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ruby(餓者髑髏, ruby=がしゃどくろ)] }}}''' [목차] == [[일본]]의 [[요괴]] == [[파일:Mitsukuni_defying_the_skeleton_spectre_invoked_by_princess_Takiyasha.jpg]] 주로 [[나라 시대]]나 [[헤이안 시대]]에 출현했다고 하는 거대한 [[해골]]요괴. [[교토]] 등지에서 자주 등장했다고 하며, 전쟁터에서 죽어 한이 서린 사람들의 원한이 모여 형성된 거대한 해골 모습의 요괴다. 보통사람의 키보다 15배는 더 크다고 한다. 가샤도쿠로는 전설이나 설화 등에 약간의 영향을 받은, [[1960년대]]에 새로 창작된 요괴이며 [[타키야샤히메]]가 거대한 해골을 소환해 미츠쿠니라는 검사와 싸우는 모습이 그려진 본문의 [[우키요에]]에서 영감을 받았다.[* 우타가와 구니요시(1797-1861)의 '소마의 옛집(相馬の古内裏)'이라는 작품이다. 소마는 [[타이라노 마사카도]]의 이칭인 소마노고지로(相馬小次郞)에서 따온 것으로 [[이바라키현]]과 [[지바현]]에 걸쳐 존재했던 실제 지명이기도 한데, 마사카도가 신황을 자칭하고 자신이 거처할 왕성(다이리内裏)을 지었던 곳이기도 했다. 우타가와가 그린 해당 그림은 에도 말기의 소설 우토우 야스카타 충의전(善知鳥安方忠義伝)에 삽화로 들어 간 그림.] 이 그림에는 거대한 해골이 나오는데 이 해골에게서 영감을 받아 새로 창작한 요괴가 가샤도쿠로인 것. 귀에 [[방울]]이 달려있으며, 주로 한밤중에 들판을 거닐다가 근처를 지나가는 사람을 놀라게 한다. 또한 사람을 붙잡아 머리를 뜯어버리므로 빨리 도망가야 되는데, 가샤도쿠로의 귀에 달린 방울소리를 듣고 미리 도망가면 가샤도쿠로에게서 벗어날 수 있기도 한다. 이렇게 나쁜 짓을 하는 요괴지만, 들판에 버려진 해골을 수습해 공양해주는 등, 자신의 원한을 풀어주는 행동을 하면 그 사람이 전혀 모르는 사람이라도 위급한 상황에서 구해주거나 금이 묻힌 장소를 알려주는 등, 도움을 주기도 한다는 이야기가 나오기도 한다. == 등장매체 == * [[게게게의 키타로]] - 원작부터 애니메이션 시리즈(3~5기)마다 개근한, 등장할때마다 키타로를 고전시키는 강적으로 등장한[* [[게게게의 키타로(애니메이션 3기)|3기]]에선 두개골의 뒤통수가 길게 나와있어 마치 [[에이리언(에이리언 시리즈)|에이리언]]을 연상시키는 모습이였으나 이후 시리즈에선 가샤도쿠로 하면 흔히 떠올리는 모습으로 변경되었다.] 요괴로 [[게게게의 키타로(애니메이션 5기)|5기]]에선 2화에서 등장. 한 악덕 사장이 에도시대때 처형장이였던 부지를 사서 건물을 세웠는데 그 건물이 가샤도쿠로가 되어 자신의 안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기력을 빨아먹었다. 강철처럼 단단한 몸이라 [[키타로]]도 고전하나, 키타로가 가샤도쿠로에게 기력을 빨리고 먹힌 순간 머리 안에서 공격해 가샤도쿠로의 머리를 박살내고 머리카락 침으로 마무리해 승리한다.[* 박살난 상황에서도 의식은 남아있어서 "키타로인가... 역시 넌 [[유령족]]의 마지막 후예였군."이라며 원통해하나 키타로가 "넌 강한 요괴니까 몇백년간 쉬고나면 다시 모습을 드러낼 수 있을거야."라고 하자 "그럼 조금만 눈을 붙여야겠군."이라며 빨아먹은 기력을 모두 돌려주고 성불한다.] [[게게게의 키타로(애니메이션 6기)|6기]]에선 8화 예고편에선 전혀 언급이 없었으나 등장한 요괴. 한국어 더빙판의 번역명은 '덜거덕해골'. 6기에선 [[소마(게게게의 키타로)|소마]]가 친구랑 놀다가 그만 봉인석을 훼손하는 바람에 깨어났으며, 그동안 등장했을 때와는[* 원작과 5기에선 가샤도쿠로하면 가장 유명한 풍속화와 흡사하게 생겼다. 다만 5기의 경우 한 건물과 일체화 되었다.] 다르게 현대적인 해골 요괴가 되었고 왼쪽 눈에서 붉은색 광선을 발사하는 능력이 추가되었다. 예전처럼 단단한 육체를 가지고 있어서 공격이 제대로 먹히지 않는 강적으로 [[네코무스메]]의 할퀴기를 가볍게 씹고 광선을 쏴 반격을 가한 뒤 [[이누야마 마나|마나]]를 계속 노리다가 [[스나카케바바]]가 뿌린 독모래에 고통스러워하며 광선을 마구 난사해 거울 속 세계를 아수라장으로 만든다. 이후 마나를 구하러 달려가는 키타로를 등 뒤에서 저격하려다가 [[카가미지지]]가 거울로 광선을 반사해 왼쪽 눈에 구멍이 뚫려 괴로워하고 그 틈새로 키타로가 손가락 포를 쏴 산산조각난다. 전승과 동일하게 전쟁터에서 죽어간 사람들의 원혼이 합쳐진 요괴로 언급된다. 원작과 5기에서는 지성도 있어서 키타로와 대화도 하고 생쥐인간을 겁박하기도 했는데[* 특히 5기에서는 타요마와 같은 불사신이라는 언급이 있으며 편히 잠들 수 있게 자신의 육체를 산산히 부서주고, 사람들을 시켜 자신의 혼을 달래줄 사당을 세워준 보답을 위해 키타로의 재판 때 백안귀와 [[설녀(게게게의 키타로)|아오이]]와 함께 키타로를 변호해주는 활약을 한다.] 6기에서는 지성이 없어졌는지 괴성만 지르는 모습으로 나왔다. 5기 성우는 [[사토 마사하루]].[* 3기에서는 유메코의 아버지 '텐도 마사오' 역을 맡았고 4기에서는 [[백베어드]]역을 맡았으며 6기에서는 야마지지역을 맡게 된다.] * [[누라리횬의 손자]] - [[가샤도쿠로(누라리횬의 손자)]] * [[닌자전대 카쿠레인저]] - [[귀공자 주니어]]의 본모습. * [[다크 소울 3]] - [[패왕 워닐]][* 비주얼만 보면 영락없는 가샤도쿠로다.] * [[본 컬렉션]] - 여주인공인 바이라(白羅)가 가샤도쿠로의 후손이다. * [[수리검전대 닌닌저]] - [[거대요괴 가샤도쿠로]] * [[슈퍼스트링]] - [[반(슈퍼스트링)|반]]이 소환한 [[검은 날개 일족]] 중에서 한명이 가샤도쿠로와 비슷하다. * [[연연 프로젝트]] - [[키츠가이 세세]] * [[요괴워치]] - 가샤도쿠로(뽑기 해골)[* 가샤퐁과 관련된 요괴로, 이름의 가샤 부분을 진짜 [[가샤퐁]]으로 치환했다. 종족은 [[어스름족]].] * [[원피스(만화)|원피스]] - [[브룩]][* 와노쿠니편에서 변장하였다.] * [[이누×보쿠 SS]] - [[로로미야 카루타]] * [[인왕]] - 가샤도쿠로 * [[캐슬바니아 효월의 원무곡]] - [[악마성 시리즈/보스#s-6|첫 번째 보스]]로 등장. * [[쿠보와 전설의 악기]] * [[己龍|키류]] - [[사카이 미츠키]]의 [[己龍/역대 프로필 사진 #s-2.5|百鬼夜行]] * [[폼포코 너구리 대작전]] * [[학교괴담(애니메이션)|학교괴담]]의 OP에서도 나온다. * [[허구추리]] - 가샤도쿠로 * [[SCP 재단]] - SCP-2863 == 기타 == * 기본은 평범한 인간의 해골을 수십 배 확대해놓은 모습이지만 매체에 따라 갑옷을 입는 등, [[갑옷 무사 좀비|오치무샤]][* 전쟁에서 패배하고 원귀가 된 요괴]와 혼합되는 경우도 있었다. * '그냥 거인이 언데드가 된 거 아니야?'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가장 큰 차이점이 있다면 바로 하반신 없이 두 팔로 기어다니는 연출이 많다는 점이다. 걸어다니는 가샤도쿠로도 물론 있지만 보통은 두 팔로 움직이는 경우가 많다. * 디자인 자체는 심심하기 그지 없지만, 일단 팔로 기어다니면서 얼굴을 들이밀기만 해도 임팩트가 어마어마해서 어지간해서는 [[중간 보스]]나 보스 역할로 등장한다. * [[레인보우 식스 시즈]] 일본의 프로 팀 [[CYCLOPS athlete gaming/레인보우 식스 시즈|CAG]] 스킨 디자인에 사용되었다.[[https://twitter.com/CYCLOPS_OSAKA/status/1540164184016441348?s=20|#]] [[분류:일본의 요괴]][[분류:게게게의 키타로/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