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錮}}}막을 고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金|{{{#000,#fff 金}}}]], 8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6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1급 한자|{{{#000,#fff 1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コ{{{#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ふさ-ぐ}}}}}}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gù{{{#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錮는 ''''막을 고''''라는 [[한자]]로 '막다'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막다 || || {{{-1 '''음'''}}} ||고 || ||<-3> || ||<|6>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gù || || {{{-1 '''[[광동어]]'''}}} ||gu^^3^^ || || {{{-1 '''[[객가어]]'''}}} ||ku || || {{{-1 '''[[민동어]]'''}}} ||gó || || {{{-1 '''[[민남어]]'''}}} ||kò͘ || || {{{-1 '''[[오어]]'''}}} ||ku (T2) || ||<-3> || ||<|2> '''[[일본어]]''' || {{{-1 '''음독'''}}} ||{{{#c88 コ}}} || || {{{-1 '''훈독'''}}} ||{{{#c88 ふさ-ぐ}}} || ||<-3> || ||<-2> '''[[베트남어]]''' ||cố || 뜻을 나타내는 [[金]](쇠 금)과 음을 나타내는 [[固]](굳을 고)가 합하여 이루어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 U+932E에 배당되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CWJR(金田十口)로 입력한다. == 용례 == === [[단어]] === * [[금고(형벌)|금고]]([[禁]]錮) * [[금고(형벌)|금고형]]([[禁]]錮[[刑]])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지명#s-2]] === === [[창작물]] === == 유의자 == * [[礙]](거리낄 애) * [[拒]](막을 거) * [[杜]](막을 두) * [[防]](막을 방) * [[閼]](막을 알) * [[禦]](막을 어) * [[障]](막을 장) * [[抵]](막을 저) * [[沮]](막을 저) * [[塞]](막힐 색) == 상대자 ==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銅]](구리 동) * [[個]](낱 개) * [[箇]](낱 개) [[분류:1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