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7급 한자]][[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間}}}사이 간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門|{{{#000,#fff 門}}}]], 4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2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7급 한자|{{{#000,#fff 준7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カン, ケン{{{#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あいだ, ま, {{{#c88 あい, うかが-う,[br]しず-か, はざま, ひそ-かに}}}}}}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jiān, jià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間은 ''''사이 간''''이라는 [[한자]]로, '[[사이#s-1]]', '[[틈#s-1]]', '[[때#s-1]]' 등을 뜻한다. == 상세 == ||<-4><#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2>사이 || || {{{-1 '''음'''}}} ||<-2>간 || ||<-4>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jiān ||jiàn || || {{{-1 '''[[광동어]]'''}}} ||gaan^^1^^ ||gaan^^3^^ || || {{{-1 '''[[객가어]]'''}}} ||kiên ||kam || || {{{-1 '''[[민북어]]'''}}} ||gáing ||ga̿ing || || {{{-1 '''[[민동어]]'''}}} ||găng ||gáng || || {{{-1 '''[[민남어]]'''}}} ||kan[*文 [[문독]]] / keng[*白 [[백독]]] ||kàn || || {{{-1 '''[[오어]]'''}}} ||ji (T1)[*文] / ke (T1)[*白] ||ji (T2) || ||<-4> || ||<|2> '''[[일본어]]''' || {{{-1 '''음독'''}}} ||<-2>カン, ケン || || {{{-1 '''훈독'''}}} ||<-2>あいだ, ま, {{{#c88 あい, うかが-う,しず-か,[br]はざま, ひそ-かに}}} || ||<-4> || ||<-2> '''[[베트남어]]''' ||gian ||gián || [[유니코드]]에는 U+9593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日弓日(ANA)로 입력한다. [youtube(JXkgTEU4WIE)] 間, 閒, 閑의 관계에 대한 설명[* [[대만어]]이다.] [[회의자]]로, 원래 이 글자는 [[閒]](한가할 한)의 속자였다. 閒은 [[門]](문 문)과 [[月]](달 월)이 합쳐진 글자로, '문(門) 사이로 들어오는 달빛(月)'에서 '틈', '사이'라는 뜻을 가지게 되었다. 여기서 月이 [[日]](날 일)로 대체된 것이 바로 間이다. 그래서 의외로 [[강희자전]]을 포함하여 전근대의 한자사전에서는 間을 閒의 속자로 취급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거나 아예 등재하지 않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취급과는 별개로, 間은 일찍이 閒에 비해 훨씬 널리 쓰이고 있었는데, 결국 현대에 와서는 間 역시 표준자형으로 인정되면서 間이 오히려 閒을 완전히 대체했다. 한편 閒이 '틈', '한가하다'라는 의미로 쓰일 때는 [[閑]](한가할 한)을 가차하여 사용하기도 했는데, 현대에는 오히려 閒이 閑의 [[이체자]]로 취급되는 판이어서 閒의 처지가 굉장히 궁색해졌다(...). 단어 뒤에 붙거나 단독적으로 쓰여서 '~하는 동안', '~기간 동안'의 뜻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 글자는 중국에서는 다음자로, '사이', '중간', '방' 등의 뜻을 나타낼 때는 [[사성|평성]]으로, '틈', '사이를 두다', '이간질하다', '틈을 보다', '간간히', '번갈다' 등의 뜻을 나타낼 때는 [[사성|거성]]으로 읽는다. == 용례 == === [[단어]] === * '''[[간(동음이의어)|간]](間)''' * 간격(間[[隔]]) * [[간도]](間[[島]]) * [[간식]](間[[食]]) * 간접(間[[接]]) * 간접경험(間[[接]][[經]][[驗]]) * [[간접광고]](間[[接]][[廣]][[告]]) * 간접기관(間[[接]][[機]][[關]]) * 간접대리(間[[接]][[代]][[理]]) * 간접목적어(間[[接]][[目]][[的]][[語]]) * 간접무역(間[[接]][[貿]][[易]]) * 간접민주주의(間[[接]][[民]][[主]][[主]][[義]]) * 간접발생(間[[接]][[發]][[生]]) * 간접범(間[[接]][[犯]]) * 간접분석(間[[接]][[分]][[析]]) * 간접비(間[[接]][[費]]) * [[간접 선거]](間[[接]][[選]][[擧]]) * [[간접세]](間[[接]][[稅]]) * 간접시(間[[接]][[視]]) * 간접적(間[[接]][[的]]) * [[간접정범]](間[[接]][[正]][[犯]]) * 간접조사(間[[接]][[調]][[査]]) * 간접조준(間[[接]][[照]][[準]]) * [[간접증거]](間[[接]][[證]][[據]]) * 간접추리(間[[接]][[推]][[理]]) * 간접측량(間[[接]][[測]][[量]]) * 간접침략(間[[接]][[侵]][[略]]) * [[간접화법]](間[[接]][[話]][[法]]) * 간접환(間[[接]][換) * [[간접환승]](間[[接]][[換]][[乘]]) * 간접효용(間[[接]][[效]][[用]]) * [[간접흡연]](間[[接]][[吸]][[煙]]) * [[사회간접자본]]([[社]][[會]]間[[接]][[資]][[本]]) * [[간첩]](間[[諜]]) * 간헐(間[[歇]]) * 간헐류(間[[歇]][[流]]) * 간헐열(間[[歇]][[熱]]) * 간헐온천(間[[歇]][[溫]][[泉]]) * 간헐욕(間[[歇]][[浴]]) * 간헐적(間[[歇]][[的]]) * [[간헐적 단식]](間[[歇]][[的]] [[斷]][[食]]) * [[간헐천]](間[[歇]][[川]]/間[[歇]][[泉]]) * [[고간]]([[股]]間) * 곳간([[庫]]間) - 한자를 그대로 읽으면 '고간'. 참고로 예외적으로 횟수, 숫자 등과 더불어 사이시옷이 붙는 6개의 한자어이다. 자세한 내용은 [[사이시옷]] 문서 참조. * [[공간]]([[空]]間) *공수간([[供]][[需]]間) * [[구간]]([[區]]間) * 기간([[期]]間) * [[마구간]]([[馬]][[廏]]間) * 민간([[民]]間) * [[민간인]]([[民]]間[[人]]) * [[민간요법]]([[民]]間[[療]][[法]]) * [[산간#s-1|산간]]([[山]]間) * [[성간물질]]([[星]]間[[物]][[質]]) * 순간([[瞬]]間) * [[순간이동]]([[瞬]]間[[移]][[動]]) * [[순간접착제]]([[瞬]]間[[接]][[着]][[劑]]) * [[시간]]([[時]]間) * [[급식시간]]([[給]][[食]][[時]]間) * [[시간대]]([[時]]間[[帶]]) * [[시간표]]([[時]]間[[表]]) * [[실시간]]([[實]][[時]]間) * [[점심시간]]([[點]][[心]][[時]]間) * [[야간]]([[夜]]間) * [[야간열차]]([[夜]]間[[列]][[車]]) * [[인간]]([[人]]間) * [[식물인간]]([[植]][[物]][[人]]間) * [[인간관]]([[人]]間[[觀]]) * [[인간관계]]([[人]]間[[關]][[係]]) * [[인간문화재]]([[人]]間[[文]][[化]][[財]]) * [[인간성]]([[人]]間[[性]]) * [[인조인간]]([[人]][[造]][[人]]間) * [[투명인간]]([[透]][[明]][[人]]間) * [[홍익인간]]([[弘]][[益]][[人]]間) * 입담간([[立]][[談]]間) * [[정간보]]([[井]]間[[譜]]) * 정주간([[鼎]][[廚]]間) * [[주간]]([[晝]]間/[[週]]間) * 중간([[中]]間) * [[중간고사]]([[中]]間[[考]][[査]]) * 찻간([[車]]間) - 한자를 그대로 읽으면 '차간'. 역시 예외적으로 횟수, 숫자 등과 더불어 사이시옷이 붙는 6개의 한자어이다. 자세한 내용은 [[사이시옷]] 문서 참조. * 툇간([[退]]間) - 한자를 그대로 읽으면 '퇴간'. 역시 예외적으로 횟수, 숫자 등과 더불어 사이시옷이 붙는 6개의 한자어이다. 자세한 내용은 [[사이시옷]] 문서 참조. === [[고사성어]]/[[숙어]] === * 간어제초(間[[於]][[齊]][[楚]]) * [[견원지간]]([[犬]][[猿]][[之]]間) * 백중지간([[伯]][[仲]][[之]]間) * [[빙탄지간]]([[氷]][[炭]][[之]]間) * [[사제지간]]([[師]][[弟]][[之]]間) * 지호지간([[指]][[呼]][[之]]間) * 초가삼간([[草]][[家]][[三]]間) * [[홍익인간]]([[弘]][[益]][[人]]間) === [[인명]] === * [[규마 후미오]]([[久]]間 [[章]][[生]]) * [[마고로비 엠마]]([[真]][[行]][[路]][[日]] [[縁]]間) * [[마카미 보로]](間[[紙]] ボロ) * [[마토 카리야]](間[[桐]] [[雁]][[夜]]) * [[모노마 네이토]]([[物]]間 [[寧]][[人]]) * [[미즈마 토모미]]([[水]]間 [[友]][[美]]) * [[아이가미 시오리]](閒[[神]] [[栞]]) * [[오쿠마 타누키치]]([[奧]]間 [[狸]][[吉]]) * [[카자마 토오루]]([[風]]間 トオル) * [[코마 엔지]]([[古]]間 [[円]][[児]]) * [[한마 슈지]]([[半]]間 [[修]][[二]]) * [[히루마 슌야]]([[比]][[留]]間 [[俊]][[哉]]) === [[지명#s-2]] === * [[자마시]]([[座]]間[[市]]) === [[창작물]] === * [[夜間行]] * [[断罪は遍く人間の元に]] * ダンジョンに出会いを求めるのは間違っているだろうか([[던전에서 만남을 추구하면 안 되는 걸까]]) * [[間違いじゃない 泣いたりしない / スキップ・スキップ・スキップ / 君と僕の絆 feat.KIKI]] === 기타 === * [[인간사료]]([[人]]間[[飼]][[料]]) * [[탈인간]]([[脫]][[人]]間) * [[황금시간대]]([[黃]][[金]][[時]]間[[帶]])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閣]](집 각) * [[簡]](대쪽 간) * [[閘]](수문 갑) * [[開]](열 개) * [[閭]](마을 려) * [[聞]](들을 문) * [[問]](물을 문) * [[悶]](답답할 민) * [[閔]](위문할 민) * [[閥]](문벌 벌) * [[闢]](열 벽) * [[閃]](빛날 섬, 번쩍일 섬) * [[閼]](가로막을 알) * [[闇]](어두울 암) * [[閱]](볼 열, 검열할 열) * [[閻]](마을 염) * [[闡]](열 천) * [[閉]](닫을 폐) * [[閑]](한가할 한) * [[閤]](쪽문 합) * [[闔]](문짝 합) * [[闊]](넓을 활) * [[𨶠]](문지방 얼, 성씨 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