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특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鮎}}}메기 점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魚|{{{#000,#fff 魚}}}]], 5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6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특급 한자|{{{#000,#fff 준특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デン, ネン}}}}}}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あゆ}}}}}}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niá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鮎은 ''''메기 점''''이라는 [[한자]]로, '[[메기]]'를 뜻한다. 원래는 [[메기]]를 뜻하지만 일본에서는 [[은어(어류)|은어]](銀魚)를 뜻하는 글자로도 사용한다.[* 일본어의 메기는 [[鯰]]를 사용한다.] == 상세 == 뜻을 나타내는 [[魚]](물고기 어)와 소리를 나타내는 [[占]](점령할/점칠 점)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9B8E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NFYR(弓火卜口)로 입력한다. [[粘]](붙을 점)과 마찬가지로 이 한자의 원래 음은 '념(女廉切(ㄴㅕ + ㄹᅟᅧᆷ)'이었지만 한국에서는 오른쪽 방(傍)인 [[占]](차지할 점)에 이끌려 '점'이라는 [[속음]]으로 읽게 되었다. 메기를 가리키는 또 다른 한자인 [[鯰]](메기 념)과 비교하면, 두 글자가 원래 서로 [[이체자]]임이 쉽게 드러난다. 반면 독음이 와전되지 않은 일본어, 중국어에서는 그대로 각각 ネン, nián으로 읽는다. == 용례 == === [[단어]] === * 여점전([[女]]鮎[[臇]]) * 장점([[長]]鮎) * 점어(鮎[[魚]]) * 점어구(鮎[[魚]][[灸]]) * 점어전(鮎[[魚]][[臇]]) * 해점어([[海]]鮎[[魚]]) * 포도점([[葡]][[萄]]鮎) * 홍점([[紅]]鮎) === [[인명]] === * [[아유자와 스즈나]](鮎[[沢]] [[紗]][[奈]]) * [[아유카와 아유]](鮎[[川]] アユ) * [[아유카와 테츠지]](鮎[[川]] [[鉄]][[次]]) * [[아유카와 텐리]](鮎[[川]] [[天]][[理]]) * [[오키아유 료타로]]([[置]]鮎 [[龍]][[太]][[郎]]) * [[토게구치 아유미]]([[峠]][[口]] 鮎[[美]]) === [[지명#s-2]] === * [[아유카와역]](鮎[[川]][[駅]]) * [[아유카이역]](鮎[[貝]][[駅]]) * [[아쿠이역]](鮎[[喰]][[駅]]) === [[창작물]] === === [[중국어]] === 표준 중국어로는 nián으로 읽는다. 간체자 鲇이 있으나 현재는 간체자 鲇 대신 [[鯰]](메기 념)[* 일본에서 국자로 취급되는 한자이다.]의 간체자인 鲶을 쓴다. * 胡子鲇(hú‧zinián): 수염메기 * 寄生鲇( jìshēngnián): 흡혈메기 === [[일본어]] === 음독으로는 ネン(오음),デン(한음)으로 읽는다. 훈독으로는 あゆ, なまず로 읽는다. * あゆ(鮎): 은어(銀魚) * なまず(鮎/鯰): 메기 == 유의자 == * [[鯰]](메기 념) * [[鰋]](메기 언) * [[鯷]]/[[鮧]](메기 제) * [[魸]](메기 편) * [[鱯]](메기 화) * [[鮜]](메기 후)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䬯]](서로만나밥먹을 념) * [[拈]](집을 념/점) * [[炶]](번쩍거릴 섬) * [[𢓕]]^^[⿰彳占]^^(걷는모양 임) * [[岾]](고개 재, 절이름 점) * [[𦕒]]^^[⿰耳占]^^(귀조금늘어질 점/접) * [[煔]](데칠 점, 불타오를 첨/섬, 삼나무 삼) * [[詀]](말꾸며댈 점, 수다스러울 잠, 잔소리할 첩) * [[𪖚]]^^[⿰鼻占]^^(매부리코 점) * [[秥]](벼 점) * [[粘]](붙을 점) * [[胋]](살찔 점/첨) * [[蛅]](쐐기 점) * [[佔]](엿볼 점, 속삭거릴 첨) * [[玷]](옥티 점) * [[袩]](옷깃 점/접) * [[阽]](위태로운 점/염) * [[坫]](잔돌려놓는자리 점) * [[點]](점 점) * [[黏]](차질 점/념) * [[䩇]](추할 점) * [[䍄]](흠 점) * [[䪓]](띠장식 접/첩) * [[跕]](밟을 접) * [[站]](역마을 참) * [[𪗦]]^^[⿰齒占]^^(이뺄 참) * [[𪉜]]^^[⿰鹵占]^^(짤 참) * [[𡖞]]^^[⿰多占]^^(많을 첨) * [[黇]](백황색 첨) * [[酟]](섞을 첨) * [[㚲]](약할 첨) * [[䀡]](엿볼 첨/점)[* [[覘]](엿볼 첨/점)의 [[동자#s-2]]] * [[沾]](젖을 첨) * [[怗]](고요할 첩, 어울리지않을 첨) * [[帖]](문서 첩) * [[貼]](붙일 첩) * [[呫]](소곤거릴 첩) * [[䩞]](안장장식 첩) * [[鉆]](족집게 첩, 보습 검) * [[䴴]](차조 첩, 차질 념) * [[𤝓]]^^[⿰犭占]^^(핥을 첩) * [[砧]](다듬잇돌 침) * [[枮]](모탕 침) * [[𤘇]]^^[⿰牙占]^^(잠) * [[𨱬]]^^[⿰镸占]^^(점) * [[𫥄]]^^[⿰冫占]^^ * [[𫥸]]^^[⿰刀占]^^ * [[𠕟]]^^[⿰冉占]^^ * [[𭙀]]^^[⿰干占]^^ * [[𡖵]]^^[⿰夜占]^^ * [[𪯴]]^^[⿰方占]^^ * [[𫼜]]^^[⿰手占]^^ * [[𭮆]]^^[⿰歹占]^^ * [[𫀅]]^^[⿰示占]^^ * [[𥎁]]^^[⿰柔占]^^ * [[𥿕]]^^[⿰糸占]^^ * [[𬜅]]^^[⿰舌占]^^ * [[𧲸]] * [[𫚳]]^^[⿰鳥占]^^ * [[𪕐]]^^[⿰鼠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