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首}}}머리 수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首, 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9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5급 한자|{{{#000,#fff 준5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シュ{{{#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くび, {{{#c88 こうべ, しるし, はじ-め, もう-す}}}}}}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shǒu{{{#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px-首-order.gif]]}}}||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首자는 [[머리]]를 의미한다. == 상세 == 사람의 머리를 앞에서 본 형상을 본뜬 [[상형자]]이다. 가장 기본적인 뜻은 '머리'이다. 그러나 '머리'라는 뜻은 사전, 고대문헌에서나 보이는 수준이고[* '머리'라는 뜻은 전국시대 때부터 [[頭]](머리 두)로 대체되었다.] 현재는 처음, 시작, 제일이라는 뜻의 [[형용사]]로 쓰이거나 우두머리라는 뜻으로 쓰인다. 또한 시, 가곡 등을 세는 [[양사(중국어)|양사]]의 일종으로 쓰인다. 또한 일본어에서는 首의 훈독을 くび(쿠비)라 읽는데 머리와 몸통을 연결하는 목 부분만을 지칭하는 뜻도 있다.[* 가끔씩 [[해고|짤렸다]]는 뜻으로도 쓰인다. 한국에서 "모가지"를 해고의 의미로 쓰는 것과 비슷하다. 단, 이 경우에는 [[가타카나]]로 クビ라고 적는 것이 일반적.] [[유니코드]]는 9996에 배당되었으며, [[한자검정시험]]은 [[한자/급수별|준5급]]으로 분류된다. == 자형 == || [[파일:120px-首-oracle.svg.png]] || [[파일:120px-首-bronze.svg.png]] || [[파일:120px-首-bigseal.svg.png]] || [[파일:120px-首-seal.svg.png]] || || 갑골문 || 금문 || 대전체 || 소전체 || == 용례 == === [[단어]] === * [[교수형]]([[絞]]首[[形]]) * [[당수]]([[黨]]首) * 몽수([[蒙]]首) * [[백수문]]([[白]]首[[文]]) * [[부수]]([[部]]首) * [[비수]]([[匕]]首) * [[선수(동음이의어)#s-3|선수]]([[船]]首) * [[구상선수]]([[球]][[狀]][[船]]首) * 선수기([[船]]首[[旗]]) * 선수루([[船]]首[[樓]]) * 선수묘([[船]]首[[錨]]) * 선수미선([[船]]首[[尾]][[線]]) * 선수삭([[船]]首[[索]]) * [[선수상]]([[船]]首[[像]]) * 선수재([[船]]首[[材]]) * 선수창([[船]]首[[窓]]/[[船]]首[[艙]]) * 선수파([[船]]首[[波]]) * 정선수([[正]][[船]]首) * 세수([[歲]]首) * [[수간호사]](首[[看]][[護]][[師]]) * [[수괴]](首[[魁]]) * 수긍(首[[肯]]) * 수뇌(首[[腦]]) * 수뇌부(首[[腦]][[部]]) * [[수도(도시)|수도]](首[[都]]) * [[수도군단]](首[[都]][[軍]][[團]]) * [[수도권]](首[[都]][[圈]]) * [[수도권 전철]](首[[都]][[圈]] [[電]][[鐵]]) * [[수도직하지진]](首[[都]][[直]][[下]][[地]][[震]]) * [[수령]](首[[領]]) * [[수미상관]](首[[尾]][[相]][[關]]) * [[수반]](首[[班]]) * [[수상]](首[[相]]) * [[부수상]]([[副]]首[[相]]) * [[수석]](首[[席]]) * [[수제자]](首[[弟]][[子]]) * [[원수(계급)|원수]]([[元]]首) * [[국가원수]]([[國]][[家]][[元]]首) * [[자수(법률)|자수]]([[自]]首) * [[참수]]([[斬]]首) * [[효수]]([[梟]]首) === [[고사성어]]/[[숙어]] === * 계수주인([[界]]首[[主]][[人]]) * 백수북면([[白]]首[[北]][[面]]) * [[수구초심]](首[[丘]][[初]][[心]]) * [[수서양단]](首[[鼠]][[兩]][[端]]) * 저수부답([[低]]首[[不]][[答]]) * [[저수하심]]([[低]]首[[下]][[心]]) * [[학수고대]]([[鶴]]首[[苦]][[待]]) === [[인명]] === * 간쿠비 키세루([[雁]]首 キセル) * [[구수왕]]([[仇]]首[[王]]) * [[수로왕|김수로]]([[金]]首[[露]]) * [[노쿠비 나오코]]([[野]]首 [[南]][[帆]][[子]]) * [[슈소 노조미]](首[[座]] のぞみ) * [[쿠비키리 바사라]](首[[斬]]り [[破]][[沙]][[羅]]) === [[지명#s-2]] === * [[경상북도]] [[영양군]] [[수비면]]([[英]][[陽]][[郡]] 首[[比]][[面]]) === 기타 === * [[수기사]](首[[機]][[師]])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명칭: 머리수부 강희자전 안에 185번째에 수록된 부수로 강희자전안에 20자가 수록되었다.(49,030자 중) === 부수 예 === ||추가 획||한자|| ||기본자||首|| ||2획||[[馗]]|| ||8획||[[馘]]|| === 나라별 부수명칭 === * 한국: 머리수부 * 중국: [ruby(首部, ruby=shǒubù)] * 일본: くび * 미국: Radical head == 유의자 == * [[𨼽]](우두머리 거) * [[魁]](우두머리 괴) * [[𠰡]](우두머리 금) * [[頭]](머리 두) * [[酋]](우두머리 추) * [[頁]](머리 혈) == 상대자 == * [[尾]](꼬리 미) [[분류:준5급 한자]][[분류:제부수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