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파일:umatoshika_logo_white.png|width=30%]] || ||<-3>{{{#!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yonezukeshi_baka.jpg|width=100%]]}}}|| ||<-3> '''싱글 재킷''' || || '''노래''' ||<-2><|4>[[요네즈 켄시]]|| || '''작사''' || || '''작곡''' || || '''편곡''' || || '''발매일''' ||<-2>2019. 09. 11.|| ||<|2> '''노래방''' || [[금영엔터테인먼트|[[파일:금영엔터테인먼트 심볼.svg|height=21]]]] ||44448|| || [[TJ미디어|[[파일:TJ미디어 심볼.svg|height=21]]]] ||68094|| [목차] [clearfix] == 개요 == '''{{{+3 [ruby(馬, ruby=うま)]と[ruby(鹿, ruby=しか)]/Uma to Shika}}}''' [[요네즈 켄시]]의 노래. TBS계 드라마 〈노 사이드 게임〉의 주제가로 사용되었다. == 상세 == 10th 싱글의 표제곡. 일반적으로 드라마 주제가는 드라마 방영 이전 담당 아티스트를 미리 발표하는 것이 관례이나, 본 곡은 전혀 사전 정보 없이 2019년 7월 7일 첫 방송 도중 곡이 흘러나오며 깜짝 공개되었다. 싱글 발매는 2019년 9월 11일. 발매를 약 한 달 앞둔 2019년 8월 12일 0시부터 음원의 사전 판매가 개시되었다. 공식 MV는 [[바다의 유령]]과 마찬가지로 2019년 9월 2일 월요일 밤 도쿄에서 개최된 '거울의 상영회'라는 이름의 특별 추첨 상영회를 통해 공개되었다. 공식 유튜브 채널에는 다음 날인 9월 3일 오전 8시경 업로드되었다. 제목인 '말과 사슴'은 바보를 뜻하는 [[바카]](馬鹿)를 변형한 것으로 보인다.[* 가사 중 '이것이 사랑이 아니면 무엇이라 부르는지 나는 몰랐어' 부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단 2개월 만에 조회수 6000만을 돌파해버리는 엄청난 인기를 자랑중. 금영노래방에 44448, TJ미디어에 68094번으로 수록되었다. == 영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ptnYBctoexk)]}}} || || '''{{{#white 공식 M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BOll7hFQu08)]}}} || || '''{{{#white 공식 음원}}}''' || == 가사 == || [[파일:umatoshika_logo.png|width=30%]] {{{#7f7f7f [ruby(歪, ruby=ゆが)]んで[ruby(傷, ruby=きず)]だらけの[ruby(春, ruby=はる)] 유간데 키즈다라케노 하루 뒤틀리고 상처투성이인 봄 [ruby(麻, ruby=ま)][ruby(酔, ruby=すい)]も[ruby(打, ruby=う)]たずに[ruby(歩, ruby=ある)]いた 마스이모 우타즈니 아루이타 마취도 맞지 않고 걸었어 [ruby(体, ruby=からだ)]の[ruby(奥底, ruby=おくそこ)]で[ruby(響, ruby=ひび)]く 카라다노 오쿠소코데 히비쿠 몸 안쪽에서 울려와 [ruby(生, ruby=い)]き[ruby(足, ruby=た)]りないと[ruby(強, ruby=つよ)]く 이키타리나이토 츠요쿠 더 살고 싶다고 강하게 まだ[ruby(味, ruby=あじ)]わうさ [ruby(噛, ruby=か)]み[ruby(終, ruby=お)]えたガムの[ruby(味, ruby=あじ)] 마다 아지와우사 카미오에타 가무노 아지 다 씹어버린 껌의 맛을 아직도 맛보고 있어 [ruby(冷, ruby=さ)]めきれないままの[ruby(心, ruby=こころ)]で 사메키레나이 마마노 코코로데 아직 다 식지 않은 마음으로 ひとつひとつなくした[ruby(果, ruby=は)]てに 히토츠히토츠 나쿠시타 하테니 하나하나 잃어버린 끝에 ようやく[ruby(残, ruby=のこ)]ったもの 요-야쿠 노콧타모노 겨우 남은 것 これが[ruby(愛, ruby=あい)]じゃなければなんと[ruby(呼, ruby=よ)]ぶのか 코레가 아이쟈 나케레바 난토 요부노카 이것이 사랑이 아니라면 뭐라 불러야 할지 [ruby(僕, ruby=ぼく)]は[ruby(知, ruby=し)]らなかった 보쿠와 시라나캇타 나는 몰랐어 [ruby(呼, ruby=よ)]べよ [ruby(花, ruby=はな)]の[ruby(名, ruby=な)][ruby(前, ruby=まえ)]をただ[ruby(一, ruby=ひと)]つだけ 요베요 하나노 나마에오 타다 히토츠다케 부르라고, 꽃의 이름을 그저 하나만 [ruby(張, ruby=は)]り[ruby(裂, ruby=さ)]けるくらいに 하리사케루 쿠라이니 가슴이 터질 정도로 [ruby(鼻先, ruby=はなさき)]が[ruby(触, ruby=ふ)]れる [ruby(呼, ruby=こ)][ruby(吸, ruby=きゅう)]が[ruby(止, ruby=と)]まる 하나사키가 후레루 코큐우가 토마루 코끝이 떨리고 호흡이 멈추는 [ruby(痛, ruby=いた)]みは[ruby(消, ruby=き)]えないままでいい 이타미와 키에나이 마마데 이이 아픔은 사라지지 않는 채로도 좋아 [ruby(疲, ruby=つ)]れたその[ruby(目, ruby=め)]で[ruby(何, ruby=なに)]を[ruby(言, ruby=い)]う 츠카레타 소노 메데 나니오 이우 지쳐버린 그 눈으로 무얼 말하나 [ruby(傷跡, ruby=きずあと)][ruby(隠, ruby=かく)]して[ruby(歩, ruby=ある)]いた 키즈아토 카쿠시테 아루이타 상처 자국을 감추며 걸었어 そのくせ[ruby(影, ruby=かげ)]をばら[ruby(撒, ruby=ま)]いた 소노쿠세 카게오 바라마이타 그런 주제에 그림자를 흩뿌렸어 [ruby(気, ruby=き)]づいて[ruby(欲, ruby=ほ)]しかった 키즈이테 호시캇타 눈치채주길 바랐어 まだ[ruby(歩, ruby=ある)]けるか [ruby(噛, ruby=か)]み[ruby(締, ruby=し)]めた[ruby(砂, ruby=すな)]の[ruby(味, ruby=あじ)] 마다 아루케루카 카미시메타 스나노 아지 아직 걸을 수 있을까, 이를 악문 모래의 맛 [ruby(夜, ruby=よ)][ruby(露, ruby=つゆ)]で[ruby(濡, ruby=ぬ)]れた[ruby(芝生, ruby=しばふ)]の[ruby(上, ruby=うえ)] 요츠유데 누레타 시바후노 우에 밤이슬에 젖은 잔디밭 위에서 はやる[ruby(胸, ruby=むね)]に [ruby(尋, ruby=たず)]ねる[ruby(言, ruby=こと)][ruby(葉, ruby=ば)] 하야루 무네니 타즈네루 코토바 설레는 가슴에 물어보는 말 [ruby(終, ruby=お)]わるにはまだ[ruby(早, ruby=はや)]いだろう 오와루니와 마다 하야이다로- 끝내기에는 아직 이르잖아 [ruby(誰, ruby=だれ)]も[ruby(悲, ruby=かな)]しまぬように[ruby(微笑, ruby=ほほえ)]むことが 다레모 카나시마누요-니 호호에무 코토가 누구도 슬퍼하지 않도록 미소짓는 걸 [ruby(上手, ruby=うま)]くできなかった 우마쿠데키나캇타 잘 할 수 없었어 [ruby(一, ruby=ひと)]つ ただ[ruby(一, ruby=ひと)]つでいい [ruby(守, ruby=まも)]れるだけで 히토츠 타다 히토츠데 이이 마모레루다케데 하나만, 단 하나만이면 돼, 지킬 수만 있다면 それでよかったのに 소레데 요캇타노니 그것만으로도 좋았는데 あまりにくだらない [ruby(願, ruby=ねが)]いが[ruby(消, ruby=き)]えない 아마리니 쿠다라나이 네가이가 키에나이 너무나도 시시한 이 소원이 사라지지 않아 [ruby(誰, ruby=だれ)]にも[ruby(奪, ruby=うば)]えない[ruby(魂, ruby=たましい)] 다레니모 우바에나이 타마시이 누구도 빼앗을 수 없는 영혼 [ruby(何, ruby=なに)]に[ruby(例, ruby=たと)]えよう [ruby(君, ruby=きみ)]と[ruby(僕, ruby=ぼく)]を [ruby(踵, ruby=かかと)]に[ruby(残, ruby=のこ)]る[ruby(似, ruby=に)]た[ruby(傷, ruby=きず)]を 나니니 타토에요- 키미토 보쿠오 카카토니 노코루 니타 키즈오 무엇에 비유할까, 너와 나를 발뒤꿈치에 남은 닮은 상처를 [ruby(晴, ruby=は)]れ[ruby(間, ruby=ま)]を[ruby(結, ruby=ゆ)]えばまだ[ruby(続, ruby=つづ)]く [ruby(行, ruby=ゆ)]こう[ruby(花, ruby=はな)]も[ruby(咲, ruby=さ)]かないうちに 하레마오 유에바 마다 츠즈쿠 유코- 하나모 사카나이 우치니 갠 하늘을 엮으면 아직 계속 돼, 가자 꽃조차 피지 않는 동안에 これが[ruby(愛, ruby=あい)]じゃなければなんと[ruby(呼, ruby=よ)]ぶのか 코레가 아이쟈나케레바 난토 요부노카 이게 사랑이 아니라면 뭐라 불러야 할지 [ruby(僕, ruby=ぼく)]は[ruby(知, ruby=し)]らなかった 보쿠와 시라나캇타 나는 몰랐어 [ruby(呼, ruby=よ)]べよ [ruby(恐, ruby=おそ)]れるままに[ruby(花, ruby=はな)]の[ruby(名, ruby=な)][ruby(前, ruby=まえ)]を 요베요 오소레루 마마니 하나노 나마에오 부르라고, 겁내는 그대로 꽃의 이름을 [ruby(君, ruby=きみ)]じゃなきゃ[ruby(駄目, ruby=だめ)]だと 키미쟈나캬 다메다토 네가 아니면 안 된다고 [ruby(鼻先, ruby=はなさき)]が[ruby(触, ruby=ふ)]れる [ruby(呼, ruby=こ)][ruby(吸, ruby=きゅう)]が[ruby(止, ruby=と)]まる 하나사키가 후레루 코큐우가 토마루 코끝이 떨리고 호흡이 멈추는 [ruby(痛, ruby=いた)]みは[ruby(消, ruby=き)]えないままでいい 이타미와 키에나이 마마데 이이 아픔은 사라지지 않는 채로도 좋아 あまりにくだらない [ruby(願, ruby=ねが)]いが[ruby(消, ruby=き)]えない 아마리니 쿠다라나이 네가이가 키에나이 너무나도 시시한 이 소원이 사라지지 않아 [ruby(止, ruby=や)]まない 야마나이 멈추지 않아}}} [br] || == 관련 항목 == [include(틀:요네즈 켄시)] ||<-2> [[요네즈 켄시/디스코그래피#s-3.2.10|[[파일:umatoshika_logo_white.png|width=200]]]] || ||<-2> 2019. 09. 11. || ||<#DCDCDC> 트랙 ||<#DCDCDC> 곡명 || || '''1''' || '''馬と鹿 {{{-3 {{{#gray ([[馬と鹿|말과 사슴]])}}}}}}''' || || '''2''' || 海の幽霊 {{{-3 {{{#gray ([[海の幽霊|바다의 유령]])}}}}}} || || '''3''' || でしょましょ{{{-3 {{{#gray ([[でしょましょ|데쇼마쇼]])}}}}}} || ||<-2> {{{-2 5th Album}}}[br][[요네즈 켄시/디스코그래피#s-3.3.5|[[파일:yk_sslogo_offical.png|width=200]]]] || ||<-2> 2020. 08. 05. || ||<#DCDCDC> 트랙 ||<#DCDCDC> 곡명 || || '''1''' || [[캄파넬라(요네즈 켄시)|カムパネルラ]] || || '''2''' || [[Flamingo]] || || '''3''' || [[感電]] || || '''4''' || [[PLACEBO(요네즈 켄시)|PLACEBO]] || || '''5''' || [[파프리카(음악)|パプリカ]] || || '''6''' || [[馬と鹿]] || || '''7''' || [[優しい人]] || || '''8''' || [[Lemon(요네즈 켄시)|Lemon]] || || '''9''' || [[まちがいさがし]] || || '''10''' || [[ひまわり]] || || '''11''' || [[迷える羊]] || || '''12''' || [[Décolleté]] || || '''13''' || [[TEENAGE RIOT]] || || '''14''' || [[海の幽霊]] || || '''15''' || [[カナリヤ(요네즈 켄시)|カナリヤ]] || [[분류:요네즈 켄시/음악]][[분류:2019년 노래]][[분류:제목이 일본어인 문서]][[분류:일본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