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33년 개교]][[분류:공립학교]][[분류:의성군의 초등학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경상북도 의성군의 초등학교)] ||<-2> '''{{{+1 가음초등학교}}}[br]佳音初等學校[br]Gaeum Elementary School'''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가음초등학교, 너비=100%)]}}}|| || '''개교''' ||1933년 07월 01일 가음공립보통학교|| || '''유형''' ||단설 초등학교|| || '''형태''' ||공립|| || '''교장''' ||강진옥|| || '''교훈''' ||착하고 씩씩하며 꿈이 있는 어린이가 되자|| || '''교화''' ||모란|| || '''교목''' ||느티나무|| || '''학생 수''' ||9명[*기준 2023년]|| || '''교직원 수''' ||8명[*기준 2023년]|| || '''관할 교육청''' ||경상북도의성교육지원청|| || '''주소''' ||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 산성가음로 2194|| || '''홈페이지''' ||[[http://school.gyo6.net/gaeu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목차] [clearfix] == 개요 == 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에 위치한 [[초등교육기관]]이다. == 학교 연혁 == || 1933년 ||06월 03일 가음공립보통학교 인가[br]07월 01일 가음공립보통학교 개교|| || 1937년 ||03월 25일 4년제 제1회 졸업|| || 1941년 ||03월 25일 6년제 제1회 졸업 (4년 제4회)|| || 1949년 ||08월 25일 순호 분교 설립 인가|| || 1981년 ||01월 20일 병설 유치원 개원|| || 1991년 ||03월 01일 도교육청 과학교육시설 시범학교로 지정|| || 1993년 ||01월 01일 의성군 환경 보전 시범학교로 지정|| || 1994년 ||03월 07일 학교 급식 실시|| || 1995년 ||03월 01일 도교육청 생활영어 시범학교로 지정|| || 1996년 ||03월 01일 순호 분교장 폐교, 가음초등학교로 교명 개칭|| || 2008년 ||03월 01일 경상북도교육청 지정 방과후학교 시범학교|| || 2009년 ||03월 01일 경상북도교육청 지정 교원능력개발평가 선도학교|| || 2022년 ||02월 11일 제85회 졸업(졸업생수 7,047명)[br]03월 01일 제30대 권미해 교장 부임|| || 2023년 ||02월 09일 제86회 졸업(졸업생수 7,052명)[br]03월 01일 제31대 강진옥 교장 부임|| == 교훈 및 상징 == * 출처: [[http://school.gyo6.net/gaeum|가음초등학교 홈페이지]] === 교화 === [[모란#s-1|모란]]를 교화로 삼고 있다.[* [[https://species.nibr.go.kr/home/mainHome.do?cont_link=009&subMenu=009002&contCd=009002&ktsn=120000060933|모란]] 국립생물자원관] 딜레니아목 작약과에 속하는 관속식물로서 낙엽 활엽 떨기나무이다. 꽃이 크고 아름다우면서도 향기를 뽐내지 않으며 늘 겸손하고 자기 자신을 희생하여 병든 자에 약이 되어주는 모습을 통해 겸양의 미덕과 봉사정신을 의미 한다. === 교목 === [[느티나무]]를 교목으로 삼고 있다.[* [[https://species.nibr.go.kr/home/mainHome.do?cont_link=009&subMenu=009002&contCd=009002&ktsn=120000060458|느티나무]] 국립생물자원관] 쐐기풀목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관속식물로서 산기슭, 골짜기에 자라는 낙엽 큰키나무이다. 가음초교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다운 나무로 늘 사람들에게 많은 혜택을 주며 어려운 역경이 닥쳐도 이겨내어 늘 푸르고 아름다움을 잃지 않는 고결한 마음을 가리킨다. === 교훈 === >'''착하고 씩씩하며 꿈이 있는 어린이가 되자''' >---- >가음초등학교 교훈[* [[http://uiseong.grandculture.net/uiseong/search/GC05201506?keyword=%EA%B0%80%EC%9D%8C%20%EC%B4%88%EB%93%B1%ED%95%99%EA%B5%90&page=1|가음초등학교]] 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교육목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dbbe4c, #cca300)" '''{{{+1 착하고 슬기로운 인재 육성}}}'''}}} || || {{{+1 ⬆️}}} || ||
  '''1. 자신의 일을 스스로 하는 어린이'''[br]  '''2. 새롭게 생각하는 어린이'''[br]  '''3. 원만한 성품을 지닌 어린이'''[br]  '''4. 더불어 살아가는 어린이'''|| ||<-2>
{{{+1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a6bee4, #f5f5ff, #a6bee4)" '''배우는 즐거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a6bee4, #f5f5ff, #a6bee4)" '''가르치는 보람'''}}} || ||
    {{{+1 {{{#ff4000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내실화}}}}}}[br]  '''1. 인문사회과학기술에 대한 기초 소양 함양'''[br]  '''2. 학습량 적정화 등을 통한 핵심 역량 함양'''[br]  '''3. 교육교과 특성에 맞는 다양한 학생 참여형 수업'''[br]  '''4. 학습의 과정을 중시하는 평가'''|| ||
{{{+1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a6bee4, #f5f5ff, #a6bee4)" '''끼와 꿈을 가꾸는 행복한 학교'''}}} || ||<-3>
{{{+1 ⬆️}}} || ||<#3399cc> {{{#fff {{{+1 교사상}}}}}} ||<#f8ab7d> {{{#fff {{{+1 어린이상}}}}}} ||<#ff99cc> {{{#fff {{{+1 학교상}}}}}} || ||<#84c1e0> {{{+1 사랑과 [br] 열성을 [br] 다하는 스승}}} ||<^|1><#fcdbc7> {{{+1 개성있는 [br] 어린이}}} ||<^|1><#ffb7db> {{{+1 신뢰받는 [br] 학교}}} || ||<^|1><#cde6f2> 제자를 사랑하며 [br] 가르치는 일에 [br] 보람을 갖는 교사 ||<#fdf0e8> 소질과 [br] 특기를 살려 [br] 푸른 꿈을 키우는 [br] 어린이 ||<#ffe2f0> 다양한 [br] 교육 프로그램을 [br] 제공하는 선진된 [br] 학교 || === 교가 === >높푸른 비봉산 우뚝 솟았네 >진리를 찾아 정열은 태양 같도다 >배우고 땀 흘리면 못 할 일 없네 >다듬고 길러서 온 대한 싸세 >가음 가음 우리 모교 내일의 횃불 >푸른 꿈은 자란다 그 이름 빛내리 >---- >가음초등학교 교가, 작사 이희정[* [[http://uiseong.grandculture.net/uiseong/search/GC05201506?keyword=%EA%B0%80%EC%9D%8C%20%EC%B4%88%EB%93%B1%ED%95%99%EA%B5%90&page=1|가음초등학교]] 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학교 시설 == || 교수학습공간 ||일반교실 4실[br]교과교실 1실[br]특별교실 3실[br]기타 1실|| || 학습지원공간 ||컴퓨터실 1실[br]기타 1실|| || 교원지원공간 ||1실|| || 관리행정공간 ||4실|| || 체육집회공간 ||1실|| || 보건위생공간 ||보건실 1실[br]남자화장실 2실[br]여자화장실 2실|| || 학생식당 ||1실|| || 기타공간 ||3실|| == 학교 생활 == === 학교 일과 === ||<-3> 2023학년도 수업일수 및 수업시수 현황,,,(단위:일,명),,, || ||<|6> 수업일수 || 1학년 || 191 || || 2학년 || 0 || || 3학년 || 191 || || 4학년 || 191 || || 5학년 || 191 || || 6학년 || 191 || ||<-2> 주당 수업시수 || 95 || ||<-2> 수업교원수 || 6 || ||<-2> 주당 평균 수업시수(교사 1인당) || 19 || ||<-4> 2023학년도 방과후학교 프로그램,,,(단위:개,명),,, || || 구분 || 교과 || 특기적성 || 계 || || 프로그램 수 || 2 || 4 || 6 || || 수강학생 수 || 9 || 36 || 45 || ||<-3> 참여학생 수 || 9 || ||<-4> 2023학년도 초등돌봄교실,,,(단위:개,명),,, || || 구분 || 오후돌봄 || 저녁돌봄 || 방과후 학교[br]연계형 돌봄 || || 운영교실수 || 1 || 0 || 0 || || 참여학생수 || 9 || 0 || 0 || ||<-3> 초등돌봄참여학생중 특수교육대상학생수 || 0 || ||<|2><-2> 특수학교종일반 || 학급수 ||<#f8f8f8>|| || 참여학생수 ||<-2><#f8f8f8>||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12>가음[br](양지 방향) ||006||대리3리-장리-이리1리|| ||006||의성역-대리리-이리1리|| ||010||대리3리-장리-순호3리|| ||024||대리3리-장리-현리2리·척하|| ||031||대리3리-효선2리-의성시외버스터미널|| ||032||의성역-수정리-효선리|| ||033||효선리-순호3리-대리3리|| ||132||의성역-장리-옥정리|| ||133||의성역-장리-옥정리|| ||133||의성역-장리-대사2리|| ||134||의성역-장리-금오1리|| ||135||의성역-장리-화목버스정류장|| ||<^|12>가음[br](장3리 방향) ||006||이리1리-장리-대리3리|| ||006||이리1리-장리2리-대리3리|| ||009||순호3리-장리-대리3리|| ||024||현리2리·척하-장리-대리3리|| ||031||효선리-가음-대리3리|| ||130||이리1리-대리리-의성시외버스터미널|| ||132||춘산-장리-의성시외버스터미널|| ||133||옥정리-가음-의성시외버스터미널|| ||133||대사2리-장리-의성시외버스터미널|| ||134||금오1리-탑리4리-의성시외버스터미널|| ||134||금오1리-대리3리-의성시외버스터미널|| ||135||화목정류장-가음-의성시외버스터미널|| ||가음[br](양지 방향)|| 도보 3분 || 218m ||<#f8f8f8>|| ||가음[br](장3리 방향)|| 도보 3분 || 233m || 횡단보도 1회 || 노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의성군 농어촌버스/가음면, 금성면, 춘산면]] 문서 참조. == 기타 == 교가에 등장하는 비봉산은 가음면, 금성면, 춘산면에 걸쳐있는 671.8m의 산으로서 금산(金山)으로도 일컫는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금성산(金城山)으로 기록되었다.[* [[http://uiseong.grandculture.net/uiseong/search/GC05200092?keyword=%EB%B9%84%EB%B4%89%EC%82%B0&page=1|비봉산]] 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