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齒}}}이 치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齒, 0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15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준4급}}}}}}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シ{{{#c88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は, {{{#c88 よわい}}}}}}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齿}}}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chǐ{{{#c88 }}}}}}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px-齒-order.gif]]}}}||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齒는 ''''이 치''''라는 [[한자]]로, 척추동물의 입 안에서 무언가를 물거나 음식물을 씹는 구실을 하는 기관인 [[이]]를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는 U+9F52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YMUOO(卜一山人人)로 입력한다. 원래는 입 안에 이빨이 환히 드러나 있는 모습을 그린 [[상형자]]였으나, 후에 음을 나타내는 [[止]](그칠 지) 자를 위에 올리면서 [[형성자]]가 되었다. 齒가 가진 뜻을 크게보면 동물의 이빨 특히 [[상아]]를 뜻하기도 했고 톱 같이 치아 모양으로 줄 지은 물건을 가리키기도 했다. 또한 소와 말이 1년에 이빨이 한 개씩 나기 때문에 소와 말의 나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기도 하였으며, 사람의 나이를 나타내기도 했다. 일본 신자체와 중국 간체자는 가운데 '씄'(...)을 각각 米, 人으로 바꿔 歯, 齿로 쓴다. 부수로 쓰일때도 정자 자체가 쓰기 어려운 탓인지 위의 한자로 바꿔서 쓴다. == 자형 == ||<:>[[파일:120px-齒-oracle.svg.png]]||<:>[[파일:120px-齒-bronze.svg.png]]||<:>[[파일:120px-齒-bigseal.svg.png]]||<:>[[파일:Shuowen_Seal_Radical_038.svg.png]]|| ||<:>갑골문||<:>금문||<:>대전체||<:>소전체|| == 용례 == === [[단어]] === [[이]]와 관련된 단어에 매우 많이 쓰인다. * [[설치류]]([[齧]]齒[[類]]) * [[순치음]]([[脣]]齒[[音]]) * [[양치식물]]([[羊]]齒[[植]][[物]]) * [[충치]]([[蟲]]齒) * 치감(齒[[疳]]) * [[치경]](齒[[莖]]) * [[치경음]](齒[[莖]][[音]]) * [[후치경음]]([[後]]齒[[莖]][[音]]) * [[치경구개음]](齒[[莖]][[口]][[蓋]][[音]]) * [[치과]](齒[[科]]) * [[치아]](齒[[牙]]) * [[치약]](齒[[藥]]) * [[치열]](齒[[列]]) * [[치음]](齒[[音]]) === [[고사성어]]/[[숙어]] === * 단순호치([[丹]][[脣]][[皓]]齒) * [[순망치한]]([[脣]][[亡]]齒[[寒]]) * 절치부심([[切]]齒[[腐]][[心]]) * [[치망설존]](齒[[亡]][[舌]][[存]]) === [[인명]] === * [[쿠리바 료코]]([[操]]歯 [[涼]][[子]]) * [[습착치]]([[習]][[鑿]]齒) * [[흑치상지]]([[黑]]齒[[常]][[之]]) * [[흑치준]]([[黑]]齒[[俊]]) === 기타 === * [[의치한]]([[醫]]齒[[韓]]) * [[의치한약수]]([[醫]]齒[[韓]][[藥]][[獸]])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명칭: 이치부 강희자전 안에 211번째에 수록된 부수다. 부수로 붙을 때에는 이에 관한 뜻을 나타낸다. [[齡]](나이 령), [[齧]](갉을 설), [[齦]](잇몸 은) 등에서 부수로 쓰인다. == [[일본어]] == === [[훈독]] === * 歯(は): 이, 이빨 * 歯(は)茎(ぐき): 잇몸 * 歯(は)ブラシ: 칫솔 * 歯磨(はみがき): 치약 * 虫歯(むしば): 충치 한자는 말 그대로 '충치(虫歯)'이지만, 음독이 아니라 '''훈독'''으로 읽음에 유의하자. === [[음독#s-1]] === シ. * 永久歯(えいきゅうし): 영구치 * 歯科(しか): 치과 * 乳歯(にゅうし): 유치 == 여담 == * 齒를 두 개 합치면 [[𪙹]]^^[⿰齒齒]^^ 된다. [[분류:준4급 한자]][[분류:제부수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