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黑}}}검을 흑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黑, 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2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5급 한자|{{{#000,#fff 5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コク{{{#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くろ, くろ-い{{{#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hēi{{{#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px-黑-order.gif]]}}}||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검다, 검어지다, (사리에) 어둡다, 나쁘다, 악독하다, 고약하다, 사악하다, 모함하다, 횡령하다, 착복하다, 검은빛, 흑색, 저녁, 밤, 은밀한, (어두워서) 보이지 않는 비밀(祕密)의, 비공개적인' 등 많은 의미가 있지만 모두 '검다'에서 파생된 의미들이다. [[광동어]]에서는 '거지'라는 의미도 있다. 여담으로, 먹처럼 빛을 흡수하는 시커먼 색을 뜻하기 때문에 색이 섞여서 검어진 玄자와는 차이가 있다. == 자원 == [[갑골문]]을 보면 사람의 얼굴에 검댕 자국을 나타냈고, 금문으로 가면 얼굴과 몸에 점을 더하여 검댕 얼룩을 강조했다. [[無]](없을 무), [[烏]](까마귀 오)와 마찬가지로 [[火]](불 화) 자가 들어감에도 불과 관련 없는 글자 중에 하나다. == 자형 == ||<:>[[파일:黑-oracle.svg.png]]||<:>[[파일:120px-黑-bronze.svg.png]]||<:>[[파일:黑-bigseal.svg.png]]||<:>[[파일:120px-黑-seal.svg.png]]|| ||<:>갑골문||<:>금문||<:>대전체||<:>소전체|| == 발음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검다 || || {{{-1 '''음'''}}} ||흑 || ||<-3> || ||<|10>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hēi || || {{{-1 '''[[광동어]]'''}}} ||hak^^1^^, haak^^1^^ || || {{{-1 '''감어'''}}} ||het6 || || {{{-1 '''[[객가어]]'''}}} ||het || || {{{-1 '''진어'''}}} ||heh4 || || {{{-1 '''[[민북어]]'''}}} ||hă̤ || || {{{-1 '''[[민동어]]'''}}} ||háik || || {{{-1 '''[[민남어]]'''}}} ||hek || || {{{-1 '''[[오어]]'''}}} ||heq (T4) || || {{{-1 '''상어'''}}} ||he6 || ||<-3> || ||<|2> '''[[일본어]]''' || {{{-1 '''음독'''}}} ||コク || || {{{-1 '''훈독'''}}} ||くろ, くろ-い || ||<-3> || ||<-2> '''[[베트남어]]''' ||hắc ||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黑' 자를 부수를 사용하는 자 중 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자는 무리 당(黨), 잠잠할 묵(默), 점 점(點) 정도며 좀 더 끼워주면 내칠 출(黜) 정도가 있겠다. == 용례 == === [[단어]] === * [[흑건]](黑[[巾]]/黑[[鍵]]) * [[흑랑]](黑[[狼]]) * 흑룡(黑[[龍]]) * [[흑백]](黑[[白]]) * [[흑백논리]](黑[[白]][[論]][[理]]) * 흑색(黑[[色]]) * [[흑암]](黑[[巖]]) * 흑야(黑[[夜]]) * [[흑연]](黑[[鉛]]) * [[흑인]](黑[[人]]) * 흑자(黑[[字]]) * [[흑점]](黑[[點]]) * [[흑체]](黑[[體]]) * 흑토(黑[[土]]) * 흑판(黑[[板]]) * [[흑화]](黑[[化]]) * [[암흑]]([[暗]]黑) * [[흑기사]](黑[[騎]][[士]]) * 흑내장(黑[[內]][[障]]) * [[흑설탕]](黑[[雪]][[糖]]) === [[인명]] === * [[유흑달]]([[劉]]黑[[闥]]) * [[이구로 오바나이]]([[伊]]黒 [[小]][[芭]][[内]]) * [[이시구로 마사카즈]]([[石]]黒 [[正]][[数]]) * [[이흑산]]([[李]]黑[[山]]) * [[루크 쿠로바네]](ルーク 黒[[羽]][[根]]) * [[코쿠시보]](黒[[死]][[牟]]) * [[쿠로다 타카야]](黒[[田]] [[崇]][[矢]]) * [[쿠로사와 코타로]](黒[[澤]] [[航]][[太]][[郎]]) * [[쿠로사와 토모요]](黒[[沢]] ともよ) * [[쿠로사키 마온]](黒[[崎]] [[真]][[音]]) * [[후시구로 메구미]]([[伏]]黒 [[恵]]) * [[흑치상지]](黑[[齒]][[常]][[之]]) * [[흑치준]](黑[[齒]][[俊]]) * [[黒うさP]]([[흑토끼P]]) * [[Omurice炸黑輪]] === [[지명]] === * [[흑석동(서울)]] * [[흑석역]] * [[메구로구]] * [[메구로역]] === [[창작물]] === === [[기타]] === * [[흑역사]](黑[[歷]][[史]]) * [[흑형]](黑[[兄]]) == 유의자 == * [[黔]](검을 검) * [[黎]](검을 려) * [[玄]](검을 현) == 상대자 == * [[白]](흰 백) * [[素]](흴 소) * [[皓]](흴 호) [[분류:색깔]][[분류:5급 한자]][[분류:제부수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무채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