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門}}}문 문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門, 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8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8급 한자|{{{#000,#fff 8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モン{{{#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かど, {{{#c88 と}}}}}}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mé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px-門-order.gif]]}}}||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門은 ''''문 문''''이라는 [[한자]]로, [[문]](門), 집안, [[방법]] 등을 뜻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日弓(AN)으로 입력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문 || || {{{-1 '''음'''}}} ||문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mén || || {{{-1 '''[[광동어]]'''}}} ||mun^^4^^ || || {{{-1 '''[[객가어]]'''}}} ||mùn || || {{{-1 '''민북어'''}}} ||mô̤ng || || {{{-1 '''민동어'''}}} ||muòng || || {{{-1 '''[[민남어]]'''}}} ||bûn[*文 문독] / mn̂g[*白 백독] || || {{{-1 '''[[오어]]'''}}} ||men (T3) || ||<-3> || ||<|2> '''[[일본어]]''' || {{{-1 '''음독'''}}} ||モン || || {{{-1 '''훈독'''}}} ||かど, {{{#c88 と}}} || ||<-3> || ||<-2> '''[[베트남어]]''' ||môn || [[유니코드]]에선 U+9580에 배정되어있다. '''[[상형자]]'''로, 두 개의 문짝이 있는 문의 모양을 나타낸 한자이다. 일본에서는 이 한자가 대문이라는 뜻으로 한정되어 있고, 방문을 비롯한 일반적인 문은 [[扉]](사립문 비)나 [[戶]](지게 호)자로 가리킨다. == 자형 == || [[파일:門-oracle.svg.png]] || [[파일:門-bronze.svg.png]] || [[파일:門-bigseal.svg.png]] || [[파일:門-seal.svg.png]] || || 갑골문 || 금문 || 대전체 || 소전체 || * [[이체자]] : 门, 𨳇[* [[파일:門의 이체자.svg|width=30]]], 閅 门은 옛날부터 [[한자문화권]]에서 통용되던 [[속자]]로, [[중국]]에서는 공식적으로 [[간체자]]로 채택되었다. [[일본]]에서도 필기체에선 제법 보이며, [[한국]]에서도 [[한자]]를 많이 쓰던 과거 세대라면 금방 알아보는 자형이다.[* [[경복궁]] 등의 유적에서도 사용례가 보일 정도. 그러나 한국에선 공식적으로 약자에 포함되지 않았다.] 다만 한국과 일본에서는 [[冂]] 꼭대기 가운데에 짧은 세로획을 하나 꽂아놓은 형태를 주로 쓴다. [[유니코드]]에는 수록되지 못했고, 폰트에 따라 门을 그런 형태로 표시하는 경우가 있다.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門자가 부수인 한자는 '''양쪽 문짝 가운데에 한자가 들어가 새로운 한자가 된다.''' 예를 들면, [[問]](물을 문), [[間]](사이 간), [[聞]](들을 문), [[開]](열 개) 등. 물론 예외가 없진 않지만, 대개 [[閄]]처럼 일반적으로는 용례가 없는 [[벽자]]들이다. 간체자에선 대다수가 门 부수가 되었지만, 闇(暗)처럼 다른 글자로 대체되거나 開(开), 關(关)처럼 부수 자체가 사라진 경우도 존재한다. == 용례 == === [[단어]] === * '''[[문]](門)''' * [[가문]]([[家]]門) * [[간문맥]]([[肝]]門[[脈]]) * [[개선문]]([[凱]][[旋]]門) * [[관문]]([[關]]門) * 교문([[校]]門) * 권문([[權]]門) * [[권문세가]]([[權]]門[[勢]][[家]]), [[권문세족]]([[權]]門[[勢]][[族]]) * [[대문]]([[大]]門) * [[남대문]]([[南]][[大]]門), [[동대문]]([[東]][[大]]門), [[서대문]]([[西]][[大]]門), [[북대문]]([[北]][[大]]門) * [[동문]]([[同]]門) * 등룡문([[登]][[龍]]門) * [[맥문동]]([[麥]]門[[冬]]) * [[명문]]([[名]]門) * [[문벌귀족]](門[[閥]][[貴]][[族]]) * [[문중]](門[[中]]) * 문하(門[[下]]) * 문하부(門[[下]][[府]]), [[문하생]](門[[下]][[生]]), [[문하시중]](門[[下]][[侍]][[中]]) * [[문호]](門[[戶]]) * 방문([[房]]門) * 부문([[部]]門) * [[비사문천]]([[毘]][[沙]]門[[天]]) * [[사대문]]([[四]][[大]]門) * [[성문(건축)|성문]]([[城]]門/[[聲]]門) * [[성문음]]([[聲]]門[[音]]) * [[일주문]]([[一]][[柱]]門) * 입문([[入]]門) * [[전문]]([[專]]門) * [[전문가]]([[專]]門[[家]]), [[전문의]]([[專]]門[[醫]]), [[전문직]]([[專]]門[[職]]), [[전문대학]]([[專]]門[[大]][[學]]) * [[정문]]([[正]]門) * [[창문]]([[窓]]門) * 측문([[側]]門) * 폐문([[閉]]門/[[廢]]門/[[肺]]門) * 포문([[砲]]門) * [[항문]]([[肛]]門) * [[후문]]([[後]]門) === [[고사성어]]/[[숙어]] === * [[문전성시]](門前成市) * [[등용문]](登龍門) * 문외한(門外漢) * [[두문불출]](杜門不出) * 정문일침(頂門一鍼) * 동문수학(同門修學) === [[인명]] === * [[대문예]]([[大]]門[[藝]]) * [[류몬부치 토오카]]([[龍]]門[[渕]] [[透]][[華]]) * [[모지 마히비]](門[[司]] [[真]][[罅]]) * [[몬치 카오리]](門[[地]] かおり) * [[사사카도 노부요시]]([[佐]]々門 [[信]][[芳]]) * [[서문탁]]([[西]]門[[卓]]) * -[[에몬]]([[衛]]門) * [[소우다 에몬자에몬]]([[左]][[右]][[田]] [[右]][[衛]]門[[左]][[衛]]門) * [[아카조메에몬]]([[赤]][[染]][[衛]]門) * [[인부몬인노 다이후]]([[殷]][[富]]門[[院]] [[大]][[輔]]) * [[카도바야시 유우]](門[[林]] [[有]][[羽]]) * [[카도와키 무기]](門[[脇]] [[麦]]) * [[카도쿠라 유다이]](門[[倉]] [[雄]][[大]]) * [[카마도 네즈코]]([[竈]]門 [[禰]][[豆]][[子]]) * [[카마도 탄쥬로]]([[竈]]門 [[炭]][[十]][[郎]]) * [[카마도 탄지로]]([[竈]]門 [[炭]][[治]][[郎]]) * [[키요카도 키요시로]]([[青]]門 [[碧]][[郎]]) * [[타이라노 후미카도]]([[平]] [[文]]門) * [[테라카도 츠우]]([[寺]]門 [[通]]) * [[후지바야시 가이몬]]([[藤]][[林]] [[鎧]]門) === [[지명#s-2]] === * [[서울 한양도성]] 4대문 * [[흥인지문]]([[興]][[仁]][[之]]門) * [[돈의문]]([[敦]][[義]]門) * [[숭례문]]([[崇]][[禮]]門) * [[숙정문]]([[肅]][[靖]]門) * [[나가토아와노역]]([[長]]門[[粟]][[野]][[駅]]) * [[동대문구]]([[東]][[大]]門[[區]]) * [[서대문구]]([[西]][[大]]門[[區]]) * [[문현동]](門[[峴]][[洞]]) * [[문현금융단지]](門[[峴]][[金]][[融]][[團]][[地]]) * [[용문동(서울)]]([[龍]]門[[洞]]) - [[대전광역시]] [[서구(대전광역시)|서구]]에 위치한 [[용문동(대전광역시 서구)|동명의 동]]은 門이 아닌 汶(내이름 문)이다. * [[자하문]]([[紫]][[霞]]門) * [[공동경비구역|판문점]]([[板]]門[[店]]) * [[경복궁 광화문|광화문]]([[光]][[化]]門) * [[동대문역]]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 [[서대문역]] * [[광화문역]] * [[독립문역]] * [[용문역(중앙선)|용문역]] * [[쌍문역]] * [[보문역]] * [[문현역]] === [[창작물]] === * [[門OON : REPACKAGE]] * [[노구문]]([[老]][[九]]门) * [[문(門)]] === 기타 === * [[門OON]]: [[문별]]의 2020년 콘서트 * [[天安門 天安门 法輪功 李洪志 Free Tibet 劉曉波]] === [[중국어]] === * 门 [mén] * 명) 문/개폐기 * 예1) 大门 [dàmén]: 대문, 정문 * 예2) 闸门 [zhámén]: 갑문 * 명) 가문, 족벌 * 예) 豪门 [háomén]: 호족 * 명) (종교/사회적) 파벌 * 예) 儒门 [rúmén]: 유가 * 명) 종류 * 예) 分门 [fēnmén]: 부문 * 명) 생물학적 단위 * 예) 脊椎动物门 [jĭzhuīdòngwùmén]: 척추동물문 * 양) 대포/학문/기술/통화량을 세는 단위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円]](둥글 원)[* [[圓]](둥글 원)의 [[신자체]]] * [[鬥]](싸울 투) - 이 부수에 속하는 모든 글자들은 鬥를 門(门)으로 대체한 글자를 이체자로 갖는다. * [[闁]](기릴 포) [[분류:8급 한자]][[분류:제부수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