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辰}}}별 진, 때 신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辰, 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7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3급 한자|{{{#000,#fff 준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シン}}}}}}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たつ, とき, ひ}}}}}}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ché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px-辰-order.gif]]}}}||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include(틀:십간과 십이지)] 辰은 ''''별 진, 때 신''''이라는 [[한자]]로, 별[* 이때는 보통 [[수성]]을 가리킨다.], 때, 다섯째 지지를 뜻하며, [[십이지]]에서 辰은 [[용]](龍)을 상징한다. 독음은 "신" 또는 "진"이다. * 진군(辰[[君]]): 진년에 태어난 사람 * 진년(辰[[年]]): 용띠 해 * 진시(辰[[時]]): 하루를 12등분 했을 때 5번째 등분에 해당하는 시각으로, 오전 7시부터 9시까지다. [* 오전 7시 30분 ~ 오전 9시 30분] * 진월(辰[[月]]): 음력 3월. 양력으로는 4월에 해당. 윤달은 5월에 해당. * [[갑진]] ([[甲]]辰) * [[병진]] ([[丙]]辰) * [[무진]] ([[戊]]辰) * [[경진]] ([[庚]]辰) * [[임진]] ([[壬]]辰)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8FB0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一一一女(MMMV)로 입력한다. == 자원(字源) == 과거에는 금문(金文)의 자형을 근거로 조개가 발을 내밀고 있는 형상의 [[상형자]]로 보아 蜃(대합 신)의 본자(本字)로 보았으나, [[갑골문]]의 자형을 보면 돌로 만든 괭이를 두 손으로 잡은 형상이다. [[가차자]]로 쓰이게 되면서 손(手)을 첨가하여 '振'을 만들어 '힘써 괭이를 휘두르는 것'을 나타냈다. === 자형 === || [[파일:120px-辰-oracle.svg.png]] || [[파일:120px-辰-bronze.svg.png]] || [[파일:120px-辰-bigseal.svg.png]] || [[파일:120px-辰-seal.svg.png]] || || 갑골문 || 금문 || 대전체 || 소전체 || == 독음 == 이 글자의 독음은 '신'과 '진'의 두 가지가 있다.[* 후술하겠지만, '신' 음만이 바른 음이다. '진' 음은 한국에서만 쓰이는 관용음이다.] 현재의 표준어를 기준으로 할 때 [[십이지]]를 뜻할 때는 항상 '진'이고, 고대 한반도에 존재했던 辰韓(진한)을 가리킬 때도 '진'이다. 이것 외에는 단어마다 달라서 일정한 규칙은 없으며, 뜻에 따라 독음이 구분되지는 않으며 개별적으로 파악하는 수 밖에 없다. 예컨대 '별'의 뜻일 때 星辰(성신)에서는 '신'으로 읽지만 辰宿(진수)에서는 '진'으로 읽는다. ‘때’의 뜻일 때도 生辰(생신), 誕辰(탄신)에서는 '신'으로 읽지만 時辰(시진)에서는 '진'으로 읽는다. 北辰은 '북신'으로 읽지만, 北辰菩薩은 '북신보살'과 '북진보살' 둘 다 가능하다. 辰星은 더 복잡해서, '진성'으로 읽으면 수성을 뜻하고, '신성'으로 읽으면 시각 측정의 기준이 되는 항성을 뜻한다. 이렇게 발음이 두 개가 된 이유는 [[십이지]]다. 원래 한국에선 辰과 [[申]]이 둘 다 '신'으로 발음이 같았는데, 이럴 경우 [[갑신|甲申]]년과 [[갑진|甲辰]]년을 구별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생긴다. 그래서 두 글자의 발음을 달리할 필요가 있었고, 辰을 성부로 삼는 글자 중 '진'으로 발음되는 것들이 있었기에 辰을 (십이지에서 쓰이는 맥락에 한해) '진'으로 바꿔버린 것이다. 그러다가 나중엔 십이지가 아닌 맥락에서도 '진'이라는 음이 혼동되어 사용되기 시작한 것이다.[* 중국은 애초에 辰과 申의 발음이 달라서 발음을 고칠 필요가 없었다. 여담으로 비슷한 문제가 [[艮]]과 [[乾]]에게도 있다.] 중국 측의 운서 및 자전을 살펴 보면, 辰의 [[반절]]은 植鄰切(당운), 丞眞切(집운, 운회, 정운)이고, 직독음은 晨이므로, 이를 기반으로 한 辰의 중고음은 常母眞韻이다. 常모/dʑ/의 한국식 표준음[* 동국정운을 따른다.]은 'ㅆ→ㅅ'으로 받아들이므로, [[한국 한자음]]의 바탕은 중고음이라는 전제 하에 辰의 표준음은 ''''씬→신''''[* [[https://commons.wikimedia.org/wiki/Category:Dictionary_of_Korean_Pronunciation_of_Chinese_Letters?uselang=ko#/media/File:Mf00020825.jpg|동국정운]] 참고.]이 맞다. || '''{{{#a6e657 한자}}}''' || '''{{{#a6e657 한국한자음}}}''' || '''{{{#a6e657 표준중국어}}}''' || '''{{{#a6e657 반절}}}''' || '''{{{#a6e657 중고음}}}'''[* Zhengzhang Shangfang의 재구에 따름] || || '''辰''' || 신 || chén || 植鄰切 || d͡ʑiɪn || ||<|2> 娠 ||<|2> 신 || shēn || 失人切 || ɕiɪn || || (zhèn)[* 유추된 음이다. 현 표준중국어에선 shēn으로만 읽는다.] || 章刃切 || t͡ɕiɪn || ||<|2> 晨 ||<|2> 신 ||<|2> chén || 植鄰切 || d͡ʑiɪn || || 食鄰切 || ʑiɪn || || 蜃 || 신 || shèn || 時忍切 || d͡ʑiɪn || || 宸 || 신 || chén || 植鄰切 || d͡ʑiɪn || || 振 || 진 || zhèn || 章刃切 || t͡ɕiɪn || || 震 || 진 || zhèn || 章刃切 || t͡ɕiɪn || || 賑 || 진 || zhèn || 章忍切 || t͡ɕiɪn || ||<|2> 桭 ||<|2> 진 || chén || 側鄰切 || t͡ɕiɪn || || zhèn || 植鄰切 || d͡ʑiɪn || 辰이 형성자의 성부로 쓰인 글자들이다. 娠의 경우 [[광동어]]에서 싼(san1)과 짠(zan3)의 두 가지 발음이 있고, 桭도 chén과 zhèn으로 나뉘는 등 중국에서도 이 두 독음의 경계가 원래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고 쓰여온 측면이 있다. == 용례 == * [[천자문]]의 日月盈昃 辰宿列張(일월영측 진수열장): 해와 달이 차고 기울며, 별들은 넓게 퍼져 있다. === 단어, [[고사성어]] === ==== 진 ==== * [[공진단]]([[拱]]辰[[丹]]) * 북진보살([[北]]辰[[菩]][[薩]]): [[북두칠성]]을 신격화한 보살. * 시진([[時]]辰): 시간 또는 시각. * [[일진(동음이의어)|일진]]([[日]]辰): 그날의 운세. '오늘 일진이 안 좋다'의 '일진'이 바로 이것이다. * [[수성|진성]](辰[[星]]): [[수성]].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행성. * [[육십갑자|60갑자]]의 [[무진(간지)|무진]]([[戊]]辰), [[경진|경진]]([[庚]]辰), [[임진|임진]]([[壬]]辰), [[갑진|갑진]]([[甲]]辰), [[병진|병진]]([[丙]]辰) * [[무진전쟁]]([[戊]]辰[[戰]][[爭]]) * [[무진피화]]([[戊]]辰[[被]][[禍]]) * [[병진자]]([[丙]]辰[[字]]) * [[임진왜란]]([[壬]]辰[[倭]][[亂]]) ==== 신 ==== * [[북극성|북신]]([[北]]辰): [[북극성]]. 작은곰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 * 북신보살([[北]]辰[[菩]][[薩]]): [[북두칠성]]을 신격화한 보살. * [[생일|생신]]([[生]]辰): [[생일]]을 높여 이르는 말. * 성신([[星]]辰) * 신성(辰[[星]]): 시각을 측정하는 기준이 되는 항성. * 탄신([[誕]]辰): 임금이나 성인이 태어난 날. * 탄신일([[誕]]辰[[日]])[* '탄신'''일''''이라는 표현은 [[겹말]]이다. '탄신'에 이미 '날'의 뜻이 있기 때문.] * [[성탄절|기독탄신일]]([[基]][[督]][[誕]]辰[[日]]) * [[충무공 이순신 탄신일]]([[忠]][[武]][[公]] [[李]][[舜]][[臣]] [[誕]]辰[[日]]) * [[부처님오신날|석가탄신일]]([[釋]][[迦]][[誕]]辰[[日]]) === 인명, 지명, 캐릭터명, 작품명 등 === * [[진국(국가)|진국]](辰國): 고조선과 동시대에 한반도 중부와 남부에 존재했던 국가. * [[진한]](辰韓): 삼국 시대 이전의 부족 국가. * [[진사왕]](辰斯王) * [[김광진(가수)|김광진]](金光辰) * [[김택진]](金澤辰) * [[문창진]](文昶辰) * [[박진성(프로게이머)|박진성]](朴辰成) * [[천러|중천러]](钟辰乐) * [[지석진]](池錫辰) * [[하석진]](河錫辰) * [[한유진]](韓維辰) * [[현진(Stray Kids)|황현진]](黃鉉辰) * [[안혜진]](安惠辰) * [[카사이 타츠요시]](葛西 辰由) * [[사카모토 다츠마]](坂本 辰馬) * [[시나다 타츠오]](品田 辰雄) * [[타츠라가와 신지]](辰羅川 信二) * [[타츠미]](辰[[巳]]) * [[타츠미야 유리카]](辰[[宮]] [[百]][[合]][[香]]) * [[후세 다쓰지]]([[布]][[施]] 辰[[治]]) * [[히무로 타츠야]](氷室 辰也) * [[신라족]](辰羅族) * [[임진록]](壬辰錄) * [[진천역]](辰泉驛) * [[진교IC]](辰橋IC) == 유의자 == * '''별''' * [[庚]](별 경) * [[奎]](별 규) * [[星]](별 성) * [[彗]](살별 혜) * '''때''' * [[時]](때 시)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준3급 한자]][[분류:제부수 한자]][[분류:다음자/한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