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鑊}}}가마솥 확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金|{{{#000,#fff 金}}}]], 14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22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미배정}}}}}}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カク}}}}}}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huò{{{#c88 }}}}}}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鑊은 ''''가마솥 확''''이라는 [[한자]]로, '[[가마솥]]', '[[밥솥]]', '[[냄비]]' 등을 뜻한다. == 상세 == ||<-3>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가마솥 || || {{{-1 '''음'''}}} ||확 || ||<-3> || ||<|6>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huò || || {{{-1 '''[[광동어]]'''}}} ||wok^^6^^ || || {{{-1 '''[[객가어]]'''}}} ||vo̍k || || {{{-1 '''[[민동어]]'''}}} ||huŏk || || {{{-1 '''[[민남어]]'''}}} ||ho̍k || || {{{-1 '''[[오어]]'''}}} ||hhoq (T5) || ||<-3> || ||<|2> '''[[일본어]]''' || {{{-1 '''음독'''}}} ||{{{#c88 カク}}} || || {{{-1 '''훈독'''}}} ||- || ||<-3> || ||<-2> '''[[베트남어]]''' ||hoạch || [[유니코드]]에는 U+944A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MGNBE(一土弓月水)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金]](쇠 금)과 소리를 나타내는 [[蒦]](자 확)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 용례 == === [[단어]] ===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지명#s-2]] === === [[중국어]] === * [[웍]](鑊) == 유의자 == * [[鍋]](노구솥 과) * [[錡]](가마솥 기) * [[鼐]](가마솥 내) * [[釜]](가마 부) * [[鬴]](가마솥 부) * [[𩱜]](가마솥 욕) * [[鈘]]/[[䰙]](가마솥 의) * [[鈼]](가마솥 작) * [[鼎]](솥 정) * [[鬷]](가마솥 종) * [[𨪉]]^^[⿰金虒]^^(가마솥 체) * [[鬹]](가마솥 휴)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𥖪]]^^[⿰石蒦]^^(돌보습 력) * [[頀]](구할 호) * [[𧞤]]^^[⿰衤蒦]^^(답호 호) * [[護]](도울 호) * [[濩]](퍼질 호, 낙숫물떨어지는모양 확) * [[䨼]](푸른빛 호) * [[鱯]](메기 화, 준치 호) * [[穫]]/[[耯]](거둘 확) * [[瓁]](다듬지않은옥 확/왁) * [[𤐰]]^^[⿰火蒦]^^(더울 확) * [[㦜]](두근거릴 확, 놀랄 경) * [[𩟓]]^^[⿰飠蒦]^^(맛없을 확/왁) * [[嬳]](모양낼 확, 아낄 호) * [[艧]](배 확) * [[矆]](부릅뜨고볼 확) * [[雘]](붉을/진사 확) * [[㠛]](산모양 확) * [[鸌]](슴새 확/왁/호) * [[㬦]](용맹스러운모양 확) * [[彠]]/[[矱]](자 확) * [[蠖]](자벌레 확) * [[臒]]/[[𩪭]]^^[⿰骨蒦]^^(좋은고기 확) * [[檴]](피나무 확, 자작나무 화) * [[嚄]](깜짝놀라는소리 획) * [[獲]](얻을 획) * [[擭]](잡을 획, 덫 확) * [[韄]](칼장식 획/호) * [[䪝]](칼치장하는가죽 획/호) * [[𭶹]]^^[⿰爪蒦]^^ * [[𣌏]]^^[⿰㝵蒦]^^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𡆇]] [[분류:급수 미배정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