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銓}}}사람가릴 전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金|{{{#000,#fff 金}}}]], 6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4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1급 한자|{{{#000,#fff 1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セン}}}}}}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はか-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quá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銓은 ''''사람가릴 전''''이라는 [[한자]]로, '사람을 가리다', '사람을 가려 뽑다', '저울질하다'를 뜻한다. 그래서 ''''사람 가려 뽑을 전'''', ''''사람 저울질해 뽑을 전''''이라고도 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9293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COMG(金人一土)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金]](쇠 금)과 소리를 나타내는 [[全]](온전할 전)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본래는 금속제 저울을 뜻하는 글자였으나 여기서 의미가 확장되어 '저울질하다'를 거쳐 '사람을 가려 뽑는다'는 오늘날의 의미가 추가되었다. 일본에서는 이 글자가 [[일본의 상용한자|상용한자]]에 없기 때문에 대개 '전형'이라는 단어를 똑같이 センコウ(senkō)로 읽히는 選考(선고)나 詮衡(전형)으로 대체해서 쓴다. === [[단어]] === * 동전([[東]]銓) * 문전([[文]]銓) * 병전([[秉]]銓) * 삼전([[三]]銓) * 아삼전([[亞]][[三]]銓) * 의삼전([[擬]][[三]]銓) * [[병조|서전]]([[西]]銓) * 동서전([[東]][[西]]銓) * 아전([[亞]]銓) * 양전([[兩]]銓) * 임전([[任]]銓) * [[장전]]([[長]]銓/[[掌]]銓) * 전격(銓[[格]]) * 전고(銓[[考]]) * 전고국(銓[[考]][[局]]) * 전고소(銓[[考]][[所]]) * 문관전고소([[文]][[官]]銓[[考]][[所]]) * 전관(銓[[官]]) * 참정전관([[參]][[政]]銓[[官]]) * 전당(銓[[堂]]) * 전랑(銓[[郞]]) * 이조전랑([[吏]][[曹]]銓[[郞]]) * 전랑천대법(銓[[郞]][[薦]][[代]][[法]]) * 전랑법(銓[[郞]][[法]]) * 전리(銓[[吏]]) * 전보(銓[[補]]) * 전부(銓[[部]]) * 전사(銓[[司]]) * 전상(銓[[相]]) * 전서(銓[[敍]]) * 전석(銓[[席]]) * 전선(銓[[選]]) * 전임(銓[[任]]) * 전장(銓[[長]]) * 전정(銓[[政]]) * 전정자(銓[[莛]][[子]]) * 전조(銓[[曹]]) * 전조아장(銓[[曹]][[亞]][[長]]) * 전조판서(銓[[曹]][[判]][[書]]) * 지전조사([[知]]銓[[曹]][[事]]) * 판전조사([[判]]銓[[曹]][[事]]) * 전주(銓[[注]]) * 전지(銓[[地]]) * 전천(銓[[薦]]) * 전판(銓[[判]]) * 전헌(銓[[憲]]) * 전형(銓[[衡]]) * 대입전형([[大]][[入]]銓[[衡]]) * 전형아장(銓[[衡]][[亞]][[長]]) * 좌전([[佐]]銓) * 판전([[判]]銓) === [[인명]] === * [[김우전]]([[金]][[祐]]銓) * [[정약전]]([[丁]][[若]]銓) * [[제갈전]]([[諸]][[葛]]銓) * [[지우즈좐]]([[邱]][[梓]]銓) * [[최전권]]([[崔]]銓[[權]]) * [[호금전]]([[胡]][[金]]銓) === [[지명#s-2]] === *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정약전길]]([[丁]][[若]]銓길) === [[창작물]] === * [[양전편고]]([[兩]]銓[[便]][[攷]]) === 기타 === == 유의자 == * [[拔]](뽑을 발) * [[選]](가릴 선) * [[擇]](가릴 택)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𠗎]]^^[⿰丬全]^^(엄할 장) * [[㓌]](싸늘할 쟁) * [[絟]](가는베 전) * [[詮]](갖출 전) * [[𢂘]]^^[⿰巾全]^^(구울 전) * [[跧]](굽을 전) * [[𦓰]]^^[⿰耒全]^^(깊이갈 전) * [[䀬]](깜박일 전) * [[姾]](단정할 전) * [[栓]](마개 전) * [[拴]](맬 전, 문빗장 산) * [[𧊲]](벌레이름 전) * [[烇]](불꽃 전) * [[恮]](삼갈 전) * [[輇]](상여 전) * [[佺]](신선이름 전) * [[硂]](저울질할 전) * [[駩]](입술검은흰말 전) * [[牷]](희생 전) * [[洤]](샘 천)[* [[泉]](샘 천)의 [[고자(동음이의어)#s-7|고자]]] * [[酫]](절인김치 철) * [[鍂]](악기이름 편) * [[㻇]](전) * [[𫤪]]^^[⿰全全]^^ * [[𫣝]]^^[⿰侖全]^^ * [[𠱴]]^^[⿰口全]^^ * [[𡋄]]^^[⿰土全]^^ * [[𨹑]]^^[⿰⻖全]^^ * [[𪰡]]^^[⿰日全]^^ * [[𰙾]]^^[⿰歹全]^^ * [[𮁵]]^^[⿰示全]^^ * [[𫆂]]^^[⿰耳全]^^ * [[𫗐]]^^[⿰𩙿全]^^ * [[𫗽]]^^[⿰香全]^^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𦿻]]^^[⿱艹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