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특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饑}}}주릴 기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食|{{{#000,#fff 食}}}]], 12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21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특급 한자|{{{#000,#fff 준특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キ}}}}}}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う-える, ひだる-い}}}}}}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jī{{{#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饑는 ''''주릴 기''''라는 [[한자]]로, '주리다', '굶주리다'를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9951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OIVII(人戈女戈戈)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食]](밥/먹을 식)과 소리를 나타내는 [[幾]](몇 기)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飢]](주릴 기)와 혼동되고는 한다. 飢와 饑는 광운상 발음이 다르며[* 飢(居夷切), 饑(居依切)], 饑의 본래 뜻은 '흉년이 들다', '기근(famine)'이고, 飢의 본래 뜻은 '배고프다'이고, 그러나 이러한 구별이 모호하여 서로 통용되었으며 현대에는 발음이 완전히 같아졌기에, 飢가 饑의 약자인 것처럼 취급되기도 한다. 자세히는 [[飢]] 문서 참조 == 용례 == === [[단어]] === * 기갈(饑[[渴]]) * 기궁(饑[[窮]]) * [[기근]](饑[[饉]]) * 기병(饑[[病]]) * 기사(饑[[死]]) * [[기아(동음이의어)#s-4|기아]](饑[[餓]]) * 기포(饑[[飽]]) * 요기([[療]]饑) * 요기차([[療]]饑[[次]]) * 초요기([[初]][[療]]饑) * 허기([[虛]]饑) === [[고사성어]]/[[숙어]] === * 기기기닉([[己]]饑[[己]][[溺]]) * 기불택식(饑[[不]][[擇]][[食]]) * 기염조강(饑[[厭]][[糟]][[糠]]) * 기오지금(饑[[烏]][[之]][[噤]]) * 기치지규(饑[[鴟]][[之]][[叫]]) == 유의자 == * [[饉]](주릴 근) * [[餒]](주릴 뇌) * [[飢]](주릴 기) * [[餓]](주릴 아) * [[䬶]](주릴 안) * [[𩚬]](주릴 액) * [[𩞄]](주릴 조) * [[𩜀]](주릴 추) * [[顑]](주릴 함) == 상대자 == * [[飫]](배부를 어) * [[饜]](포식할 염) * [[飽]](배부를 포)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𦏑]]^^[⿰羊幾]^^(가를 기) * [[㙨]](경기 기)[* [[畿]](경기 기)의 [[동자#s-2]]] * [[鐖]](낫 기) * [[䤒]](마실 기) * [[𩦋]]^^[⿰馬幾]^^(말 기) * [[耭]](밭갈 기) * [[穖]](벼꽃술 기) * [[璣]](별이름 기) * [[譏]](비웃을 기) * [[𦠄]]^^[⿰⺼幾]^^(살갗 기) * [[僟]](삼갈 기) * [[蟣]](서캐 기) * [[𧰙]]^^[⿰豈幾]^^(악장이름/바랄 기, 가까울 애/의, 악장이름 개) * [[磯]](여울돌 기) * [[𪙧]]^^[⿰齒幾]^^(이흔들릴 기) * [[鞿]](재갈 기) * [[禨]](조짐 기) * [[𧝞]](징조 기) * [[嘰]](쪽잘거릴 기) * [[機]](틀 기) * [[𡡤]] * [[𡼠]]^^[⿰山幾]^^ * [[𢴰]]^^[⿰扌幾]^^ * [[𢡧]]^^[⿰忄幾]^^ * [[𣊉]] * [[𥼘]]^^[⿰米幾]^^ * [[𬘁]]^^[⿰糸幾]^^ * [[𪅹]]^^[⿰鳥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