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가면라이더 디케이드]]의 [[가면라이더 시리즈/2호 라이더|2호 라이더]]인 [[가면라이더 디엔드]]의 폼을 설명한다. == 디엔드 == [[파일:디엔드.png|width=200]] [[디엔드라이버]]에 디엔드 라이더 카드를 세트하여 변신한 디엔드의 기본 형태. 변신시 라이드 플레이트를 공중으로 발사하고 장착자 주위로 디엔드의 잔상 3개가[* 빛의 3원색처럼 빨강, 파랑, 녹색이다.] 이리저리 움직이다가 합쳐지면서 슈트가 장착되고 뒤이어 라이드 플레이트가 머리에 박히면서 변신이 완료된다. [[가면라이드]] 능력은 가면라이더 카드를 사용하여 카드에 그려진 라이더를 [[소환술사|실체화시켜 싸우게]] 하는 것이다.[* 이때문에 물량전을 시전할 수 있으며, 디케이드와 달리 원하는 파이널 폼 라이드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빠른 발로 상대를 농락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고, 보스급 괴인 외엔 고전하는 모습이 거의 보이지 않으며, 특히 파이널 어택 라이드 디멘션 슛은 적 괴인들 여럿을 한꺼번에 박살내버리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보스급 괴인들이나 라이더에게 밀리는 경우 바로 어택 라이드 인비지블로 도망가는 얍삽한 모습도 보여준다. * 변신음 || '''{{{#0099ff 가면라이드: 디엔드!}}}''' || * 필살기 - '''{{{#0099ff 디멘션 슛}}}''': 쿠우가부터 키바까지와 디엔드의 라이더 카드 형상의 푸른 에너지를 모아 강력한 빔을 발사한다. 이미 가면라이드로 소환되었던 라이더들은 에너지체에 흡수된다. - '''{{{#0099ff 블루 스트라이크}}}''': 디케이드 마지막화에서 나온 처음이자 마지막 [[라이더 킥]] 필살기로 31화에서 [[가면라이더 쿠우가]]로 변신한 [[고다이 유스케]]와 함께 [[필록세라 웜]]을 쓰러뜨렸다 === 네오 디엔드라이버 Ver. === [[파일:네오디엔드.png|width=200]] || '''신장''' || 194cm || || '''체중''' || 88kg || || '''펀치력''' || 24.5t || || '''킥력''' || 36.4t || || '''도약력''' || 48.2m || || '''질주력''' || 100m / 3.1초 || 지오의 세계로 넘어오면서 디엔드라이버의 강화형인 [[디엔드라이버#s-2.1|네오 디엔드라이버]]를 사용하여 변신한 형태. 네오 디케이드와 마찬가지로 외관상의 차이는 아예 없지만, 스펙도 상승하고, 가면라이드 능력도 추가로 헤이세이 2기 라이더를 소환할 수 있다. 기존의 디엔드보다 높아진 스펙에 비해 극중 보여준 전적은 '''영 좋지 않다.''' 어택라이드 활용도부터 전에 비해 많이 딸리는데다[* 어나더 지오 워치를 훔치고 도망갈 때 고속이나 인비저블을 안 쓰고 그냥 달리다가 스월츠에게 당했다.] 수많은 가지각색의 라이더들을 소환했던 기존과 달리[* 극장판 포함해서 다크 라이더, 유사 라이더, 양산형 전투원들을 소환한 장면들 포함.] 오직 성능 약한 2호 라이더들만 소환했고[* 머릿수로 밀어붙이는 전략을 좋아하는 만큼 라이오트루퍼를 병사로 애용했는데 지오에선 단 한번도 쓴 적이 없다. 1호 라이더도 사용하지 않아 자유로운 파이널 폼 라이드가 가능하다는 디엔드의 장점이 퇴색되기도 했다.] 디엔드로서 제대로 승리한 적이 없어[* 워즈 상대로는 필살기까지 먹여 승리했나 싶었지만 속임수에 낚여 뒷치기당했고 디케이드 상대론 일방적으로 압도당하다 스월츠에게 받은 시간정지로 위기를 모면했다. 심지어 v시네마에선 다른 세계의 워즈한테 '''똑같은 패턴으로 또 패배했다.'''] 형편 없는 모습을 많이 보여주었다... == 컴플리트 폼 == [include(틀:헤이세이 라이더/2호 라이더 강화 폼)] [[파일:KR-Diend-Complete.png|width=180]] || '''신장''' || 201cm || || '''체중''' || 107kg || || '''펀치력''' || 14t || || '''킥력''' || 16t || || '''도약력''' || 60m || || '''주력''' || 100m / 3.5초 || 디엔드 컴플리트 폼은 디엔드가 디엔드 전용의 케이터치를 이용하여 변신한 강화 폼이다. [[가면라이더X3 THE MOVIE - 초덴오 트릴로지]] - [[보물DE엔드 파이리츠]]에서 등장. 가슴에 카드는 8장이며 [[가면라이더 G4]], [[가면라이더 류우가]], [[가면라이더 오가]], [[가면라이더 글레이브]]--본인의 형을 소환한다.--, [[가면라이더 카부키]], [[가면라이더 코카서스]], [[가면라이더 아크]], [[가면라이더 스컬]]의 라이더 카드들이며 이들은 스컬[* 원래대로라면 [[가면라이더 이터널|이터널]]이 들어가야 했어야 하지만 저 때는 이터널이 나오기 이전이기도 하고, 극장판에 나오는 라이더들을 끼워맞추기 위해서 스컬을 선정한 것일 수도 있다.]을 제외하면 전부 극장판에 등장하는 [[다크 라이더]]들이다. [[파일:AR_Gekijyouban.png]] 어택 라이드: 극장판으로 전부 소환이 가능하며, 이걸로 [[가면라이더 G 덴오|G 덴오]]를 쓰러트렸다. 2호 라이더가 아닌 극장판 라이더들의 카드가 붙은 이유로는 2010년이 라이더 극장판 10주년이 되는 해였기 때문이라는 추측이 유력하다.[* 그리고 헤이세이 2호 라이더들의 힘을 사용한다는 폼은 [[가면라이더 게이츠 마제스티|게이츠 마제스티]]에게 넘어갔다.] 어째서인지 덴오 극장판 라이더의 카드만 없다. 덴오의 1기 극장판 [[다크 라이더]]인 [[가면라이더 가오]]는 슈트가 [[가면라이더 유우키]]로 개조되어서 힘들다 쳐도, 정작 그 유우키 역시 3기 극장판의 [[다크 라이더]]인 데다 2기 극장판 악역 [[가면라이더 네가 덴오]]라는 선택지도 있는데[* 2기 극장판 촬영 당시에는 오리지널 덴오에 스티커를 붙이고 CG로 색만 바꾼 형태라 재등장이 힘들었지만, 이후 히어로 쇼에서 네가 덴오가 등장하면서 실제 슈트도 제작되었음이 밝혀졌다. 즉 등장 못할 이유는 없었다.] 케이터치를 한 곳 비우면서까지 아무도 안 나온 이유는 불명. 이 폼 자체가 덴오 극장판에 등장하는 폼이라 생략했다는 설이 있다. 기묘한 외형을 보고 [[모모타로스]]가 "뭐냐, 그 꼴은?" 이라며 묻기도 했다. 참고로 시라쿠라 PD는 네오 디케이드가 컴플리트 폼이 있을 법하지만 무서워서 디자인하지 않았다고 발언했는데[* 결국 이후 진짜로 네오 디케이드 컴플리트폼 21이 나타났다.] 네오 디엔드의 경우 컴플리트 폼이 가능한지 알 수 없다. *케이 터치 마크 효과음 || '''[[가면라이더 G4|{{{#!html G4}}}]] [[가면라이더 류우가|{{{#!html 류우가}}}]] [[가면라이더 오가|{{{#!html 오가}}}]] [[가면라이더 글레이브|{{{#!html 글레이브}}}]] [[가면라이더 카부키|{{{#!html 카부키}}}]] [[가면라이더 코카서스|{{{#gold,#ffd700 코카서스}}}]] [[가면라이더 아크|{{{#!html 아크}}}]] [[가면라이더 스컬|{{{#!html 스컬}}}]]!''' || *변신음 || '''{{{#!html 파이널 가면라이드: 디엔드!}}}''' || *필살기 - '''{{{#!html 강화 디멘션 슛}}}''': 이전 디멘션 슛과 발동 방법은 같다. 어택라이드: 극장판으로 미리 소환해 놓은 8명의 극장판 라이더와 합동공격하는 기술.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가면라이더 디엔드, version=374, paragraph=2)] [[분류:가면라이더 디엔드]][[분류:가면라이더 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