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轗}}}길이험하여수레가가기힘들 감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車|{{{#000,#fff 車}}}]], 13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20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미배정}}}}}}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c88 kǎn}}}}}}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轗은 ''''길이험하여수레가가기힘들 감''''이라는 [[한자]]로, '길이 험하여 수레가 가기 힘들다'를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8F57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JJIRP(十十戈口心)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車]](수레 차)와 음을 나타내는 [[感]](느낄 감)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輡]]과는 동자 관계이다. == 용례 == === [[단어]] === * 감가(轗[[軻]])[* [[坎]][[坷]]나 坎[[軻]]를 쓰기도 한다.] * 감람(轗[[壈]])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지명#s-2]] === === [[창작물]] === === [[일본어]] === ==== [[훈독]] ==== ==== [[음독#s-1]] ==== === [[중국어]] === === 기타 === == 유의자 ==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䃭]](돌함/흔들 감) * [[𪊄]]^^[⿰鹵感]^^(몹시짤 감) * [[憾]](섭섭할 감) * [[𥽇]]^^[⿰米感]^^(의이 감)[* [[𧆐]](의이 감)의 [[동자#s-2]]] * [[鱤]](자가사리 감) * [[𠿑]]^^[⿰口感]^^(짖을 감, 으르렁거릴 함) * [[𨣝]]^^[⿰酉感]^^(짤 감) * [[㙳]](평평하지않을 감) * [[撼]](흔들 감) * [[澸]](물이름 담) * [[𣛴]]^^[⿰木感]^^(나무터질 함) * [[𩞿]]^^[⿰𩙿感]^^(나쁠 함) * [[䜗]](성내어말할 흠) * [[𤛸]]^^[⿰牛感]^^(암) * [[𬿯]]^^[⿰亻感]^^ * [[𭂢]]^^[⿰冫感]^^ * [[𡢳]]^^[⿰女感]^^ * [[𰎺]]^^[⿰山感]^^ * [[𤐉]]^^[⿰火感]^^ * [[𭤚]]^^[⿰文感]^^ * [[𱼞]]^^[⿰⺼感]^^ * [[𤜁]]^^[⿰牟感]^^ * [[𭭹]]^^[⿰武感]^^ * [[𫄅]]^^[⿰糸感]^^ * [[𫓏]]^^[⿰金感]^^ == 여담 == 네이버 한자사전에는 훈이 '가기 힘들'로 축약되어 있다. 어째선지 [[파파고]]에 언어를 일본어로 설정하고 이 한자를 입력하면 '감촉'이라고 번역한다. [[분류:급수 미배정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