歌曲, 藝術歌曲 Lied([[독일어|독]]) [목차] == 서양 클래식 음악의 가곡 == [[클래식(음악)|서양 고전음악]] 중 성악곡의 한 장르. 넓은 의미에서 사실 '''반주만 제대로 넣고 듣기 좋은 노래만 알맞은 목소리로 부른다면 다 가곡'''이긴 하지만, 클래식에서 말하는 '''예술가곡'''(Kunstlied)은 [[시]]를 비롯한 문학작품에 클래식풍의 멜로디를 입히고 경우에 따라 유절형식을 취하며[* 유절형식이란 같은 멜로디에 다른 가사를 집어넣어 반복해서 부르도록 하는 경우를 말한다. 대중음악에서 흔히 쓰는 1절, 2절... 방식이다.] [[피아노]]를 비롯한 반주를 넣어 성악가가 클래식풍으로 부르는 노래를 뜻한다. 따라서 [[오페라]]의 [[아리아]]와는 다르다.[* 아리아는 오페라의 한 부분이지만, 가곡은 그 자체가 하나의 독립된 곡이다.] 물론 영화음악을 비롯한 대중음악 전반에 클래식의 작법과 가창법이 널리 쓰이고 있는 오늘날에는 엄밀한 의미의 가곡과 가곡 아닌 노래를 분리하기는 어렵게 된 것도 사실이다. 그냥 '''[[고등학교]] 때 음악실에서 음악 [[선생님]]의 피아노 반주에 맞춰 부르던 곡'''으로 생각하자. 훨씬 이해가 빠를 것이다. Lied는 독일어로 단순히 '노래'라는 뜻이지만 타 언어에서 가곡이라는 장르를 가리킬 때 흔히 '리트'라고도 한다. 이것은 마치 [[샹송]](chanson)이 [[프랑스어]]로는 단지 '노래'를 가리킬 뿐이지만 프랑스 밖에서는 프랑스 가요를 가리키는 것과 비슷하다. 가곡은 19세기 초반에만 해도 단편적이고 작곡하기가 쉬워 그다지 진지한 장르로는 꼽히지 않았지만[* 더구나 당시에는 성악곡 하면 오페라와 종교곡이 훨씬 대접받는 시대였음을 고려할 것. 모차르트나 베토벤과 같은 고전파 작곡가들도 가곡을 남겼으나, 그들의 다른 곡에 비하면 그다지 알려져 있지 않다.] 가곡의 왕으로 불리는 작곡가 [[프란츠 슈베르트]]에 의해 예술로서 인정받게 되었다. 700여 곡이나 되는 그의 가곡 중에서도 [[송어(슈베르트)|송어]], [[마왕(음악)|마왕]], [[죽음과 소녀]], 들장미, 음악에 부쳐, 들어라 들어라 종달새와 같은 가곡들은 그 예술성과 대중성을 동시에 인정받은 명곡이라고 할 수 있다. 슈베르트 이후에는 [[로베르트 슈만]], [[구스타프 말러]], 후고 볼프와 같은 작곡가들이 [[독일]] 예술가곡의 전통을 이어 나갔으며 19세기 중반 무렵부터는 [[프랑스]] 등 다른 나라의 작곡가들도 예술적으로 손꼽히는 가곡을 많이 창작하였다. [[봉숭아]], [[선구자]], [[희망의 나라로]], [[그리운 금강산]]과 같은 여러 명곡 덕분에 [[대한민국|한국]]에서도 친숙한 장르. === 주요 가곡 목록 === 여러 가곡이 하나로 묶여있는 연가곡은 ★표시. ==== [[한국]] ==== * [[그리운 금강산]] (한상억 시 최영섭 곡) * [[별(동음이의어)#s-9.3|별]] (이병기 시 이수인 곡) * [[남촌]] (김동환 시 김규환 곡) * [[내 맘의 강물]] (이수인 시 이수인 곡) * [[님이 오시는지]] (박문호 시 김규환 곡) * [[석굴암]] (최재호 시 이수인 곡) * [[산촌]] (이광석 시 조두남 곡) * [[나그네]] (박목월 시 이문주 곡) * 마중 * [[첫사랑]] * [[냉면(가곡)|냉면]] * [[봉숭아]] (김형준 시 홍난파 곡) * [[진달래꽃]] (김소월 시 김동진 곡) * [[부용산]] * [[비목]] (한명회 시 장일남 곡) * [[선구자]] (윤해영 시 조두남 곡) * [[청산에 살리라]][* [[한양대학교]]의 설립자이자 초대 이사장 겸 총장을 지낸 [[김연준]] 이사장의 작품이다. 교가도 손수 지었다. 그래서 한양대학교의 음악 관련 행사 피날레는 항상 한양대학교 교가와 청산에 살리라로 마무리된다.] (김연준 시 김연준 곡) * [[희망의 나라로]] (현제명 시 현제명 곡) * [[한강]] (정공채 시 변훈 곡) * [[보리밭]] (박화목 시 윤용하 곡) * [[명태]] (양명문 시 변훈 곡) * [[진달래꽃]] (김소월 시 김달성 곡) * [[가고파]] (이은상 시 김동진 곡) * [[고향생각]] (현제명 시 현제명 곡) * [[고향의 봄]] * [[금강에 살으리랏다]] (이은상 시 홍난파 곡) * [[달밤]] (김태오 시 나운영 곡) * [[동무생각]][* [[청라언덕역|청라언덕]]이 나온다.] (이은상 시 박태준 곡) * [[봄처녀]] (이은상 시 홍난파 곡) * [[봄이 오면]] (김동환 시 김동진 곡) * [[산노을]] (유경환 시 박판길 곡) * [[길손]] (정진업 시 조두남 곡) * [[향수(시)]] (최창일 시 한성훈 곡) * [[얼굴#s-3|얼굴]] (심봉석 시 신귀복 곡) * [[고향 그리워]] (이흥렬 시 이흥렬 곡) * [[그리워]] (이은상 시 채동선 곡) * [[장안사]] (이은상 시 홍난파 곡) * [[사공의 노래]] (함호영 시 홍난파 곡) * [[무곡]] (김연준 김연준 곡) * [[그대 있음에]] (김남조 시 김순애 곡) * [[제비]] (김소월 시 조두남 곡) * [[그리움]] (고진숙 시 조두남 곡) * [[비가]] (신동춘 시 김연준 곡) * [[들국화]] (장수철 시 김대현 곡) * [[바위 고개]] (이흥렬 시 이흥렬 곡) * [[그리움]] (유치환 시 하대응 곡) * [[옛날은 가고 없어도]] (손승교 시 이호섭 곡) * [[낙화암]] (한인자 시 김형주 곡) * [[물레]] (김안서 시 김순애 곡) * [[옛 이야기]] (김소월 시 정세문 곡) * [[사월의 노래]] (박목월 시 김순애 곡) * [[코스모스를 노래함]] (이기순 시 이흥렬 곡) * [[고향 생각]] (이은상 시 홍난파 곡) * [[황혼의 노래]] (김노현 시 김노현 곡) * [[고독]] (황인호 시 윤용하 곡) * [[사우월]] * [[부끄러움]] (주요한 시 이흥렬 곡) * [[사랑]] (이은상 시 홍난파 곡) * [[언덕에서]] (민형식 시 김원호 곡) * [[바다는 부른다]] * [[사랑]] (이은상 시 홍난파 곡) * [[꿈]] (황진이 시 김성태 곡) * [[제비]] (김소월 시 김연준 곡) * [[산]] (김소월 시 하대응 곡) * [[달밤]] (윤곤강 시 윤용하 곡) * [[가는 길]] (김소월 시 김규환 곡) * [[봄이 온다고 전화를 주시다니요]] * [[금잔디]] (김소월 시 김규환 곡) * [[사랑의 날개]] (조병화 시 최영섭 곡) * [[산]] (김소월 시 하대응 곡) * [[쥐]] (김광림 시 변훈 곡) * [[그리움]] (이은상 시 홍난파 곡) * [[물레]] (김안서 시 김순애 곡) * [[옛 동산에 올라]] (이은상 시 홍난파 곡) * [[자장가]] (한해용 시 윤용하 곡) * [[산]] (허윤석 시 조두남 곡) * [[산길]] (양주동 시 박태준 곡) * [[산노을]] (유경환 시 박판길 곡) * [[새야 새야 파랑새야]] (민요 채동선 곡) * [[파랑새]] (한하운 시 금수현[* 모두가 잘 알다시피 금난새 선생의 아버지 되시겠다.] 곡) * [[그리운 옛 봄]] (고운산 시 최영섭 곡) * [[자장가]] (김영일 시 김대현 곡) * [[네잎클로버]] * [[옥저]] (김상옥 시 김세형 곡) * [[풀따기]] (김소월 시 김원호 곡) * [[보리피리]] (한하운 시 김진균 곡) * [[압해도]] (노향림 시 최영섭 곡) * [[그리움]] (이종택 시 김진균 곡) * [[오라]] (현제명 시 현제명 곡) * [[수선화]] (김동명 시 김동진 곡) * [[한 송이 흰 백합화]] (김호 시 김성태 곡) * [[자장가]] (김동환 시 이흥렬 곡) * [[나물캐는 처녀]] (현제명 시 현제명 곡) * [[목련화]] (조영식 시 김동진 곡) * [[보리피리]] (한하운 시 조념 곡) * [[그리워라 두고 온 사람들]] (한상억 시 최영섭 곡) * [[옥잠화]] (박종화 시 이흥렬 곡) * [[그네]] (김말봉 시 금수현 곡) * [[자장가]] (임종복 시 백병동 곡) * [[추억]] (조병화 시 김성태 곡) * [[기다리는 마음]] (김민부 시 장일남 곡) * [[풀따기]] (김소월 시 김노현 곡) * [[그리움]] (박목월 시 이수인 곡) * [[추억]] (조병화 시 최영섭 곡) * [[어부의 노래]] (박화목 시 김노현 곡) ==== 북한 ==== * [[동해의 달밤]] * [[사향가]] ==== [[독일]] ==== 보통 가곡 분류는 작사, 작곡자의 국적보다는 원가사의 언어로 한다. 그래서 여기에는 수많은 오스트리아 노래가 포함이 되어 있다. [* 베토벤이 이탈리아어 가사에 곡을 붙인 사례가 있는데, 이 노래는 독일 가곡이 아니라 이탈리아 가곡으로 분류된다. 중국 한시를 한국어로 번역한 것에 곡을 붙인 사례(김성태의 동심초 같은)도 그래서 중국 가곡이 아닌 한국 가곡. 슈베르트 역시 현재의 오스트리아 땅에서 태어나서 살다 간 사람이지만 그의 곡의 작사자 역시 지금의 독일 땅에서 살다 간 사람이 많다.] ===== [[프란츠 슈베르트|슈베르트]] ===== * [[겨울나그네]]★ * [[아름다운 물방앗간의 아가씨]]★ * [[마왕(음악)|마왕]] * [[송어(슈베르트)|송어]] * 물레 잣는 그레트헨 * 들장미 * 백조의 노래★ * [[죽음과 소녀]] ===== [[로베르트 슈만|슈만]] ===== * 시인의 사랑★ * 여인의 사랑과 생애★ * 리더크라이스★ * 두 척탄병 ===== [[말러]] ===== * 방황하는 젊은이의 노래★ * 죽은 아이를 그리는 노래★ * [[어린이의 이상한 뿔피리]]★ ===== 기타 ===== * 네개의 마지막 노래 -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 노래의 날개 위에 - [[펠릭스 멘델스존]] * [[로렐라이]] - 프리드리히 질허 * [[아델라이데#s-2|아델라이데]] - [[루트비히 판 베토벤]] * [[올드 랭 사인]][* 대한민국 [[애국가]]의 초기 선율로도 쓰였고 개신교 찬송가인 ' 천부여 의지 없어서 ' 또한 이 멜로디를 사용한다.] - 로버트 번스[* 작사가로 원래 이 사람의 [[시]]에서 비롯되었다.] * [[자장가]] - [[요하네스 브람스]] * 베젠동크 가곡 - [[리하르트 바그너]]★ == 한국의 전통가곡 == * 가곡은 대한민국의 [[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국가무형문화재]]이다. [include(틀:대한민국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한국에서는 가곡이라는 같은 이름 하에 전혀 다른 두 장르의 음악이 전한다. 위의 가곡은 서양식 가곡이고, 전통가곡은 고려때 정과정이 지은 만대엽, 중대엽, 삭대엽의 삼기곡으로부터 시작해서 초삭대엽, 이삭대엽, 삼삭대엽 등으로 파생되고 그것이 다시 농, 낙, 편 등으로 파생되었고, 또한 이삭대엽에서도 평거, 중거, 두거 등으로 확장되면서 엄청나게 많은 곡으로 늘어나 현재 66곡이 전한다. 즉 원래 있던 곡의 장단, 속도, 진행, 음조 등을 변형시키면서 새롭게 확장한 곡이 가곡이다. 조선 사회의 지식층에서 애창되면서 발전된 가곡은 시조·가사와 함께 [[정가(국악)|정가(正歌)]]라고 하여 판소리나 잡가 또는 민요처럼 일반 백성들에 의해서 구전되는 속가(俗歌)와 예술적으로 구분된다. 세악편성의 반주로 연주되는 가곡은 시조나 가사에 비해서 세련된 예술성을 지닌 노래이다. 오늘날 현대시에 피아노 반주를 곁들여서 작곡가들이 작곡한 이른바 예술가곡과 엄연히 구분된다. 부르는 사람의 성별에 따라서 남창(男唱)·여창(女唱)·남녀창(男女唱) 세 가지로 분류된다. 2010년 11월에는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에 지정되었다. 가곡은 [[시조]]시를 노랫말로 삼고, 우조와 계면조 두 개의 악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가곡을 부를 때 평조에서 계면조로 넘어가기 위해 쓰이는 반우반계 등이 있다. 가곡은 남창 26곡과 여창 15곡, 남녀창 1곡이 전해지며 한바탕으로 초수대엽, 이수대엽, 중거, 평거, 두거, 삼수대엽, 소용, 반엽, 언롱, 평롱, 계락, 환계락, 우락, 언락, 편락, 편수대엽, 언편, 태평가가 전해진다. 이 중에 초수대엽, 삼수대엽, 소용, 언롱, 우롱, 언락, 우편, 편락, 언편은 남창에만 있고 환계락은 여창만 있다. 남녀창은 태평가 단 한곡만 전하며 초수대엽, 이수대엽부터 느린 한배로 진행되다가 편수대엽과 같은 마지막에 가까운 곡에 다다를 때 빨라졌다가 마지막 곡인 태평가를 부를 때는 다시 느린 한배로 돌아가는 형식을 보인다. 가곡의 장단은 10점 16박 장단과 10점 10박 장단이 있다. '점'은 장단 안에서 [[장구]]를 치는 단위, 박은 장단 전체의 박자를 세었을 때의 수이다. 10점 10박 장단은 '편장단'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가곡 중 여창에서는 황종이나 태주 이상의 음을 가성으로 부르는 '속소리' 가 쓰인다. 그리고 가곡은 노랫말을 길게 뻗기 때문에 모음을 장중하게 표현하고자 ㅏ,ㅓ 같은 모음을 아으~, 어으~ 하고 뻗어주고 ㅐ,ㅔ와 같은 모음은 옛 발음을 살려 아이, 어이로 발음한다. 가곡은 보통 '우조 초수대엽' '여창 계면조 이수대엽' '남창 편수대엽' 처럼 곡의 이름으로 부르지만, 노랫말로 쓰인 시조시의 앞 구를 따서 '동창이' '언약이' '진국명산' 과 같이 부르기도 한다. 한 곡에 여러 시조시가 쓰이기도 하며, 예시로 여창 환계락의 경우 널리 불리는 '앞내나' 말고도 '사랑을 찬찬' '사랑을 사자하니' '물아래' 와 같은 시조가 노랫말로 쓰이기도 한다. == 관련 문서 == * [[클래식 관련 정보]] [[분류:가곡]][[분류:성악곡]][[분류:대한민국의 인류무형문화유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