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醐}}}우락더껑이 호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酉|{{{#000,#fff 酉}}}]], 9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16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미배정}}}}}}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ゴ}}}}}}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hú{{{#c88 }}}}}}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醐는 ''''우락더껑이 호''''라는 [[한자]]로, '우락의 더껑이'를 뜻한다. 여기서 우락([[牛]][[酪]])은 [[버터]]의 한자어 표현이며, 더껑이는 걸쭉한 액체의 거죽에 엉겨 굳거나 말라서 생긴 꺼풀을 의미한다. 제호 제([[醍]]) 자와 합쳐 제호(醍醐)라는 연면사 낱말로 쓰일 때가 많다. 연면사이기 때문에 두 글자를 따로 쓰면 '제호'라는 의미가 사라진다. 여기서 말하는 '제호'란 오늘날 인도에서 음식 재료나 종교적 공양물로 널리 쓰이는 [[버터]]인 [[기(식용유)|기(ghee)]]를 뜻한다. 기야말로 인도의 유제품들 중에서도 으뜸이라 하여 불교 문헌에서는 부처의 가르침을 기에 비유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기의 실물을 접하지 못하고 불경의 묘사로만 읽은 한자문화권에서는 기의 번역어인 '제호'를 맛 좋은 술이나 시원한 음료를 가리키는 의미로도 사용하였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9190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MWJRB(一田十口月)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酉]](닭 유)와 음을 나타내는 [[胡]](되 호)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 용례 == === [[단어]] === * 제호([[醍]]醐) * [[수정과|백제호]]([[白]][[醍]]醐) * [[제호탕]]([[醍]]醐[[湯]])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다이고 카게미츠]]([[醍]]醐 [[景]][[光]]) * [[다이고 코타로]]([[醍]]醐 [[虎]][[汰]][[朗]]) === [[지명#s-2]] === * [[다이고역]]([[醍]]醐[[駅]]) === [[창작물]] === === [[일본어]] === ==== [[훈독]] ==== ==== [[음독#s-1]] ==== === [[중국어]] === === 기타 === == 유의자 ==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蝴]](나비 호) * [[䠒]](무릎꿇을 호) * [[鰗]](복어 호) * [[瑚]](산호 호) * [[㗅]](성난소리 호) * [[媩]](여자의자 호) * [[]]^^[⿰衤胡]^^(옷겨드랑이 호) * [[猢]](원숭이 호) * [[䩴]](전동 호) * [[鍸]](제기 호) * [[]]^^[⿰麥胡]^^(죽 호) * [[餬]](죽/풀칠할 호) * [[煳]](탈 호) * [[糊]]/[[]]^^[⿰黍胡]^^(풀칠할 호) * [[湖]](호수 호) * [[楜]](후추 호) * [[]]^^[⿰鼠胡]^^(호) * [[]]^^[⿰亻胡]^^ * [[]]^^[⿰土胡]^^ * [[]]^^[⿰彳胡]^^ * [[]]^^[⿰扌胡]^^ * [[]]^^[⿰歹胡]^^ * [[]]^^[⿰石胡]^^ == 여담 == [[분류:급수 미배정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