받은 [[유영구]] 前 명지학원 이사장의 동생이다.][* 1978년부터 1990년까지 본교 경영학과 교수 역임.] || 2001.03.01. ~ 2005.02. || || || '''제5대''' || 한동관[* 1939년생,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명예교수 출신으로, [[강남세브란스병원]]장(1992~1996)과 [[연세대학교 의료원]]장(1996~2000)을 거쳐 2001년 9월부터 2005년 2월까지 관동대학교 의무부총장 역임. 완전히 일선에서 물러나고 관동대 석좌교수와 연세대 명예교수로 활동하다 2013년 2월 2일 별세.] || 2005.03.01. ~ 2009.02.28 || || || '''제6대''' || 박희종[* 1950년생, 명지대학교 국제통상학과 명예교수 출신으로 사회과학대학장, [[명지병원|명지의료원]]장을 거쳐 부임.] || 2009.03.01. ~ 2013.02.28 || || || '''제7대''' || [[이종서]][* 1955년생, 교육부 고위관료 출신으로 교육인적자원부 차관을 끝으로 공직을 떠났다. 이후 한국교직원공제회 이사장, 관동대 총장을 거쳐 대전대학교 총장과 꽃동네대학교 총장 역임.] || 2013.03.01. ~ 2014.08.31 || 가톨릭관동대학교 초대총장 || === 가톨릭관동대학교 === ||<-4> [[파일:가톨릭관동대학교 로고.svg|width=20]] {{{#006277 '''가톨릭관동대학교의 역대 총장'''}}} || || '''순번''' || '''성명''' || '''임기''' || '''비고''' || || '''초대''' || [[이종서]] 박사 || 2014.09.01. ~ 2015.03.20. || [[천주교 인천교구]]로 경영권 이전 || || '''제2대''' || 천명훈(프란치스코) 박사 || 2015.03.25. ~ 2018.09.11. || 중도 사퇴[* 대학역량진단평가 결과 등을 이유로 자진 사퇴. 이후 김영인 의무부총장이 총장 직무 대행 역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장, 의무부총장 역임. 이후 국제성모병원장을 거쳐 14년 9월에 의무부총장으로 임명되었고, 이후 총장 임명.] || || '''제3대''' || 황창희(알베르토) 신부 || 2018.12.01. ~ 2021.10.15. || 現 계산동성당 주임[* 대학 3주기 기본역량진단 결과에 대한 책임 등을 이유로 총장 자진 사퇴] || || '''제4대''' || ~~김덕현(그레고리오) 박사~~ || 2021.11.01. ~ 2022.12.01. || 자진사퇴 형식으로 경질[* 모종의 이유로 인해 2022년 11월 19일 인천가톨릭학원 190차 이사회에서 직무정지 결의. 김덕현 前 총장은 2022년 12월 1일부로 사표 수리.][* 본래 총장 유고 시 부총장이 직무대리를 맡아야 하나, 교학부총장, 의무부총장 모두 공석이었다. 그래서 이사회의 의결을 통해 후임 김용승 총장 선임 이전까지 인천가톨릭학원 윤만용 사무총장이 가톨릭관동대학교 총장 직무대행을 역임.] || || '''제5대''' || 김용승(스테파노)박사 || 2023.01.16. ~ 2027.01.15. || 現 총장[* 前 대통령비서실 교육문화수석비서관, [[가톨릭대학교]] 부총장, 경제학부 명예교수 역임.] || == 심볼 및 상징 == === 심볼 === || [[파일:명지나무.svg|align=center&width=100]] || [[파일:가톨릭관동대학교 로고.svg|align=center&width=100]] || || '''관동대학교 시절의 로고''' || '''가톨릭관동대학교의 로고''' || 명지학원 시절에는 [[명지대학교]]와 같은 로고를 썼으나, 재단이 바뀌면서 새 로고로 교체된다. 가톨릭관동대학교를 상징하는 새로운 로고는 견고하고, 강인한 방패를 연상시키는 거북이의 형상 속에 [[가톨릭]] 정신과 학문추구, 이상적 인재상이 어우러진 모습으로 디자인되었다. 학문의 전당을 뜻하는 책 속에는 타우[[십자가]]의 형상과 [[라틴어]] (진실)VERUM이 더해져 가톨릭 정신 뿐만 아니라 진실 추구에 대한 자유와 의무까지 치우침 없는 균형을 이루고 있다. 또한 CKU(Catholic Kwandong University) 아래 새겨진 사람의 형상은 이성적인 머리와 넓게 펼친 두 팔로 가치를 포용하며 새 시대를 여는 새로운 인재의 탄생을 기대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 상징 === ||<-2> [[파일:가톨릭관동대학교 로고.svg|width=20]] {{{#006277 '''가톨릭관동대학교의 상징'''}}} || ||<-2> '''마스코트 : 거북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가톨릭관동대_거북이.png|width=100%]]}}} ||거북이는 서두르지 않고, 동요되지 않는다. "토끼와 거북" 우화에서도 거북이는 경쟁하기 위해 꾀를 부리지도, 욕심 부리지도 않는다. 거북이는 경쟁적으로 결과에 도달하려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진리를 향해 천천히 나아감으로써 급변하는 세계에서, 혼란한 이념 속에서도 길을 잃지 않는 가톨릭적 리더의 자질을 보여준다. || ||<-2> '''교화 : 산수화(산수유꽃)'''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가톨릭관동대_산수유.png|width=100%]]}}} ||산수화의 꽃말은 영원한 사랑, 지속과 불변이다. 산수화의 낱낱의 꽃송이는 겸손하지만, 무리를 지어 조화롭고 당당하게 그 모습을 드러내는 것이 가장 큰 매력이다. 산수화는 혹독한 시련 끝에서 노란색의 꽃망울을 터뜨리며 불멸의 희망을 선사하는 응원의 메시지이다. || ||<-2> '''교목 : 소나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가톨릭관동대_소나무.png|width=100%]]}}} ||소나무의 변함없이 꼿꼿하고 기개 있는 모습은 시시각각 변화하는 세상에서도 그 자신의 고고한 본성을 지키려는 사람에 빗대어진다. 애국가에서도 소나무는 바람과 서리에도 불변하는 우리의 기상을 나타내고 있다. 땅 속을 움겨쥔 깊고 단단한 뿌리처럼 가톨릭관동대학교 또한 흔들림없는 근간을 갖출 것이며, 소나무의 사계절 푸른 기상을 이어받아 언제나 가톨릭적 청년정신으로 시대에 참여하고,불의에 맞서 나갈 것이다. || == [[가톨릭관동대학교/캠퍼스|캠퍼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가톨릭관동대학교/캠퍼스)] == [[가톨릭관동대학교/학부|학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가톨릭관동대학교/학부)] == [[가톨릭관동대학교/대학원|대학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가톨릭관동대학교/대학원)] == [[가톨릭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의과대학 부속병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가톨릭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 == 이야깃거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가톨릭관동대학교/이야깃거리)] == 학생활동 == === 총학생회 === === 중앙동아리 === * [[쌍마응원단]] * 히라가나([[일본어]]ㆍ[[일본 문화]]) * 아이솔(농구) * [[한국기독학생회|IVF]]([[개신교]]) * [[한국대학생선교회|CCC]](개신교) * [[JDM]](개신교) * [[DFC]](개신교) * 헌음선교단(개신교) * 킥스(풋살) * 싸카(축구) * 시각사진예술연구회 * 꾼(댄스) * 하슬라(밴드) * 레오(봉사) * SH(당구) * 세이버즈(야구) * 드라이브(탁구) * 매치포인트(배드민턴) * 엑시트(클라이밍) * 가톨릭학생회([[가톨릭|천주교]]) * RCY * 또래상담동아리 * 스매싱(테니스) * 클라이밍(산악) * SUS4(버스킹) * 여섯줄안에서(밴드) * 프리기어(자전거) * 웰던(요리) * 청룡회(해병전우회) * 욜로(여행) * 페이트(밴드) * 유스호스텔(여행) * 도라도(스킨스쿠버) * 청송검우회([[검도]]) * 여섯줄안에서(버스킹) * 힙합클래식(힙합) * FC허슬(여자풋살) * 180도(치킨) * 청송검우회(검도) * 더믹스(댄스) * 관노(가면극, 사물놀이) === [[가톨릭관동대학교 축구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가톨릭관동대학교 축구부)] == [[가톨릭관동대학교/출신인물|출신 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가톨릭관동대학교/출신인물)] == [[가톨릭관동대학교/사건사고|사건사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가톨릭관동대학교/사건사고)] [[분류:가톨릭관동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