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鄭}}}나라 정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邑|{{{#000,#fff 邑}}}]], 12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5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2급 한자|{{{#000,#fff 2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ジョウ, テイ}}}}}}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ねんご-ろ}}}}}}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zhè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鄭은 ''''나라 이름 정''''이라는 [[한자]]로, 지금의 중국 [[정저우시]] 신정시 근방에 있던 옛 나라 정나라를 가리키며, 또 이 정나라에서 비롯한 [[정(성씨)|정씨]] 성을 가리킨다. ''''정나라 정''''이라고도 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912D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TKNL(廿大弓中)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고을 읍([[阝]])과 음을 나타내는 [[奠]](정할/제사 전)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성부인 奠만으로 정나라를 표기하는 옛 자료도 있다. 나라 이름을 나타내는 한자가 자주 그렇듯이 주로 성씨로만 쓰이는 한자이지만, 의외로 일반명사로 자주 쓰이는 단어가 하나 있다. 바로 '''정중'''. == 용례 == === [[단어]] === * 정중(鄭[[重]]) === [[인명]] === * [[양왕(주)|주양왕]] 정(鄭) * [[위성공]] 정(鄭) ==== 성씨 ==== [include(틀:한국의 성씨 한자)] 15년 통계청 집계 기준 대한민국 인구 2,333,927명, 인구 순위 5위의 성씨로 주요 본관으로는 동래(東萊), 경주(慶州), 진주(晉州/진양), 연일(延日), 하동(河東), 영일(迎日), 초계(草溪)가 있다. 자세한 사항은 [[정(성씨)#s-2]] 문서 참조. 성이 정씨인 사람의 89.38%가 이 한자를 쓴다. === 지명 === * 중국 [[허난성]] [[정저우시]](郑[[州]][[市]]) * [[정저우둥역]](郑[[州]][[东]][[站]]) * [[정저우 신정 국제공항]] (郑[[州]][[新]]郑[[国]][[际]][[机]][[场]]) === 국명 === [[춘추전국시대]]에 존재했던 국가 (기원전 806년~ 기원전 375년) [[정나라|정(鄭)나라]] 참조 === [[창작물]] === * [[정감록]](鄭[[鑑]][[錄]]) === 기타 === * [[남원정]]([[南]][[元]]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