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가오슝 첩운]] [include(틀:대만의 도시철도 노선)] [include(틀:가오슝 첩운 노선)] ||<-4><:>{{{#!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가오슝 첩운 로고.svg|width=80]]||<(>{{{#000000 '''''' {{{+1 '''高雄捷運'''}}}[br]Kaohsiung Metro[br]가오슝 첩운 }}}||}}}|| ||<:>'''분류'''||<-3><:>도시철도|| ||<:>'''개업일'''||<-3><:>[[2008년]] [[3월 9일]]|| ||<:>'''소유자'''||<-3><:> [[파일:가오슝시 휘장.svg|width=100]] / [[파일:가오슝 첩운 로고.svg|width=120]]|| ||<:>'''운영자'''||<-3><:>[[파일:가오슝 첩운 로고.svg|width=120]]|| ||<:>'''외부 링크'''||<-3><:>[[https://www.krtc.com.tw|[[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15]]]](중국어) | [[https://www.krtc.com.tw/eng/|[[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15]]]](영어) | [[https://www.facebook.com/krtco/|[[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15]]]] | [[https://www.youtube.com/channel/UCz257QdT4CX-qqEscADFIw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5]]]]|| [목차] [clearfix] {{{+1 高雄都會區大眾捷運系統 / Kaohsiung Rapid Transit System}}} == 개요 == [[대만]] [[가오슝시]]의 [[도시철도]] 체계. 가오슝 첩운 공사에서 36년간 BOT 방식으로 운영한다. 대주주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로 구성된 [[타이베이 대중첩운 주식회사]]와 달리 가오슝 첩운 공사는 13%의 지분을 가진 행정원을 제외하면 상당수 대주주가 민간 주주다. 1대 주주가 가오슝에 본사를 둔 국영기업인 차이나스틸이기는 하나 원동백화점 등 다양한 민간 대주주가 참여하고 있다. || [[파일:kaohsiung_mrt_map.png|width=100%]] || 가오슝 첩운 노선도. 일부 역명은 현재 역명과 일치하지 않는다. 녹색 환상선은 북동쪽 구간이 미완성으로 2023년 개통하며, 황선은 2028년 개통예정. 청색 타이완 철로관리국 노선은 가오슝 첩운 체계에 포함되지 않는다. || [youtube(B4sFgoFFE6Q)] || [youtube(NjMKj_9lyyQ)] || || [youtube(LoDmuk1ywWI)] || [youtube(ZldYYRnd8kc)] || ||<-2> 홍보영상 || == 상세 == || [youtube(KNmWBQvYCJs)] || || 대만 가오슝 첩운 개통 역사 || [[2006년]] 말 개통 예정이었지만, [[티스푼 공사]]와 [[가오슝시]]의 재정난 등이 겹쳐 연기에 연기를 거듭하여 [[2008년]]에 들어 와서야 첫 노선인 [[가오슝 첩운 홍선]]과 [[가오슝 첩운 귤선]]을 개통하는데 성공하였다. 중전철은 모두 [[독일]] [[지멘스]]제 차량을 굴리고 순환선은 [[스페인]]의 [[CAF]]제 [[노면전차]]를 도입하여 운용중이다. [[타이베이 첩운]]처럼 '''물을 포함한 모든 음식물의 섭취 및 반입이 전면 금지된다.''' 벌금은 [[타이베이 첩운]]의 1/5인 NT$1,500로, 한화로 약 6만 3천원이다.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방역 차원에서 지하철 내 음식물 섭취 금지 조항이 더욱 강화되었다. 음식물 반입 금지선은 개찰구 앞이 아니라 '''역 출입구'''로 옮겨졌고, 외국인한테도 기존의 [[과태료]] 부과가 아닌 대만의 [[감염병예방법]] 위반 혐의를 적용하여 '''[[구속(형사절차)|구속]]까지도 가능해졌다'''. 이전까지는 [[역무원]]이 탑승을 제지하고 과태료를 부과했으나 이제는 역무원의 범위를 벗어나 [[경정서|대만 경찰]]을 소환하여 감염병예방법 위반 혐의로 '''사법처리'''한다. 외국인들도 예외는 아니다. 개통한 지 오래되지 않은 [[타오위안 공항 첩운]]과 달리 가오슝 첩운은 개통 당시부터 홍선이 [[가오슝 국제공항]]과 가오슝시내를 연결해 일찌감치 [[공항철도]] 역할도 수행 중이다. [[2015년]] [[9월]]부터 교통카드 남북 호환이 개시되면서 [[이지카드]]를 [[가오슝시]]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됐다. 구입, 충전, 호환이 용이하니 이지카드가 있다면 이카퉁을 구입할 필요는 없다. I-cash와 해피캐시 교통카드도 이용 가능하다. 열차 문이 열릴 때 나는 알림음도 있는데 노선마다 다르고, 발차음도 있는데, 일부 역은 피아노곡(폐지)가 나오고''' [[https://youtu.be/oAiADiICUek|일부 역은 아예 고유음이 있고 구간마다 다르다]]'''. 지금은 전 역에서[[https://www.youtube.com/watch?v=D4wpEH3WeCI&|고유음]]이 나온다. || [youtube(oy3i0dlXLxk)] || [youtube(lZZXHhjwCes)] || || 열차 역 접근 알림음 || 난강산역 열차 발차음 || == 공식 캐릭터 == * 유융푸 가족(由永福 家族) || [[파일:ndfnwiuenfiwer.jpg|width=100%]] || [[가오슝시]]의 상징이 [[반달가슴곰]]이기 때문에 가오슝 첩운 공식 캐릭터는 유융푸 가족(由永福 家族: 유영복 가족)이다. 왼쪽부터 [[아빠]] 융푸(永福), [[딸]]([[누나]]) 핑핑(萍萍), [[엄마]] 바오주(寶珠), [[아들]]([[남동생]]) 안안(安安). 머릿글자(발음)를 따서 '영원히 평안하시라(永保平安)'는 뜻으로 지었다고. [[http://www.idn.com.tw/news/news_content.php?catid=5&catsid=6&catdid=0&artid=20071127abcd003|참조 기사]] 6년간의 공사 중에 [[안전모]]나 [[공구]], 안내문 등에서 홍보용 캐릭터로 활약하였으며, 현재도 역내 각종 시설물에서 자주 볼 수 있다. MRT 기념품샵에서도 캐릭터 굿즈를 판매하고 있으며 나름 많이 판매되고 있다. * [[가오슝 첩운 소녀]] [[가오슝 첩운 소녀|항목]] 참고. 별도 항목을 만들어야 할 정도의 컬트적 인기를 얻고 있다. 관련 굿즈는 MRT 공식 기념품샵에서 구매 가능하다.[* 항목에도 설명되어 있지만 인지도는 제법 있지만 새로운 굿즈 발매가 거의 없을 정도로 현재 그 인기는 많이 식은편이다.] * MRT 공식 기념품샵 [[메이리다오역]] - 10:00~18:00(월요일 휴무, 주말 20:30 폐점) [[가오슝역]] - 11:00~19:00('''운임구역 내 위치''', 월요일 휴무) [[쭤잉역]] - 10:30~19:00(매일 운영, 오후 2시 반 휴식, 주말 09:00~19:30) == 노선 == [include(틀:가오슝 첩운 노선)] === 운영중인 노선 === * [[가오슝 첩운 홍선]] * [[가오슝 첩운 귤선]] * [[가오슝 첩운 순환선]] - 도로점용구간 외 개통 === 계획 및 공사중인 노선 === * [[가오슝 첩운 순환선]] - 위 노선도의 초록색이며, [[경전철]]([[노면전차]]). 2023년 완전 개통 예정 * [[가오슝 첩운 황선]] - 동쪽의 냐오송에서 출발해서 청칭후 호수에서 분기되어 각각 서쪽의 크루즈터미널역과 남쪽의 첸전고교로 뻗어나간다. 2021년 타당성 평가를 통과하여 2022년 착공한다. 2028년 개통 예정으로 공사에 들어간다. 2018년부터 이 첩운 노선을 따라 시내버스 황1, 황2 노선이 개통되었다. * 가오슝 첩운 자선 - 타당성 평가를 진행중인 노선이다. 시내에 위치한 황선 다강역에서 출발하여 [[신쭤잉역|고속철도역]]과 [[칭푸역]]을 경유 교외 지역을 통과 불광사까지 이어지는 중전철 노선이다. 외곽지역만 운행하나 시내와 멀리 떨어진 대학 캠퍼스들을 모두 지나가고 관광지인 불광사가 종점이라 수요가 제법 될 것으로 예측된다. 원자오외국어대학, 국립가오슝대학, 국립가오슝과기대학 본캠퍼스 및 옌차오캠퍼스, 슈더과기대학, 국립가오슝사범대학 옌차오캠퍼스를 지나가기에 캠퍼스선(學園線)이라는 별칭이 붙어있다. === 기타 === * [[타이완 철로관리국 종관선]] - 위 노선도의 파란색이며, 기존철도를 지하화 한 후 중간에 역사를 신설하여 [[구간차]]를 정차시키고 있다. 엄밀히 말하면 가오슝 첩운에 포함되는 것도 아니고 요금체계도 완전 별개다. == 역명의 영문표기 == 모든 영문 역명은 [[통용병음]]으로 표기한다. 한어병음에 익숙한데 정체자에 익숙하지 않다면 역명이 헷갈릴 수도 있다. [[타이베이 첩운]]이 2004년 이후 일부를 제외한 모든 영문역명을 한어병음으로 바꾼 것과 대조적이다. 가오슝과 타이난은 도로명도 통용병음을 사용하고 있다. [[타이완 철로관리국]] 역도 2009년 이후 한어병음을 채택하고 있어 중국어로는 똑같은 이름의 역인데 [[타이완 철로관리국|국유철도]]역과 가오슝 [[도시철도]]역의 영문 역명이 다른 경우가 있다. [[차오터우역]]은 [[타이완 철로관리국]] 역은 [[한어병음]]인 Qiaotou, 가오슝 첩운 역은 [[통용병음]]인 Ciaotou로 쓴다. [[펑산역(도시철도)|펑산역]]도 동일한 케이스였으나 2020년 타이완 철로관리국 산하의 영문 역명을 통용병음인 Fongshan으로 되돌리면서 차오터우만 유일한 사례로 남게 되었다. [[가오슝역]](Kaohsiung)은 가오슝 첩운 개통 이래로 타이완 철로관리국과 가오슝 첩운역의 영문명이 동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