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際}}}즈음/가 제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阜|{{{#000,#fff 阜}}}]], 11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4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4급 한자|{{{#000,#fff 준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サイ{{{#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きわ, {{{#c88 あい, まじ-わ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jì{{{#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際는 ''''즈음/가 제''''라는 [[한자]]로, '즈음'을 뜻한다. 어느 특정 시점 전후(前後)를 가리켜 '~할 즈음'의 의미로 쓴다. 옛 신문을 보면 '~의 際하여', '~할 際에'라고 적어놓기도 하였고, 어르신들은 아직도 '~할 제'라는 표현을 많이 쓰기도 한다. 이외에도 가장자리, 끝 부분, 변두리, 경계의 의미가 있고, 중국어에서는 갈림길의 의미로 자주 사용된다. '[[국제]](國際)'라는 단어처럼 어떠한 것들 사이 혹은 그 사이의 관계를 의미하기도 한다. == 상세 == [[유니코드]]는 U+969B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NLBOF(弓中月人火)로 입력한다. 본래는 서로 맞닿다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뜻을 나타내는 [[阜]](언덕 부) 자와 소리를 나타내는 [[祭]](제사 제) 자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阜' 자는 구획이 나누어진 모습을 의미하기도 하는데, '祭'의 본래 의미인 '접촉하다'라는 뜻과 합쳐서 '벽을 이은 곳이 꼭 맞다'라는 뜻이 되었다. == 용례 == === [[단어]] === * 교제([[交]]際) * [[국제]]([[國]]際) * [[국제가]]([[國]]際[[歌]]) * [[국제공항]]([[國]]際[[空]][[港]]) * [[국제기구]]([[國]]際[[機]][[構]]) * [[국제법]]([[國]]際[[法]]) * 국제적([[國]]際[[的]]) * [[국제주의]]([[國]]際[[主]][[義]]) * [[국제중학교]]([[國]]際[[中]][[學]][[校]]) * 국제항([[國]]際[[港]]) * 국제화([[國]]際[[化]]) * 실제([[實]]際) * 중제([[中]]際) - [[현재]]를 일컫는 말.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노기와 미호]]([[野]]際 [[美]][[保]]) * [[풍제중]]([[風]]際[[中]]) === [[지명#s-2]] === * [[경기도]] [[평택시]] [[고덕국제대로]]([[古]][[德]][[國]]際[[大]][[路]]) * [[경기도]] [[평택시]] [[국제로]]([[國]]際[[路]]) * [[국제고입구역]]([[國]]際[[高]][[入]][[口]][[驛]]) * [[부산광역시]] [[남구(부산광역시)|남구]] [[천제등로]]([[天]]際[[燈]][[路]]) *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역]]([[釜]][[山]][[港]][[國]]際[[旅]][[客]]터미널[[驛]]) * [[인천광역시]] [[서구(인천광역시)|서구]] [[국제대로]]([[國]]際[[大]][[路]]) * [[전라남도]] [[무안군]] [[해제면]]([[海]]際[[面]]) * [[키와나미 신호장]](際[[波]][[信]][[号]][[場]]) === [[창작물]] === * [[泥の分際で私だけの大切を奪おうだなんて]]([[진흙탕 주제에 나만의 소중함을 빼앗으려 하다니]]) * [[金輪際のエレジー]]([[영원의 엘레지]]) * [[スクランブル交際]]([[스크램블 교제]]) === 기타 === * [[終電間際≦オンライン。]]([[막차 직전 온라인]]) == 유의자 == * [[邊]](가 변) * [[塞]](변방 새, 막힐 색) * [[陲]](변방 수) == 반대자 == * [[央]](가운데 앙) * [[中]](가운데 중)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暩]](빛날 계) * [[㡜]](비단 조각 설) * [[㗫]](소곤거리는 말 절) * [[穄]](검은 기장 제) * [[除]](덜 제) * [[傺]](묵을 제) * [[漈]](물가 제) * [[憏]](실의할 제) * [[鰶]](전어 제) * [[𣘤]](나무 이름 찰) * [[縩]](고운 옷 채) * [[𧫕]](바른말 철) * [[𨄊]](빨리 갈 철) * [[䏅]](귀 밝을 체) * [[摖]](긁을 체) * [[𥉻]](볼 체) * [[䄞]](제) [[분류:준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