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국명·지명 한자 약칭)]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馬}}}말 마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馬, 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0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5급 한자|{{{#000,#fff 5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バ, {{{#c88 マ, メ}}}}}}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うま, (ま){{{#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mǎ{{{#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E9%A6%AC-order.gif]]}}}||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馬는 ''''말 마''''라는 [[한자]]로, [[말(동물)|말]]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말 || || {{{-1 '''음'''}}} ||마 || ||<-3> || ||<|6>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mǎ || || {{{-1 '''[[광동어]]'''}}} ||maa^^5^^ || || {{{-1 '''[[객가어]]'''}}} ||mâ || || {{{-1 '''[[민동어]]'''}}} ||mā || || {{{-1 '''[[민남어]]'''}}} ||bé / bée / má || || {{{-1 '''[[오어]]'''}}} ||mo (T3); ma (T3) || ||<-3> || ||<|2> '''[[일본어]]''' || {{{-1 '''음독'''}}} ||バ, {{{#c88 マ, メ}}} || || {{{-1 '''훈독'''}}} ||うま, (ま){{{#c88 }}} || ||<-3> || ||<-2> '''[[베트남어]]''' ||mã || [[유니코드]]에는 U+99AC[* 马는 U+99AC]에 배당되어 있고, [[주음부호]]로는 ㄇㄚˇ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尸手尸火(SQSF)[* 马는 弓女尸一(NVSM) 또는 弓中女一(NLVM) 또는 弓心一(NPM)]로 입력한다. 馬는 다음과 같은 이체자들이 있다 : 𫠉, 傌, 𢒗, 𢒠, 𢒧, 𩡬, 𩡮 등등. 일부 웹환경에서는 글자가 보이지 않을 수 있으니 유의바람. 馬는 말의 모습 본떠서 만든 [[상형자]]이다. 다음은 馬자의 변천과정이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9%A6%AC-oracle.svg.png|bgcolor=#ffffff]]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9%A6%AC-bronze.svg.png|bgcolor=#ffffff]]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9%A6%AC-silk.svg.png|bgcolor=#ffffff]]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9%A6%AC-bigseal.svg.png|bgcolor=#ffffff]]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9%A6%AC-seal.svg.png|bgcolor=#ffffff]] 첫번째 그림을 보면 알겠지만 말의 모습이 확연하게 눈에 띈다.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馬의 부수형태로는 변, 방, 발 등이 있다. 말마부는 [[강희자전]]에서 187번째로 분류되어있는 부수로, 그것을 부수로 삼는 한자는 472개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옛날에 주로 말이 탈것으로 많이 이용되다 보니 車와 혼용해서 말과 관련이 있거나 아니면 탈것을 나타낼때 쓰인다. == 용례 == === [[단어]] === * 거마([[車]]馬) * [[경마]]([[競]]馬) * [[기마]]([[騎]]馬) * [[뜀틀|도마]]([[跳]]馬) * [[마력]](馬[[力]]) * 마인(馬[[印]]) * [[마인어]](馬[[印]][[語]]) * [[마차]](馬[[車]]) * [[마한]](馬[[韓]]) * [[목마]]([[木]]馬) * [[백마]]([[白]]馬) * [[승마]]([[乘]]馬) * 죽마([[竹]]馬) * 준마([[駿]]馬) * 출마([[出]]馬) * [[하마]]([[河]]馬) * [[해마]]([[海]]馬) * [[흑마]]([[黑]]馬) === [[고사성어]]/[[숙어]] === * 견마지심([[犬]]馬[[之]][[心]]) * [[노마식도]]([[老]]馬[[識]][[途]]) * [[마이동풍]](馬[[耳]][[東]][[風]]) * [[새옹지마]]([[塞]][[翁]][[之]]馬) * 융마지간([[戎]]馬[[之]][[間]]) * [[죽마고우]]([[竹]]馬[[故]][[友]]) * [[지록위마]]([[指]][[鹿]][[爲]]馬) * [[천고마비]]([[天]][[高]]馬[[肥]]) === [[인명]] === [include(틀:한국의 성씨 한자)] [[성씨]]를 제외한 인명에서의 馬는 불용한자[* 不用漢字. 이름에 쓸 수 없는 한자.]는 아니나, 사람의 지위를 격하시킨다고 하여 권장하지 않는 한자이기 때문에 한국 이름에서는 쓰이는 예가 별로 없다.[* 馬뿐만 아니라 가축을 뜻하는 [[牛]], [[羊]], [[猫]], [[狗]] 등의 한자도 같은 이유로 이름에 쓰는 걸 매우 기피한다. 이는 한중일 공통이다.] 그나마 馬자를 이름으로 쓰는 경우로는 접미사처럼 쓰는 일본 남자 이름들(유마, 쇼마, 케이마, 토우마, 타쿠마 등)이 가장 대표적인 예시. 馬자가 포함되는 성씨를 가진 인구가 좀 있는 편이다. * 성이 마씨인 인물 99% 이상[* [[麻]]를 쓰기도 하나 극소수다.] * [[마광수]](馬光洙) * [[마낙길]](馬樂吉) - 1, 2번 항목 인물 모두 한자표기가 馬樂吉이다 * [[마등]](馬騰) * [[마량]](馬良) * [[마속]](馬謖) * [[마일영]][* 전 야구선수](馬一英) * [[마잉주]](馬英九) * [[마재윤]](馬在允)~~[[마주작|魔做作]]~~ * [[마종기]](馬鍾基) * [[마초]](馬超) * 성이 사마(司馬)씨인 인물 전원 * [[사마경]](司馬冏) * [[사마광]](司馬光) * [[사마광덕]](司馬廣德) * [[사마기]](司馬岐) * [[사마륜]](司馬倫) * [[사마방]](司馬防) * [[사마부]](司馬孚) * [[사마안]](司馬晏) * [[사마염]](司馬炎) * [[사마의]](司馬懿) * [[사마정국]](司馬定國) * [[사마제]](司馬濟) * [[사마천]](司馬遷) - 이 쪽의 두 후손은 성으로 司馬가 아닌 각각 同와 馮을 쓴다. * [[사마혁]](司馬奕) * [[사마휘]](司馬徽) * [[사마휼]](司馬遹) * [[시바 료타로]](司馬遼太郎) - 본명은 아님. * 성이 바바(馬場)인 인물 전원. * [[바바 스미에]](馬場 澄江) * [[바바 코노미]](馬場 このみ) * [[바바 후미카]](馬場ふみか) * [[자이언트 바바]](ジャイアント馬場) * 이름에 馬가 들어가는 인물 * [[메즈마루]](馬[[頭]][[丸]]) * [[박단마]](朴丹馬) - [[일제강점기]]의 [[가수]] 겸 [[배우]] * [[이용마]](李容馬) * [[이제마]][* 시인](李濟馬) * [[오마 코키치]]([[王]]馬 [[小]][[吉]]) - [[뉴 단간론파 V3 -모두의 살인 신학기-]]의 등장인물 * [[우치다 유우마]](内田 雄馬) * [[사이토 소마]](斉藤 壮馬) * [[야마모토 쇼마]](山本 匠馬) * [[사카모토 료마]](坂本 龍馬) * [[나가츠카 타쿠마]](永塚 拓馬) * [[타카다노바바 조지]]([[高]][[田]]馬[[場]] ジョージ) === [[지명#s-2]] === 한국에 馬가 쓰이는 지명이 상당히 많은데, 이름의 유래가 해당 지역의 지리가 말의 어떤 신체 부위와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경우가 많다. * [[금마면]]([[金]]馬[[面]]) * [[마라도]](馬[[羅]][[島]]) * [[마산]](馬[[山]]) * [[마이산]](馬[[耳]][[山]]) * [[마장동]](馬[[場]][[洞]]) * [[마장역]] * [[갈마동]]([[葛]]馬[[洞]]) * [[마천동]](馬[[川]][[洞]]) * [[마천역]] * [[세마역|세마]]([[洗]]馬) * [[철마면]]([[鐵]]馬[[面]]) * [[용마산역]] * [[마두역]] * [[경마공원역]] * [[군마현]]([[群]]馬[[県]]) * [[미나미소마시]]([[南]][[相]]馬[[市]]) * [[소마시]]([[相]]馬[[市]]) * [[쓰시마 섬]]([[対]]馬[[島]]) * 마궁시(馬[[公]][[市]]) === [[창작물]] === * [[馬と鹿]] [[분류:5급 한자]][[분류:제부수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include(틀:포크됨2, title=馬, d=2023-02-03 04:49:50)] === 여담 === * 馬(むま). [[기제목]]. 옛날 [[한반도]]에서 전해졌다. 'ウマ'[[馬]],'ウマゴ'[[孫]],'ウマシ'[[旨]],'ウバラ'[[茨]],'ウメ'[[梅]],'ウバフ'[[奪]],'ウベ'[[宜]] 등과 마찬가지로 헤이안 시대 초기[* 대략 [[790년대]]에서, [[950년대]]까지]까지는, 그 첫 발음이 [[う]]로 표기되어, 그 이후에는 [[む]]라고 표기되는 것이 많아졌다. 화명 초(和明抄)에도, 「 无万' ムマ'」라고 보인다.[[http://erde8873.com/nippon/japanese/gotoujuushiin.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