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達}}}통달할 달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辵|{{{#000,#fff 辵}}}]], 9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3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4급 한자|{{{#000,#fff 준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辵]](책받침)의 점이 2개가 아닌 1개이다.]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タツ, {{{#c88 タチ, ダチ}}}}}}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たし, たち, とお-る, とど-く}}}}}}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dá{{{#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達은 ''''통달할 달''''이라는 [[한자]]로, '통달(通達)하다', '도달(到達)하다' 등을 뜻한다. == 상세 == [[辶]](쉬엄쉬엄갈 착)과 羍(어린양 달)이 합쳐진 [[회의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9054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YGTQ(卜土廿手)로 입력한다. == 용례 == === [[단어]] === * [[건달]]([[乾]]達)[* [[순우리말]] 같아 보이지만 [[한자어]]이다! '건달'이라는 단어의 어원에 대해서는 [[건달]] 참조.] * 달관(達[[觀]]) * 달만(達[[曼]])[* 간체자로는 达曼이며, [[담맘]]의 중국어 명칭이다.] * 달변(達[[辯]]) * [[달성#s-2]](達[[成]]) * 달식(達[[識]]) * [[달인]](達[[人]]) * 달필(達[[筆]])[* 능숙하게 잘 쓴 글씨, 또는 그런 글씨를 쓰는 사람.] * 도달([[到]]達) * [[득달#s-1]]([[得]]達) * 미달([[未]]達) * 발달([[發]]達) * [[배달#s-1]]([[配]]達) * [[배달대행]]([[配]]達[[代]][[行]]) * 숙달([[熟]]達) * 전달([[傳]]達) * [[전달자]]([[傳]]達[[者]]) * [[조달#s-1]]([[調]]達) * 창달([[暢]]達) * 통달([[通]]達) * 활달([[豁]]達/[[闊]]達) === [[고사성어]]/[[숙어]] === * 경달권변([[經]]達[[權]][[變]]) * 달팔십(達[[八]][[十]]) * 무불통달([[無]][[不]][[通]]達) * 미달일간([[未]]達[[一]][[間]]) * [[배달민족]]([[倍]]達[[民]][[族]])[* [[배달의민족]] 광고에서 '우리가 어떤 민족입니까?'라는 질문으로 드립을 칠 때 사용된 단어. 실제로 ''''배달민족'이라는 단어가 존재한다!''' 다만 그 배달이 그 배달이 아닐 뿐(...).] * 사통오달([[四]][[通]][[五]]達)[* 사달오통([[四]]達[[五]][[通]])이라고도 한다.] * 사통팔달([[四]][[通]][[八]]達) * 욕속부달([[欲]][[速]][[不]]達) * 좌달승명([[左]]達[[承]][[明]]) * 하학상달([[下]][[學]][[上]]達) === [[인명]] === * [[봉이 김선달|김선달]]([[金]][[先]]達) * [[나가츠키 탓페이]]([[長]][[月]] 達[[平]]) * [[다테 마사무네]]([[伊]]達 [[政]][[宗]]) * [[모쿠교 다루마]]([[木]][[魚]] 達[[磨]]) * [[숙달]]([[叔]]達) * [[스구로 타츠마]]([[勝]][[呂]] 達[[磨]]) * [[시바 타츠야]]([[司]][[波]] 達[[也]]) * [[아다치 사쿠라]]([[安]]達 [[桜]]) * [[오달수]]([[吳]]達[[秀]]): 한국의 배우 * [[오맹달]]([[吳]][[孟]]達) * [[우지코 다루마]]([[氏]][[子]] 達[[磨]]) * [[위다푸]]([[郁]]達[[夫]]): 중화민국의 문학 작가이자 혁명운동가 * [[이달곤]]([[李]]達[[坤]]) * [[진달]]([[陳]]達) * [[타케타츠 아야나]]([[竹]]達 [[彩]][[奈]]) * [[훤달]]([[萱]]達) === [[지명#s-2]] ===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박달로]]([[博]]達[[路]]) * [[아사달]]([[阿]][[斯]]達) * 중문·색달해변([[中]][[文]]·[[穡]]達[[海]][[邊]]) * [[팔달구]]([[八]]達[[區]]) * [[팔달산]](八達[[山]]) * [[달구벌]](達[[句]][[伐]]) * [[달서구]](達[[西]][[區]]) * [[달성군]](達[[城]][[郡]]) * [[달성공원]](達[[城]][[公]][[園]]) * [[팔달시장]]([[八]]達[[市]][[場]]) * [[팔달교]]([[八]]達[[橋]]) * [[달월역]](達[[月]][[驛]]) * [[달천역]](達[[川]][[驛]]) * [[팔달역]]([[八]]達[[驛]]) * [[팔달시장역]]([[八]]達[[市]][[場]][[驛]]) * [[포탈라궁|포달납]]([[布]]達[[拉]]) === [[창작물]] === * [[NO LIMIT -オレ達に限界は無い-]] * [[達拉崩吧]]([[따라번바]]) === 기타 === * [[조달청]]([[調]]達[[廳]]) === [[일본어]] === 일본어에서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 뒤에 達이 붙어서 '~들'이라는 의미를 만든다. 이때의 발음은 たち. 예) [ruby(私, ruby=わたし)][ruby(達, ruby=たち)](우리) 책이나 문서에서는 여전히 私達와 같이 한자로 적는 일이 대다수이지만 일상생활에서는 편의상 達을 한자로 쓰기보다는 그냥 私たち와 같이 [[히라가나]]로 적어버리는 것이 보통이다. 사실 [ruby(友, ruby=とも)][ruby(達, ruby=だち)]라는 단어도 원래는 친구라는 뜻의 [ruby(友, ruby=とも)]에 '~들'의 뜻을 첨가해주는 [ruby(達, ruby=たち)]가 붙어 '친구들'이라는 복수형을 의미하는 단어였다. 그러나 현재는 복수의 의미뿐만 아니라, 단수처럼 취급되는 경우도 많아 친구가 1명이어도 [ruby(友, ruby=とも)][ruby(達, ruby=だち)]라고 한다. 때문에 '친구들'이라고 명확히 표현하고 싶은 경우, 일본인 중에서도 [ruby(友, ruby=とも)][ruby(達, ruby=だち)]たち--(친구들들??)--라고 하는 경우가 있긴 한데, 일반적으로는 저렇게 말하는 건 이상한 표현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또한 일본어에서 이름 뒤에 たち가 붙은 경우를 번역할 때, 이름 뒤에 '들'을 붙이면 어색한 일본어 번역체가 되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이 경우 문맥에 맞게 수정해줘야 한다. 예를 들어 '철수들'이라고 하면 어색하기에, '철수와 친구들' 같은 식으로 문맥에 맞게 의역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다. 실제로 만화책이나 애니메이션 더빙에서는 이름 뒤의 たち를 '~와 친구들' 또는 '~네' 같은 식으로 번역하는 경우가 많다. == 유의자 == * [[到]](이를 도) * [[至]](이를 지) * [[致]](이를 치)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𬦔]]^^[⿺走⿱土羊]^^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闥]](궐문 달) * [[㣵]](도망할 달) * [[䃮]](돌 달) * [[撻]](때릴 달) * [[繨]](매듭 달) * [[韃]](매질할/종족이름 달) * [[橽]](물샐 달) * [[澾]](미끄러울 달) * [[躂]](미끄러질 달) * [[蟽]](벌레이름 달) * [[㿹]](부어오를 달) * [[㒓]](살찔/도피할 달) * [[㺚]](수달 달)[* [[獺]](수달 달)의 [[동자#s-2]]] * [[𩟐]]^^[⿰𩙿達]^^(수제비 달) * [[噠]](오랑캐이름 달) * [[墶]](작은언덕 달) * [[薘]](질경이 달) * [[鐽]](탄탈 달) * [[燵]](화로 달) * [[𦪭]]^^[⿰舟達]^^(싸움배 답) * [[㼀]](달) * [[𠁺]]^^[⿰串達]^^ * [[𰄍]]^^[⿰冫達]^^ * [[𱀷]]^^[⿰⻖達]^^ * [[𫯇]]^^[⿰声達]^^ * [[𫸉]]^^[⿰序達]^^ * [[𭌸]]^^[⿰哈達]^^ * [[𮟉]]^^[⿰達也]^^ * [[𬇓]]^^[⿹气達]^^ * [[𦡯]]^^[⿰⺼達]^^ * [[𧞅]] * [[𧬻]]^^[⿰言達]^^ * [[𲊋]]^^[⿱雨達]^^ * [[𬵮]]^^[⿰魚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