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달성군의 읍면)] ||<-2> '''[[달성군|{{{#000000,#dddddd 달성군}}}]]의 [[면(행정구역)|{{{#000000,#dddddd 면}}}]]'''[br]'''{{{+1 가창면}}}'''[br]嘉昌面 | Gachang-mye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달성군 가창면,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대구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달성군]] || || '''행정표준코드''' || 3480022 || || '''관할 법정리''' || 12리 || || '''하위 행정구역''' || 27행정리 123반 || || '''면적''' || 111.33㎢ || || '''인구''' || 7,280명[* 2024년 1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65.39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달성군'''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추경호]] ,,(재선),, || ||<-2> '''대구광역시의원 | 제1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하중환]] ,,(초선),, || ||<-2> '''달성군의원 | 가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신달호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전홍배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가창로 1100 (용계리 82) || || [[https://www.dalseong.daegu.kr/gachang/index.do|가창면 행정복지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대구광역시]] [[달성군]] 동부에 위치한 [[면(행정구역)|면]]. 면적은 111.33㎢으로 달성군의 읍, 면들 중 가장 넓다. 동쪽으로는 [[경상북도]] [[경산시]], 서쪽으로는 [[달성군]] [[화원읍]], [[논공읍]], [[옥포읍]], 남쪽으로는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및 [[이서면(청도)|이서면]]과 접해 있고, 북쪽으로는 [[수성구]] [[파동(대구)|파동]]에 접해 있다. 조선 건국 직후까지는 지금의 대구광역시 수성구, 남구 일대에 있던 옛 현인 수성현의 일부였던 곳으로 1419년 수성현이 대구군에 편입된 이래로 대구도호부(1466년 승격)의 일부가 된 상태로 내려오다가, 1914년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대구부 교외 지역과 [[현풍군]]이 합쳐져 달성군이 신설되면서 달성군에 속하게 되었고 이때 기존 대구부 상수서면, 상수남면, 하수남면이[* 면명에 공통적으로 수(守)가 들어가는데, 수성현을 대구에 편입하면서 수성현 지역을 수현내면, 수북면, 수동면, 상수서면, 하수서면, 상수남면, 하수남면의 7개 면으로 쪼갠 것이다.] 가창면으로 통합되어 만들어졌다. 1957년에는 대구시에 편입되어 폐지되었다가 1963년에 달성군으로 환원되면서 다시 생겨났고, 1995년 달성군이 대구광역시에 재편입되면서 다시 대구에 속하게 되었다. == 지리 == 지리적으로 다른 달성군의 동네와 꽤 차이가 크다. [[낙동강]]으로 인해 넓은 충적 평야가 형성되어 있는 [[달성군]]의 다른 동네와 달리, 가창면은 거의 산지로 이루어져 있다. [[신천(대구)|신천]] 상류가 면 가운데를 지나며, 그 주위에 약간의 평지가 있을 뿐이다. 역사적으로도 달성군의 다른 읍면들은 옛 [[현풍군]] 소속이거나, 조선 전기~중기까지의 화원현, 하빈현과 연계된 지역인 것과 달리, 가창면은 달성군의 읍면 중 유일하게 수성현과 연계된 지역이다. 지도상으로는 [[달성군]]의 타 [[읍(행정구역)|읍]], [[면(행정구역)|면]]과 붙어 있지만, 중간에 [[비슬산]], [[최정산]] 같은 큰 산들이 이들 사이를 막고 있어서 [[달성군]]의 다른 동네로 가려면 대구시내 다른 자치구를 무조건 거쳐야 하는 [[월경지]]이다. 이로 인해 주소상으로만 달성군일 뿐 실질적으로는 수성구 생활권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직접적으로 다른 달성군 지역과 연결되어 있지는 않지만 [[파동IC]] 기준으로 서로는 [[앞산터널]]이 [[상인동]], [[달성군]] [[화원읍]]으로의 이동을, 동쪽은 [[범물터널]][* 이 터널을 통과하면 나오는 [[범안로(대구)|범안로]]를 통해 수성구 연호동이나 더 나아가 동구 율하동, 안심동으로의 이동도 교통상황만 원활하다면 10분 내외로 이동이 가능하다.]이 [[범물동]]으로의 이동을 빠르게 해준다. == [[수성구]]와의 연관성 == 가창면은 예전부터 사실상 [[수성구]] [[파동(대구)|파동]]과 붙어 있었다. 파동도 원래 가창면 관할이었기 때문에 가창면은 거의 수성구 생활권을 같이 공유하고 있다. 전화 [[국번]]도 상동 쪽의 국번(760번대)을 쓰고, 우편도 수성[[우체국]] 관할이다. 학군도 달성군의 다른 지역과 다르게 [[중구(대구광역시)|중구]], [[동구(대구광역시)|동구]], [[북구(대구광역시)|북구]], 수성구와 같이 1학군에 편성되어 있다. 아예 1957년에는 [[달성군]]에서 대구시로 편입되어 '''[[동(행정구역)|동]]''' 지역이기도 했다. [[경상북도]]의 경우는 1988년 이전까지 [[읍(행정구역)|읍]]·[[면(행정구역)|면]] 지역에도 밑에 동이 있는 곳이 많았다. 하지만 이쪽은 정말 대구시 산하의 동으로 편입된 경우이다. 만약에 [[수성구]] 편입이 성사될 경우 가창면은 다시 동으로 전환된다. 1963년 [[파동(수성구)|파동]]을 제외하고 [[달성군]]으로 환원되고 면이 다시 설치되어 현재에 이른다. 이 당시 마찬가지로 시의 동으로 편입되었다 면으로 환원된 곳으로 같은 군의 공산면(현 [[동구(대구광역시)|동구]] [[공산동]]), 월배면(현 [[달서구]] [[월배]] 지역), 성서면(현 달서구 [[성서(대구)|성서]] 지역), 광산군(현 [[광주광역시]])의 서창면(현 [[서구(광주광역시)|서구]] 서창동, 금호동, 풍암동), 대촌면(현 [[남구(광주광역시)|남구]] 대촌동)이 있다. 가창면을 제외한 이들은 전부 도시 확대에 의해 동으로 재편입되면서 가창면만이 유일하게 면 입지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가 됐다. [[케이블 방송]] SO의 경우도 다른 달성군 지역은 [[SK브로드밴드]] TCN방송과 [[푸른방송]] 섹터지만, 가창면 지역은 수성구/동구 지역과 마찬가지로 [[LG헬로비전]] 대구방송과 [[CMB]] 대구방송의 섹터에 해당된다. === 수성구 편입? === 이러니 [[수성구]] 편입 떡밥이 수시로 정치권에서 입에 오르내린다. 2020년에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공약으로 나오자 공방이 벌어졌다. [[http://www.idaegu.com/newsView/idg202001280086|#]] [youtube(DC_xSQeGj50)] 2023년 3월 9일 [[홍준표]] [[대구광역시장]]이 가창면의 수성구 편입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달성군]]의 [[월경지]]인 [[다사읍]]과 [[하빈면]]은 [[달성군]] 다른 지역과의 교통이 그리 불편하지 않아 제외했다고 [[청년의꿈]]에서 밝혔다.[[https://theyouthdream.com/24839972|#]] [[홍준표]] [[대구광역시장]]은 [[행정안전부]] 승인과 [[대구광역시의회]] 의결 등 절차가 복잡하므로 조율이 필요하다고 하며 [[군위군]]이 [[대구광역시]]로 [[군위군의 대구광역시 편입|편입]]될 때 불합리한 행정구역을 재조정하는 차원에서 검토하는 것이라 말했다. [[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230309010001300|#1,]] [[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230309010001299|#2]] [[홍준표]] [[대구광역시장]]이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의 [[수성구]] 편입을 검토하는 가운데 [[최재훈(정치인)|최재훈]] 달성군수가 이에 반대하는 발언을 내놨다. 2023년 3월 24일, [[달성군]]에 따르면 [[최재훈(정치인)|최재훈]] 달성군수는 지난 23일 수성구 편입 반대 주민들과의 비공식 간담회에서 “가창면을 잃어버린 군수가 되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88/0000805072?sid=102|#]] 주민 의견 수렴도 없는 갑작스러운 [[행정구역 개편/대구경북#가창면의 수성구 편입|행정구역 개편]] 소식에 부동산 시장은 혼란해지고, 찬반 주민 사이 갈등의 골도 깊어지게 되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52/0001865054?sid=102|#]] 만약 가창면이 [[수성구]]로 편입된다면 [[수성구]]의 면적은 187.87㎢로 [[동구(대구광역시)|동구]]의 면적 182.15㎢를 뛰어넘어 [[대구광역시]] 자치구 중 가장 넓은 면적을 가지게 된다.[* 전국 최대 면적 자치구 타이틀의 [[광주광역시]] [[광산구]]의 222.78㎢에는 다소 못 미친다.] [[https://m.khan.co.kr/local/Daegu/article/202303232215005/?utm_source=khan_rss&utm_medium=rss&utm_campaign=total_news|#]] 2023년 3월 24~26일 여론조사 결과, 가창면 주민의 65.3%가 [[수성구]] 편입을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88/0000805427?sid=102|#]] 가창119안전센터 역시 [[수성소방서]] 관할이다. [[2023년]] [[5월 17일]], [[대구광역시]]는 [[달성군]] 가창면의 [[수성구]] 편입을 위해 [[대구광역시의회]] 동의를 얻는 절차에 들어간다. 2023년 6월 개최되는 [[대구광역시의회]] 정례회에 '경계변경 조정신청 동의안'을 제출할 예정이라고 밝혔으며, [[대구광역시의회]]는 해당 안건을 6월 정례회 상임위원회와 본회의에 상정, 동의 여부를 확인한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88/0000814848?cds=news_edit|#]] [[2023년]] [[5월 30일]], 가창면 수성구 편입 설명회는 편입 찬성파와 반대파끼리 서로 충돌하는 일까지 벌어져 중단되기도 했다. [[2023년]] [[6월 2일]], [[대구광역시]]는 '대구광역시 수성구와 달성군의 관할구역 경계변경 조정 신청에 대한 동의안'을 [[대구광역시의회]]에 [[http://www.h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517324|제출했다]]. 그러나 주민과의 갈등을 [[https://youtu.be/rDGArc11FqE|피할 수 없었다]]. [[대구광역시]] 측에서 상황을 설명하려고 했지만, 주민들의 방해 및 반발로 설명회는 50분만에 취소되었다. 이렇게 수성구민과 달성군민 중 어느 한쪽에서도 편입에 대한 확실한 지지를 받지 못했지만 시에서는 계속 편입을 추진했다. 하지만 [[2023년]] [[6월 23일]], [[대구광역시의회]] 기획행정위원회는 '[[대구광역시]] [[달성군]]과 [[수성구]]의 관할구역 경계변경 조정 신청에 대한 동의안'에 대한 안건 심사 후 표결했으며, 재석 의원 6명 중 찬성 1표·반대 5표로 부결되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88/0000821348?sid=100|#]] 이후 최재훈 달성군수는 [[2023년]] [[7월 6일]] 대구·경북 언론인 모임인 '아시아포럼21'의 릴레이정책토론회에서 '정대리와 [[옥포읍]] 반송리를 연결하는 군도 3호선 개통', '가창면민종합복지회관 건립', '면사무소 리모델링', '가창댐 주변 둘레길 조성'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https://www.youtube.com/watch?v=T-UK4kOoW7Q|#]] === 남구 편입? === 매우 마이너한 주장이기는 하지만, 드물게는 수성구가 아닌 남구로 편입하자는 주장도 있다. 일례로 2009년 당시 [[남구(대구광역시)|남구]]에서도 가창면과 파동의 편입을 추진했던 적이 있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8/0000128655?sid=102|#]] == 명소 == 대구 시민들의 휴양지들이 밀집해 있는 곳으로 대표적인 곳이 워터파크인 [[스파밸리]], [[에코테마파크 대구숲]](옛 냉천자연랜드, 허브힐즈, 힐크레스트), [[한국마사회]] TV경마장이 있다. 여름이 되면 [[신천(대구)|신천]]에 물놀이장이 개장하기 때문에 가창으로 가는 차량들이 상당히 많아 여름만 되면 밀리는 현상을 볼 수 있다. 팔공산은 대구시내에서 많이 멀고 [[팔공산]]은 대구 시내와 절대로 가깝지 않다.[* [[동구(대구광역시)|동구]] [[공산동]]의 중심지인 [[지묘동]]에서도 [[팔공산]]은 최소 차로 20분은 더 가야 나올 정도로 멀며 가장 멀리 떨어진 [[능성동]] 등은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다못해 [[대구 도시철도 1호선|대구 1호선]] [[아양교역]]에서 택시 타고 팔공산 동화사지구까지 가는데 택시비가 10,000원 이상 깨진다. 거기다가 [[팔공산]]도 여름만 되면 엄청나게 붐빈다.] [[성주군]][* 아라월드, 포천계곡, 무흘구곡 등... 거기다가 전부 다 접근성이 나쁜 금수 쪽이다.]은 시외라 이 곳을 많이 선택한다. 가창면은 나름 유명한 [[호빵|찐빵]]의 명소다. 가창면의 입구인 [[가창교]]를 지나면 길지는 않지만, 거기서부터 찐빵집들이 주루루룩 늘어서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가창찐빵골목]] 문서 참조. 볼 만한 장소로는 위에서 서술한 냉천리의 [[에코테마파크 대구숲]], 우록리에 있는 녹동서원이 있다. [[스파밸리]]는 영화 [[색즉시공 시즌 2|색즉시공 2]]의 촬영지이기도 하다. == 교통 == === 도시철도^^(예정)^^ === [[대구도시철도 6호선]]^^(구.수성남부선)^^이 추진 중이다. === 시내버스 === || '''달성군 가창면 경유 시내버스'''^^(4번 권역)^^ || || {{{#fff,#1f2023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4px" {{{#white '''급행'''}}}}}}]]}}} || [[대구 버스 급행2|급행2번]] || || {{{#fff,#1f2023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14px" {{{#white '''간선'''}}}}}}]]}}} || [[대구 버스 240|240]] · [[대구 버스 304|304번]] · [[대구 버스 405|405번]] · [[대구 버스 413|413번]] · [[대구 버스 449|449번]] || || {{{#fff,#1f2023 [[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6af30; font-size: 14px" {{{#fff '''지선'''}}}}}}]]}}} || [[대구 버스 가창2|가창2번]] || || '''농어촌(청도)''' || [[청도 버스 0|0번(청도)]] || 대중교통 중 시내버스 같은 경우 [[달성군]]의 타 읍, 면과 비교할 때 면 소재지 치고는 교통편이 아주 좋은 편이지만, [[2003년]]에 윗동네 [[파동(대구)|파동]]에 있었던 시내버스 종점들이 [[파동(대구)|파동]] 재개발로 없어지고 [[스파밸리]] 개장 때 회차지가 생긴 이후의 이야기다. 그 전에는 [[대구 버스 704|704번]][* 그것도 당시에는 요금이 비싼 [[좌석버스]]였다. 2006년 10월에 일반버스로 전환됐다.]만 [[에코테마파크 대구숲]][* 구.냉천자연랜드 - 허브힐즈 - 힐크레스트]으로 항상 다녔고, 그 외 지역은 204번이나 439번을 시간 맞춰서 이용해야 했다. [[청도버스]]와 [[경산버스]]의 시외버스 노선은 그 전에도 항상 다녔다. 그러다가 [[스파밸리]]와 마찰이 생긴 후 시내버스들이 노상에서 대기하다가, 2008년 10월 2일에 시내버스 회차지가 대일리 가창초등학교 건너편으로 이전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이로 인해 대일리까지 교통이 편해졌다. 현재 가창면 구석구석을 이어주는 [[대구 버스 가창2|가창2번]], 대일리까지 운행하는 [[대구 버스 급행2|급행2번]], [[대구 버스 240|240번]], [[대구 버스 413|413번]], [[대구 버스 449|449번]], 그리고 삼산리차고지까지 이어 주는 [[대구 버스 304|304번]], [[대구 버스 405|405번]], 심지어 [[청도군|청도]]까지 이어 주는 [[청도 버스 0|0번]](이서, 풍각)과 [[청도 버스 0|0-1번]](이서, 화양, 청도), [[경산버스]] 시외노선(각북, 풍각)도 다닌다! 웬만한 대구시 주요 장소에 가는 버스노선 정도는 다 있기 때문에 이들 중 아무거나 골라 타고 가도 될 정도로 대중교통이 정말 좋은 편에 속하며 심지어 청도읍으로 가는 버스도 있다! 다만 [[경산버스]]의 시외버스 노선 중 이서 경유 풍각행은 적자로 폐지됐으며, 헐티재(각북) 경유 풍각행만 1일 3회 다닌다.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 개장으로 [[남부정류장]]이 폐쇄된 후 헐티재 경유 풍각행 노선은 용계리로 크게 칼질당했다. 유일하게 가창과 이서를 오고가는 [[청도 버스 0|0번]]은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로 연장되어 정상 운행 중이지만,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이 이전하고 1주일 있다가 기본요금을 올리면서 대구 관내만 이동시에도 구간요금을 만들어 버려 비싸져 버렸다. == 행정구역 == * '''용계리''' 가창면의 중심지가 되는 곳. 면소재지이며, [[수성구]] [[파동(대구)|파동]]과 가창교를 통해 바로 맞닿아 있어서 사실상 [[파동(대구)|파동]]과 같은 생활권을 형성한다. 이 곳에는 [[이스라엘]]에 있는 세계 3대 금속 재벌 기업 IMC그룹 산하의 [[대구텍]](구 대한중석)이 자리하고 있다. 참고로 IMC그룹은 투자의 귀재 [[워렌 버핏]]이 지분을 100% 소유하고 있는 회사다. [[용계교]] 옆길로는 [[앞산]](산성산)으로 가는 등반로가 있다. 대구에는 동구 [[용계동(대구)|용계동]]도 있고, 가창면 용계리도 있어서 헷갈린다. 심지어 과거엔 용계리가 용계동이었기 때문에, 아직도 이 곳 사람들은 용계동이라고 부른다. 실제로 [[대구용계초등학교]]는 가창면 용계리에 있다. [[동구(대구광역시)|동구]] [[용계동(대구)|용계동]]에는 초등학교가 없다. * '''오리''' 용계리와 정대리 사이에 있는 동네다. 가창댐 및 제50보병사단 예하 유격장이 있다. 이곳과 용계리의 경계에 해당하는 단월산 능선과 [[주암산]] 근처에는 국토지리정보원에 등재된 [[특이한 지명|가장 긴 지명]]인 '''[[https://www.yna.co.kr/view/AKR20201006080000003|옥낭각씨베짜는바위]]'''가 있다. 비공식적으로 가장 긴 지명은 강원도 정선군 북평면 숙암리에 있는 '''[[안돌이지돌이다래미한숨바우]]'''(13글자). 동급(9글자)의 긴 지명으로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학하동의 도야지둥그러죽은골이다. [[가창오리]]와는 관련이 없다. 가창면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어 '가창'오리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설이 있으나, 첫 발견지는 경남 창원의 주남저수지다. 가장 유력한 설은 가창오리의 머리의 예쁜 무늬가 길거리에서 손님을 끄는 역할을 하는 [[창녀]]인 가창(街娼/ 거리 가, 창녀 창)의 화장처럼 보인다고 해서 가창을 붙었다는 것이다. * '''정대리''' 가창댐 서쪽에 있으며, [[청도군]] 각북면과 헐티재라는 고개로 접한다. 단, 헐티재는 아주 꼬불꼬불한 길이니 주의해야 하며, 주말에는 대구 자덕들의 성지가 되는 곳이다. * '''냉천리''' [[스파밸리]], [[에코테마파크 대구숲]], 허브힐즈가 있으며, [[참소주]]를 만드는 물로 유명한 대림생수도 이 곳에 있다. * '''행정리''' [[대구 버스 가창2|가창2번 버스]]가 들어온다. 명칭은 행정리지만 행정리가 아닌 법정리다. 400년 이상된 이팝나무가 마을을 지키고 있다. * '''상원리''' 전원주택이 많은 부촌이다. 금,은,동,텅스텐 등이 매장되어 있는 달성광산이 있다.([[국가광물자원지리정보망]]) * '''단산리''' [[대구 버스 가창2|가창2번 버스]]가 들어온다. * '''대일리''' [[달성 서씨]] 집성촌이다. 이 곳에 시내버스 회차지가 있다. 회차 장소는 대구 가창초등학교. 인조잔디 축구 구장이 있는 가창체육공원이 있다. * '''삼산리''' [[청도군]] 이서면과는 팔조령이라는 고개로 접한다. 팔조령은 [[영남대로]]에 속한다. [[세왕교통]] 차고지가 우록리로 들어가는 입구에 있으며 [[대구 버스 405|405번]]의 종점이다. 이 곳과 옥분리는 [[대구 버스 304|304번]], [[대구 버스 405|405번]]이 유일하게 들어오는 대구 시내버스다. 범골, 석주사는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가 들어오지 않는 지역이다. * '''옥분리''' 주리와 삼산리 사이에 있는 마을이다. 18홀 규모의 파크골프장이 있다. * '''우록리''' [[임진왜란]] 때 [[일본]]에서 조선으로 귀화한 '''[[김충선]]''' 장군의 위패가 봉안된 녹동서원이 이 곳에 있다. 이 때문에 일본인 관광객이 많이 찾는 곳이기도 하다. 박정희 정부때 [[중앙정보부]] 차장과 법무부 장관, 내무부 장관을 지낸 [[김치열]]의 고향이기도 하다. 남지장사도 이 곳에 있다. [[대구 버스 가창2|가창2번 버스]]가 들어온다. * '''주리''' [[대구광역시]]에서 [[청도군]]으로 가는 길목에 있는 곳. [[최정산]] 정상에 대인지뢰가 매설되어 있으므로 주의. 자세한 내용은 [[최정산]] 문서 참조. == 사건사고 == * 2019년 4월 6일 20시에 상원리 야산에서 [[산불]]이 났다. [[https://www.ytn.co.kr/_ln/0115_201904070114553400|#]] 5시간 만에 큰 불은 잡혔다고 한다. [[http://news.kbs.co.kr/news/view.do?ncd=4175055&ref=A|#]] * 2020년 10월경 가창댐에서 수중조사를 하던 잠수사가 댐 취수구에 끼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http://www.h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435930|#]] * 2022년 2월경 용계리 주암산에서 [[산불]]이 났다.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307_0001784583&cID=10810&pID=10800|#]] == 출신 인물 == * [[김충선]](우록리) * [[김치열]](우록리) [[분류:달성군의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