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食}}}밥/먹을 식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食, 0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9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준7급}}}}}}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ショク, (ジキ){{{#c88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く-う, く-らう, た-べる, {{{#c88 は-む}}}}}}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shí{{{#c88 }}}}}}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px-食-order.gif]]}}}||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食은 ''''밥 식'''' 또는 ''''먹을 식''''이라는 [[한자]]로, '[[밥]]', '[[음식]]', '먹다' 등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밥 || || {{{-1 '''음'''}}} ||식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shí || || {{{-1 '''[[광동어]]'''}}} ||sik^^6^^ || || {{{-1 '''[[객가어]]'''}}} ||sṳ̍t || || {{{-1 '''[[민북어]]'''}}} ||sī[* 양거] / iè[* 양입] || || {{{-1 '''[[민동어]]'''}}} ||sĭk[*文 [[문독]]] / siĕk[*白 [[백독]]] || || {{{-1 '''[[민남어]]'''}}} ||si̍t[*文] / tsia̍h[*白] || || {{{-1 '''[[오어]]'''}}} ||zeq (T5) || ||<-3> || ||<|2> '''[[일본어]]''' || {{{-1 '''음독'''}}} ||ショク, (ジキ) || || {{{-1 '''훈독'''}}} ||く-う, く-らう, た-べる, {{{#c88 は-む}}} || ||<-3> || ||<-2> '''[[베트남어]]''' ||thực || 글자의 자원은 [[설문해자]]에 따르면 곡물의 냄새를 의미하는 皀와 음을 나타내는 亼가 결합된 [[형성자]]라 판단하고 있으며, 위 견해와는 다르게 갑골문이나 금문과 같은 고문자 연구에서는 그릇에 음식물이 가득 담겨진 것을 나타낸 皀 부분과 亼가 합쳐진 형태로, 亼 모양은 口(입 구)를 180도 뒤집은 것을 나타냈다는 설과 식기의 뚜껑을 나타냈다는 설이 있다. 이 글자는 때로는 [[飼]](먹일 사)의 [[통가자]]로 쓰여, '먹이다' 등의 뜻으로 쓰이는 데 이 때는 '사'로 읽는다. 또 밥을 뜻할 때 일부 단어에서는 '사'로 읽기도 하는데, 고전 문학에서 종종 등장하는 단어인 簞食瓢飮(단사표음)[* 직역하자면 '대그릇에 담긴 밥과 표주박에 담긴 음료수'로, 속뜻은 '매우 소박한 생활'이다.]의 사가 바로 食이다. [[유니코드]]에는 U+98DF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OIAV(人戈日女)로 입력한다. == 자형 == ||<:>[[파일:120px-食-oracle.svg.png]]||<:>[[파일:120px-食-bronze.svg.png]]||<:>[[파일:邑-bigseal.svg.png]]||<:>[[파일:120px-食-seal.svg.png]]|| ||<:>갑골문||<:>금문||<:>대전체||<:>소전체|| 갑골문에서는 음식이 담긴 그릇과 위에 180도 뒤집어놓은 입 구(口)자, 침을 나타내는 선 2개를 그려 음식을 막 먹으려고 하는 것을 나타냈다. == 용례 == === [[단어]] === * [[집밥|가정식]]([[家]][[庭]]食) * [[간식]]([[間]]食) * 거식([[拒]]食) * [[거식증]]([[拒]]食[[症]]) * 건강식([[健]][[康]]食) * [[결식]]([[缺]]食) * [[곡식]]([[穀]]食) * [[공식]]([[空]]食/[[共]]食) * [[과식]]([[過]]食) * [[금식]]([[禁]]食) * [[급식]]([[給]]食) * 급식량([[給]]食[[量]]) * 급식비([[給]]食[[費]]) * 급식소([[給]]食[[所]]) * 급식업계([[給]]食[[業]][[界]]) * 급식자([[給]]食[[者]]) * 학교급식([[學]][[校]][[給]]食) * [[기내식]]([[機]][[內]]食) * [[다식]]([[茶]]食) * 단사([[簞]]食) * [[단식]]([[斷]]食) * [[대식]]([[大]]食) * [[배식]]([[配]]食) * [[부식]]([[副]]食) * [[분식]]([[粉]]食) * [[생식]]([[生]]食) * [[소식]]([[小]]食) * [[숙식]]([[宿]]食) * [[시식]]([[時]]食) * [[식감]](食[[感]]) * [[식객]](食[[客]]) * [[식겁]](食[[怯]]) * 식경(食[[頃]]) * [[식구]](食[[口]]) * 군식구 (군食[[口]]) * [[식권]](食[[券]]) * [[식당]](食[[堂]]) * 식대(食[[代]]) * [[식량]](食[[糧]]) * [[식량난]](食[[糧]][[難]]) * [[식료품]](食[[料]][[品]]) * 식복(食[[福]]) * [[식사]](食[[事]]) * 식생활(食[[生]][[活]]) * 식솔(食[[率]]) * [[식수]](食[[水]]) * [[식약청]](食[[藥]][[廳]]) * [[식욕]](食[[慾]]) * 식용(食[[用]]) * 식용물(食[[用]][[物]]) * [[식용유]](食[[用]][[油]]) * 식용품(食[[用]][[品]]) * 식음(食[[飮]]) * 식이(食[[餌]]) * [[식중독]](食[[中]][[毒]]) * 식초산(食[[醋]][[酸]]) * [[식탁]](食[[卓]]) * [[식품]](食[[品]]) * [[가공식품]]([[加]][[工]]食[[品]]) * [[건강식품]]([[健]][[康]]食[[品]]) * [[기호식품]]([[嗜]][[好]]食[[品]]) * [[냉동식품]]([[冷]][[凍]]食[[品]]) * [[발효식품]]([[醱]][[酵]]食[[品]]) * [[보존식품]]([[保]][[存]]食[[品]]) * [[불량식품]]([[不]][[良]]食[[品]]) * [[즉석식품]]([[卽]][[席]]食[[品]]) * [[식혜]](食[[醯]]) * 악식([[惡]]食) * [[양식]]([[洋]]食) * [[경양식]]([[輕]][[洋]]式) * [[양식]]([[糧]]食) * [[외식]]([[外]]食) * [[우주식]]([[宇]][[宙]]食) * [[육식]]([[肉]]食) * [[육식동물]]([[肉]]食[[動]][[物]]) * [[음식]]([[飮]]食) * [[음식물]]([[飮]]食[[物]]) * [[음식점]]([[飮]]食[[店]]) * [[의식주]]([[衣]]食[[住]]) * [[이유식]]([[離]][[乳]]食) * [[일식]]([[日]]食) * 잠식([[蠶]]食) * [[잡식]]([[雜]]食) * [[잡식동물]]([[雜]]食[[動]][[物]]) * [[절식남]]([[絶]]食[[男]]) * [[정식]]([[定]]食) * [[조식]]([[朝]]食) * [[주식]]([[主]]食) * [[주식]]([[晝]]食) * [[채식]]([[菜]]食) * 초식([[草]]食) * [[초식동물]]([[草]]食[[動]][[物]]) * [[초식남]]([[草]]食[[男]]) * [[충식]]([[蟲]]食) * 포식([[飽]]食) * [[폭식증]]([[暴]]食[[症]]) * [[한식]]([[寒]]食/[[韓]]食) * [[화식]]([[和]]食) * [[환자식]]([[患]][[者]]食) * [[회식]]([[會]]食) === [[고사성어]]/[[숙어]] === * 무위도식([[無]][[爲]][[徒]]食) * [[식언]](食[[言]]) === [[인명]] === * [[역이기]]([[酈]]食[[其]]) * [[심이기]]([[審]]食[[其]]) * [[쇼쿠호 미사키]](食[[蜂]] [[操]][[祈]]) * [[아쿠지키노 카제]]([[惡]]食の[[風]]) * [[이이즈카 쿠로우도]]([[飯]][[塚]] 食[[人]]) * [[케마 토메사부로]](食[[満]] [[留]][[三]][[郎]]) === [[지명#s-2]] ===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식사동]](食[[寺]][[洞]]) * [[부산광역시]] [[강서구(부산광역시)|강서구]] [[식만동]](食[[滿]][[洞]]) === [[창작물]] === * [[음식보]]([[飮]]食[[譜]]) * [[장릉배식록]]([[莊]][[陵]][[配]]食[[錄]]) * [[食らいむ!まうんとぱふぇ]] === 기타 === * [[괴식]]([[怪]]食) * [[급식체]]([[給]]食[[體]]) * [[급식충]]([[給]]食[[蟲]]) * [[소식좌]]([[小]]食[[座]]) * [[육식녀]]([[肉]]食[[女]]) * [[전식]]([[戰]]食): '[[전투식량]]'의 준말 * [[초식남]]([[草]]食[[男]]) * [[초식녀]]([[草]]食[[女]]) === [[일본어]] === ==== [[훈독]] ==== 食의 [[훈독]]은 食(く)う, 食(く)らう, 食(た)べる 이렇게 세 가지가 있는데, 셋 다 '먹다'라는 뜻이다. 다만 くう는 남성들이 주로 사용하는 거칠고 비격식적인 말투이며, 여성들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먹다'라는 뜻의 동사는 たべる가 일반적이며, 남성들도 격식을 차려야 하는 경우나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たべる를 사용한다. 食(く)らう는 '먹다', '마시다'의 뜻도 있지만 '먹고살다'의 뉘앙스가 강하다. * 食(く)う おいおい、ウンコ食ってる時にカレーの話すんなよ([[똥 먹는데 카레 얘기하지 마라]])(...) * 食(く)らう 十日も食らえないお金(열흘도 먹고살 수 없는 돈) * 食(た)べる 君の膵臓を食べたい([[너의 췌장을 먹고 싶어]]) 사실 원제에서는 食べたい에서 한자를 사용하지 않고 그냥 たべたい로 썼다. ==== [[음독#s-1]] ==== しょく, じき 두 가지가 있다. * しょく * 菜食(さいしょく)([[채식]]) * 食事(しょくじ)([[식사]]) * じき * 断食(だんじき)([[단식]])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명칭 : 밥식부 강희자전 안에 184번째에 수록된 부수로서 강희자전 안에 이 부수를 사용하는 자는 403 자가 수록되있다. 부수의 의부로 붙을 때에는 음식물에 관한 뜻을 나타낸다. 좌측변에 붙었을 시 𩙿이나 飠와 같은 형태로 변하는데 한국에서는 전자를 쓰지만 일본 신자체와 대만,홍콩 번체자는 후자가 표준이다. 중국에선 간략화한 饣자를 사용한다. === 나라별 부수 명칭 === * 한국 : 밥식부 * 중국 : [ruby(食部, ruby=shíbù)] * 일본 : しょくへん * 미국 : Radical eat == 유의자 == * '''밥''' * [[奍]](밥 권) * [[𩛲]]^^[⿰𩙿芒]^^(밥 망) * [[飯]](밥 반) * [[飡]](밥 손, 벼슬이름 찬) * [[𩞅]]^^[⿰𩙿崔]^^(밥 쇠) * [[湌]](먹을 찬, 밥 손) * [[餐]](밥 찬) * '''먹다''' * [[𩚵]]^^[⿰𩙿甘]^^(먹을 감) * [[𩟂]]^^[⿰𩙿過]^^(먹을 과) * [[𠲹]]^^[⿱⿰口己心]^^(먹을 기) * [[喫]](먹을 끽) * [[𥤨]]^^[⿱穴女]^^(먹을 노) * [[餤]](먹을 담) * [[噉]](먹을 담, 소리칠 함) * [[嚂]](먹을 람) * [[𩜲]](먹을 복) * [[𩝑]]^^[⿰𩙿宣]^^(먹을 선) * [[喰]](먹을 식) * [[茹]](먹을 여) * [[𩜳]]^^[⿰𩙿勇]^^/[[𩚗]]^^[⿰𩙿冗]^^(먹을 용) * [[飵]](먹을 작/조) * [[𩟦]]^^[⿲𩙿雀戈]^^(먹을 절) * [[飡]]/[[𡄄]]^^[⿰口餐]^^(먹을 찬) * [[湌]](먹을 찬, 밥 손) * [[𩝞]]^^[⿰𩙿倉]^^(먹을 창) * [[啜]](먹을 철) * [[噍]](먹을 초, 새소리 추) * [[嗄]](먹을 하) * [[𪘁]](먹을 합) * [[𢻔]]^^[⿰果支]^^(먹을 해) * [[䭝]](먹을 회) * [[吃]](말더듬을 흘) - '말을 더듬다'라는 뜻이 있지만 [[중국어]]에서 '먹다'의 뜻으로 쓰인다. '니츠판러마(너 밥 먹었니)'의 '츠'가 바로 이 한자다. * '''기타''' *[[]]^^[⿰食多]^^ == 상대자 == * [[喫]](마실 끽) * [[飮]](마실 음)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倉]](곳집 창) == 여담 == * 1996년 [[올해의 한자]]로 선정되었다.[[https://www.kanken.or.jp/project/edification/years_kanji/1996.html|#]] [[올해의 한자#1996년]] 참고. [[분류:준7급 한자]][[분류:제부수 한자]][[분류:다음자/한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