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8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軍}}}군사 군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車|{{{#000,#fff 車}}}]], 2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9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8급 한자|{{{#000,#fff 8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グン, {{{#c88 クン}}}}}}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いくさ, つわもの}}}}}}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jū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軍은 ''''군사 군''''이라는 [[한자]]로, '[[군사]](軍士)', '[[군인]](軍人)' 등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군사 || || {{{-1 '''음'''}}} ||군||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jūn || || {{{-1 '''[[광동어]]'''}}} ||gwan1 || || {{{-1 '''[[객가어]]'''}}} ||kiûn || || {{{-1 '''민북어'''}}} ||gé̤ng || || {{{-1 '''민동어'''}}} ||gŭng || || {{{-1 '''[[민남어]]'''}}} ||kun || || {{{-1 '''[[오어]]'''}}} ||jyn (T1) || ||<-3> || ||<|2> '''[[일본어]]''' || {{{-1 '''음독'''}}} ||グン, {{{#c88 クン}}} || || {{{-1 '''훈독'''}}} ||{{{#c88 いくさ, つわもの}}} || ||<-3> || ||<-2> '''[[베트남어]]''' ||quân || [[유니코드]]에는 U+8ECD에 배정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月十田十(BJWJ)으로 입력한다. '''[[회의자]]'''로, 한자의 모양만 보면 [[冖]](덮을 멱)과 [[車]](수레 차)의 조합으로 보기 쉬우나 사실은 [[勹]](쌀 포)와 [[車]](수레 차)가 합쳐진 글자이다. [[전차]](車) 주위를 둘러 싸고(勹) 싸운다는 뜻이다. [[뉴스]]나 [[신문]] 등 [[언론]]에서 [[군대]]나 [[군인]]에 관련되어 있으면 주로 軍을 붙인다. == 용례 == === [[단어]] === * '''[[군#s-3|군]](軍)''' * 강행군([[强]][[行]]軍) * [[공군]]([[空]]軍/[[共]]軍) * 관군대장군([[冠]]軍[[大]][[將]][[軍]]) * [[괴뢰군]]([[傀]][[儡]]軍) * [[국군]]([[國]]軍) * [[군가]](軍[[歌]]) * [[군견]](軍[[犬]]) * [[군경]](軍[[警]]) * [[군기]](軍[[器]]/軍[[旗]]/軍[[機]]/軍[[氣]]/軍[[紀]]/軍[[記]]) * 군납(軍[[納]]) * [[군대]](軍[[大]]/軍[[隊]]) * 군란(軍[[亂]]) * [[임오군란]]([[壬]][[午]]軍[[亂]]) * [[군법]](軍[[法]]) * 군병(軍[[兵]]) * [[군복]](軍[[服]]) * [[군부]](軍[[部]]) * [[군부대]](軍[[部]][[隊]]) * [[군비]](軍[[備]]) * [[군사#s-1]](軍[[事]]) * [[군사기밀]](軍[[事]][[機]][[密]]) * [[군사력]](軍[[事]][[力]]) * [[군사분계선]](軍[[事]][[分]][[界]][[線]]) * [[군사]](軍[[使]]/軍[[史]]/軍[[司]]/軍[[士]]/軍[[師]]) * [[군수품]](軍[[需]][[品]]) * [[군악]](軍[[樂]]) * [[군악대]](軍[[樂]][[隊]]) * [[군역]](軍[[役]]) * 군의(軍[[議]]/軍[[醫]]) * [[군인]](軍[[人]]) * [[군정]](軍[[政]]) * [[군함]](軍[[艦]]/軍[[銜]]) * [[군칸마키]](軍[[艦]][[巻]]) * [[군함조]](軍[[艦]][[鳥]]) * [[군화]](軍[[靴]]) * [[동맹군]]([[同]][[盟]]軍) * [[미군]]([[美]]軍) * [[주한미군]]([[駐]][[韓]][[美]]軍) * [[상비군]]([[常]][[備]]軍) * [[수군]]([[戍]]軍/[[水]]軍) * [[승호군]]([[陞]][[戶]]軍) * [[십자군]]([[十]][[字]]軍) * [[아군]]([[我]]軍) * [[연합군]]([[聯]][[合]]軍) * [[예비군]]([[豫]][[備]]軍) * [[육군]]([[陸]]軍/[[六]]軍) * [[인민군]]([[人]][[民]]軍) * [[장군]]([[將]]軍) * [[대장군]]([[大]][[將]]軍) * [[적군]]([[敵]]軍) * [[전군]]([[全]]軍/[[典]]軍) * 참군([[參]]軍) * 철군([[撤]]軍) * 퇴군([[退]]軍) * [[해군]]([[海]]軍/[[解]]軍) * 회군([[回]]軍) * [[위화도 회군]]([[威]][[化]][[島]] [[回]]軍) === [[고사성어]]/[[숙어]] === * [[고군분투]]([[孤]]軍[[奮]][[鬪]]) * [[백의종군]]([[白]][[衣]][[從]]軍) * [[독불장군]]([[獨]][[不]][[將]]軍) * [[동장군]]([[冬]][[將]]軍) * 천군만마([[千]]軍[[萬]][[馬]]) === [[인명]] === * [[김군관]]([[金]]軍[[官]]) * [[김군승]]([[金]]軍[[勝]]) * [[둥쥔]]([[董]]军) * [[사나기 군조]]([[佐]][[奈]][[樹]] 軍[[曹]]) * [[소기이타 군하]]([[削]][[板]] 軍[[覇]]) * [[쇼지 군페이]]([[庄]][[司]] 軍[[平]]) * [[예군]]([[禰]]軍) * [[이토시마 군키]]([[糸]][[島]] 軍[[規]]) * [[장쥔]]([[张]]军) * [[탕이쥔]]([[唐]][[一]]军) === [[지명#s-2]] === *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화촌면]] [[군들길]](軍들길) * [[경기도]] [[과천시]] [[장군마을길]]([[將]]軍마을길) * [[대구광역시]] [[군위군]](軍[[威]][[郡]]) * [[경기도]] [[군포시]](軍[[浦]][[市]]) * [[군포역]](軍[[浦]][[驛]]) * [[부산광역시]] [[서구(부산광역시)|서구]] [[장군산로]]([[將]]軍[[山]][[路]]) * [[서울특별시]] [[관악구]] [[장군봉길]]([[將]]軍[[峰]]길)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將]]軍[[面]]) * [[전라남도]] [[여수시]] [[장군산길]]([[將]]軍[[山]]길) === 기타 === * [[군백기]](軍[[白]][[期]]) * [[군부심]](軍[[負]][[心]]) * [[군삼녀]](軍[[三]][[女]]) * [[군수(입시)|군수]](軍[[修]]): 입시 관련 속어 * [[군지]](軍[[芝]]) * [[군통령]](軍[[統]][[領]]) * [[금화군]]([[禁]][[火]]軍) * [[마니와 닌군]]([[真]][[庭]] [[忍]]軍) * [[신나軍]]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冪]](덮을 멱) * [[冗]](한산할 용) * [[運]](옮길 운) * [[冤]](원통할 원) * [[冢]](무덤 총) == 여담 == HSK 5급에 출제되는 한자이다. 2021년 중국공안부의 인명통계에 따르면 외자이름을 쓰는 국민중에 아홉 번째로 흔한 이름이 军이며 93%가 남자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