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過}}}지날 과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辵|{{{#000,#fff 辵}}}]], 9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3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5급 한자|{{{#000,#fff 준5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カ{{{#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す-ぎる, す-ごす, あやま-つ,[br]あやま-ち, {{{#c88 とが, よぎ-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guò{{{#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過은 ''''지날 과''''라는 [[한자]]로, '지나다', '지나가다', '지나치다', '과도(過度)하다', '[[과거]](過去)', '과오(過誤)' 등을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904E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卜月月口(YBBR)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辵]](쉬엄쉬엄갈 착)과 음을 나타내는 [[咼]](입 비뚤어질 괘)로 이루어진 형성자이다. 본래 이 글자는 다음자(多音字)로, '(정도가) 지나치다', '지나가다', '넘어가다'의 의미일 때는 평성으로, '잘못', '과오'의 뜻일 때는 거성으로 읽어야 하나 현재 표준중국어에서는 의미에 상관없이 거성(guò)으로 읽는다. 또한 중국어에서는 지나가다의 의미 외에 동사 뒤에 過를 붙여서 과거의 경험을 나타내는 데에 쓰인다. == 용례 == === [[단어]] === * 간과([[看]]過) * 경과([[經]]過) * 과객(過[[客]]) * 과객당(過[[客]][[黨]]) * [[과거]](過[[去]]) * 과거로(過[[去]][[路]]) * [[과거분사]](過[[去]][[分]][[詞]]) * 과거사(過[[去]][[事]]) * 과거세(過[[去]][[世]]) * 과거완료(過[[去]][[完]][[了]]) * 과거인과경(過[[去]][[因]][[果]][[經]]) * 과거장(過[[去]][[帳]]) * 과거장엄불(過[[去]][[莊]][[嚴]][[佛]]) * 과거지향(過[[去]][[指]][[向]]) * 과거진행(過[[去]][[進]][[行]]) * 과거진행완료(過[[去]][[進]][[行]][[完]][[了]]) * [[과거칠불]](過[[去]][[七]][[佛]]) * 과거현재인과경(過[[去]][[現]][[在]][[因]][[果]][[經]]) * 과거형(過[[去]][[形]]) * 대과거([[大]]過[[去]]) * 반과거([[半]]過[[去]]) * [[과냉각]](過[[冷]][[却]]) * 과다(過[[多]]) * [[과대]](過[[大]]) * 과대평가(過[[大]][[評]][[價]]) * [[과도]](過[[度]]/過[[渡]])[* 過度는 '정도가 지나치다', 過渡는 '상태가 바뀌어 가는 도중'을 뜻한다.] * [[과도교정]](過[[度]][[校]][[正]]) * [[과도기]](過[[渡]][[期]]) * 과도기적(過[[渡]][[期]][[的]]) * [[과로]](過[[勞]]) * [[과로사]](過[[勞]][[死]]) * 과민(過[[敏]]) * [[신경과민]]([[神]][[經]]過[[敏]]) * 과밀(過[[密]]) * 과반(過[[半]]) * 과반수(過[[半]][[數]]) * 과부족(過[[不]][[足]]) * [[과부하]](過[[負]][[荷]]) * [[과소]](過[[小]]) * 과소평가(過[[小]][[評]][[價]]) * [[과소비]](過[[消]][[費]]) * [[과속]](過[[速]]) * [[과식]](過[[食]]) * [[과실#s-2]](過[[失]]) * 과오(過[[誤]]) * [[과음]](過[[飮]]) * 과잉(過[[剩]]) * [[과적]](過[[積]]) * [[과정]](過[[程]]) * [[과중]](過[[重]]) * 과태(過[[怠]]) * [[과태료]](過[[怠]][[料]]) * [[사과]]([[謝]]過) * [[사과문]]([[謝]]過[[文]]) * [[여과]]([[濾]]過) * [[찰과상]]([[擦]]過[[傷]]) * [[초과]]([[超]]過) * [[통과]]([[通]]過) === [[고사성어]]/[[숙어]] === * 개과자신([[改]]過[[自]][[新]]) * [[개과천선]]([[改]]過[[遷]][[善]]) * 공과상반([[功]]過[[相]][[半]]) * 과거지사(過[[去]][[之]][[事]]) * [[과유불급]](過[[猶]][[不]][[及]]) * 득과차과([[得]]過[[且]]過) * 백대지과객([[百]][[代]][[之]]過[[客]]) * 빙빙과거([[氷]][[氷]]過[[去]]) * 역려과객([[逆]][[旅]]過[[客]]) * 지과필개([[知]]過[[必]][[改]]) * 풍과이([[風]]過[[耳]]) === [[인명]] === * [[스위츠 카코코]](スイーツ 過[[去]][[子]]) === [[창작물]] === * [[恨幸福来过]] * [[过去完成时]] * [[過ぎし3月の君へ]]([[지난 3월의 그대에게]]) * [[過純性ブリーチ]](과순성 블리치) * 過保護のカホコ([[과보호의 카호코]]) === 기타 === * [[4과문]]([[四]]過[[文]]) == 유의자 == * [[經]](지날 경) * [[歷]](지날 력)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𪍌]](보리죽 사) * [[𧼽]] [[분류:준5급 한자]][[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