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나미칸토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가나가와현 제6구}}}}}}'''[br]{{{-1 {{{#ffffff 神奈川県第6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Kanagawa6.svg|width=100%]]}}}|| ||<-2><:>'''선거인 수'''||<-2><:>381,141명 (2021)|| ||<-2><:>'''상위 도도부현'''||<-2><:>[[가나가와현]]|| ||<-2><:>'''하위 행정구역'''||<-2><:>[[요코하마시]] [[호도가야구]], [[아사히구(요코하마)|아사히구]]|| ||<-2><:>'''국회의원'''||<:>[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후루카와 나오키|| [목차] [clearfix] == 개요 ==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호도가야구]], [[아사히구(요코하마)|아사히구]]를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소속 후루카와 나오키. == 상세 == 자민당-[[공명당]]과 [[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 계열 정당의 경햡 지역으로, 소선거구제 도입 이후 역대 전적이 5:4로 팽팽한 접전을 보이고 있다. 소선거구제 도입 후 첫 선거인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제41회 총선]] 당시 [[산토 아키코]]가 자민당 후보로 이 곳에 출마했으나 낙선한 적이 있다. 공명당은 후보자의 지역구 및 비례대표 중복 입후보를 허락하지 않는다. 그래서 우에다 이사무 전 의원은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제45회 총선]] 및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제48회 총선]] 당시 지역구에서 패배하자 그대로 낙선하고 만다. 2017년 제48회 총선에서 [[입헌민주당(2017년)|입헌민주당]] 아오야기 요이치로 의원이 공명당으로부터 지역구를 탈환했다. [[유신당]] 출신으로, 유신당에 몸담고 있단 시절에는 [[평화헌법]] 9조 개정에 찬성했으나, 입헌민주당 소속으로 당선된 이후에는 9조 개정 반대로 입장을 바꿨다. 다만 개헌 자체에는 아직 찬성의 입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입헌민주당 의원들 중 유일하게 ‘다함께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하는 국회의원 모임’에 참가하고 있으며 매년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한다. [[일본회의]] 회원이라는 의혹도 선거 당시 제기되었는데, 비서의 답변에 의하면 일본회의를 탈퇴했다고 한다. 이후 2021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제49회 총선]]에서 공명당 대신 출마한 자민당 후루카와 나오키 후보가 지역구를 재탈환했다. == 역대 국회의원 == ||<-4> [[파일:Japan_gov_logo.png|width=40px]] '''{{{#112fa7 가나가와현 제6구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2> 이케다 모토히사 || [include(틀:민주당(일본 1996년))]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2> 우에다 이사무 ||<|2> [include(틀:공명당 주황색)]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 이케다 모토히사 ||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2> 우에다 이사무 ||<|2> [include(틀:공명당)]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 아오야기 요이치로 || [include(틀:입헌민주당(2017년))]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후루카와 나오키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 역대 선거 결과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가나가와현 제6구}}}}}}'''[br]{{{#fff 요코하마시 호도가야구, 아사히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ffffff> [[민주당(일본 1996년)|[[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width=50]]]] || '''이케다 모토히사''' || '''60,290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1996년))] || '''30.98%''' || '''당선''' || ||<|2><#cf0a2c> [[신진당|[[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width=50]]]] || 츠치다 류지 || 55,182표 || 2위 || || [include(틀:신진당)] || 28.36% || 낙선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산토 아키코]] || 50,411표 || 3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25.90%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호리노 스케요시 || 26,316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3.52% || 낙선 || ||<|2><#ffdf00> [[파일:덕주회.png|width=50]] || 오카와 도시히코 || 2,410표 || 5위 || || [include(틀:자유연합)] || 1.24%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94,609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당시 참의원 비례대표 의원이었던 산토 아키코가 유일하게 중의원에 출마한 선거이다. 산토는 낙선 이후 5년뒤에 치러진 [[제19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비례구에 입후보 한 뒤 당선, 이후 추가로 4선을 기록하며 2019년 참의원의장직에 올랐다.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가나가와현 제6구}}}}}}'''[br]{{{#fff 요코하마시 호도가야구, 아사히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ffffff>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이케다 모토히사''' || '''77,169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4.18%''' || '''당선''' || ||<|2><#F67E27> [[공명당|[[파일:공명당 로고만 하얀색.svg|width=50]]]] || 우에다 이사무 || 52,175표 || 2위 || || [include(틀:공명당 주황색)] || 23.11% || 비례당선 || ||<|2><#808080> {{{+3 {{{#fff 無}}}}}} || 사토 시게루 || 45,624표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20.21%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후지이 미도리 || 26,355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1.67% || 낙선 || ||<|2> [[자유당(일본 1998년)|[[파일:자유당.gif|width=50]]]] || 츠치다 류지 || 24,444표 || 5위 || || [include(틀:자유당(일본 1998))] || 10.83% || 비례당선 || ||<|2> '''계''' || 유효표 수 || 225,767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가나가와현 제6구}}}}}}'''[br]{{{#fff 요코하마시 호도가야구, 아사히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F67E27> [[공명당|[[파일:공명당 로고만 하얀색.svg|width=50]]]] || '''우에다 이사무''' || '''82,269표''' || '''1위''' || || [include(틀:공명당 주황색)] || '''36.71%'''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이케다 모토히사 || 81,733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6.47% || 비례당선 || ||<|2><#808080> {{{+3 {{{#fff 無}}}}}} || 카츠마타 고이치로 || 30,689표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3.70% || 낙선 || ||<|2><#00a7db> [[사회민주당(일본)|[[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width=50]]]] || 우에다 게이코 || 15,854표 || 4위 || ||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 7.08%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후지이 미도리 || 13,538표 || 5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6.04%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24,083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가나가와현 제6구}}}}}}'''[br]{{{#fff 요코하마시 호도가야구, 아사히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F67E27> [[공명당|[[파일:공명당 로고만 하얀색.svg|width=50]]]] || '''우에다 이사무''' || '''123,040표''' || '''1위''' || || [include(틀:공명당 주황색)] || '''49.89%'''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이케다 모토히사 || 102,429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1.53%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사토 기요시 || 21,146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8.57%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46,615표 ||<|2> '''투표율'''[br]61.35% || || 선거인 수 ||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가나가와현 제6구}}}}}}'''[br]{{{#fff 요코하마시 호도가야구, 아사히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이케다 모토히사''' || ''' 132,192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51.76%''' || '''당선''' || ||<|2><#F67E27> [[공명당|[[파일:공명당 로고만 하얀색.svg|width=50]]]] || 우에다 이사무 || 94,941표 || 2위 || || [include(틀:공명당 주황색)] || 37.18%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후지이 미도리 || 22,464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8.80% || 낙선 || ||<|2><#00ACD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width=50]]]] || 데라시마 히로야 || 5,790표 || 4위 || || [include(틀:행복실현당)] || 2.27%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55,387표 ||<|2> '''투표율'''[br]70.18% || || 선거인 수 ||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가나가와현 제6구}}}}}}'''[br]{{{#fff 요코하마시 호도가야구, 아사히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f95580> [[공명당|[[파일:공명당 로고만 하얀색.svg|width=50]]]] || '''우에다 이사무''' || '''82,147표''' || '''1위''' || || [include(틀:공명당)][*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추천] || '''37.37%''' || '''당선''' || ||<|2> [[모두의 당|[[파일:다함께당 로고.png|width=50]]]] || 아오야기 요이치로 || 69,511표 || 2위 || || [include(틀:모두의 당)] || 31.62% || 비례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이케다 모토히사 || 51,819표 || 3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3.57%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후지이 에츠오 || 16,369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7.45%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19,846표 ||<|2> '''투표율'''[br]61.35% || || 선거인 수 ||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가나가와현 제6구}}}}}}'''[br]{{{#fff 요코하마시 호도가야구, 아사히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f95580> [[공명당|[[파일:공명당 로고만 하얀색.svg|width=50]]]] || '''우에다 이사무''' || '''78,746표''' || '''1위''' || || [include(틀:공명당)][*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추천] || '''39.85%''' || '''당선''' || ||<|2> [[유신당|[[파일:유신당 로고.png|width=50]]]] || 아오야기 요이치로 || 52,368표 || 2위 || || [include(틀:유신당)] || 26.50% || 비례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미무라 카즈야 || 43,464표 || 3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2.00%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키타타니 마리 || 23,013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1.65%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97,591표 ||<|2> '''투표율'''[br]55.16% || || 선거인 수 || 373,105인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가나가와현 제6구}}}}}}'''[br]{{{#fff 요코하마시 호도가야구, 아사히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00469c> [[입헌민주당(2017년)|[[파일:입헌민주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width=50]]]] || '''아오야기 요이치로''' || '''86,291표''' || '''1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44.59%''' || '''당선''' || ||<|2><#f95580> [[공명당|[[파일:공명당 로고만 하얀색.svg|width=50]]]] || 우에다 이사무 || 82,788표 || 2위 || || [include(틀:공명당)][*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추천] || 42.78% || 낙선 || ||<|2><#1dac42> [[일본 유신회(2016년)|[[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width=50]]]] || 구시다 세이치 || 24,424표 || 3위 ||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6년))] || 12.62% || 비례당선 || ||<|2> '''계''' || 유효표 수 || 193,503표 ||<|2> '''투표율'''[br]52.39% || || 선거인 수 || 382,061인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가나가와현 제6구}}}}}}'''[br]{{{#fff 요코하마시 호도가야구, 아사히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e50038>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후루카와 나오키''' || '''92,405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include(틀:공명당)] 추천] || '''44.32%''' || '''당선''' || ||<|2><#00469c> [[입헌민주당(2020년)|[[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width=50]]]] || 아오야기 요이치로 || 87,880표 || 2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include(틀:레이와 신센구미)] 추천] || 42.15% || 비례당선 || ||<|2><#1dac42> [[일본 유신회(2016년)|[[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width=50]]]] || 구시다 세이치 || 28,214표 || 3위 ||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6년))] || 13.53%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08,499표 ||<|2> '''투표율'''[br]55.88% || || 선거인 수 || 381,141인 || 현역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 아오야기 요이치로 의원이 재출마한다. 공명당은 우에다 전 의원을 지역구에 출마시키지 않는 대신 미나미칸토 블록 비례대표 후보로 출마시키고, 그 자리에 도야마 기요히코 [[규슈]] 블록 비례대표 의원을 차기 총선 후보로 내정했다. 하지만 도야마 의원이 코로나 19 방역지침을 어기고 [[긴자]] 클럽에서 밤늦게까지 머무른 것이 발각되어 의원직까지 사퇴해버렸다. 그 결과 [[자유민주당(일본)|자민당]]과 [[공명당]] 모두 이 지역구를 어떻게 할지 다시 논의를 시작했으며, 결국 금품수수로 사퇴한 자민당 출신의 [[가와이 가쓰유키]] 前 법무상의 지역구인 [[히로시마현 제3구]]와 이 지역구를 맞바꾸었다. [[히로시마현 제3구]]에 공명당이 후보를 내는 대신, 자민당이 이 지역구에 후루카와 나오키 전 요코하마시의회 의원을 공천했다. 지난 중원선에서 선거구에서 3위로 패했지만 석패율 제도를 통해 비례대표로 당선된 현역 [[일본 유신회(2016년)|일본 유신회]] 구시다 세이이치 의원도 재출마, 지난 총선처럼 3자 대결구도로 선거가 치러진다. 개표결과 후루카와 나오키 후보가 당선되었다. 자민당과 지역을 맞바꾼 공명당도 히로시마 3구에서 승리하면서 자민당, 공명당 모두 내정후보와 전직 의원의 악재를 극복하고 윈윈의 결과를 만들어냈다. 특히 자민당이 [[가나가와현 제1구]], [[가나가와현 제13구|13구]], [[가나가와현 제16구|16구]]를 잃는 와중에 거둔 승리라 더 의미있다. 종교정당인 공명당 대신 자민당 후보가 출마한 것이 더 폭넓은 지지를 받은 원인일수도 있다. 낙선한 [[일본 유신회(2016년)|일본 유신회]] 후보인 구시다 세이치 전 의원은 [[제2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차기 참의원 선거]]에 유신회 비례대표로 출마하여 7위로 당선되었다.[* 일본 유신회는 8위까지 당선되었다.] [각주][[분류:선거구/일본]][[분류:가나가와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