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趙}}}나라 조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走|{{{#000,#fff 走}}}]], 7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4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2급 한자|{{{#000,#fff 2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チョウ}}}}}}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こ-え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zhào{{{#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趙는 ''''나라 조''''라는 [[한자]]로, 한국과 중국의 성씨로 사용된다. * [[유니코드]]: U+8D99 * [[창힐수입법]]: GOFB(土人火月) * [[강희자전]]: 1217페이지 50번째 글자[[http://www.kangxizidian.com/kangxi/1217.gif| ]] * [[한자/인명용 한자표|인명용 한자]]: 등재 == 자원 == 뜻을 나타내는 [[走]](달릴 주)와 소리를 나타내는 [[肖]](점점 초)의 [[형성자]]. [[주초위왕]] 덕에 이 구성 원리는 알고 있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본 뜻은 '빨리 달아나다'이다. 이 글자를 종족명으로 쓰는 씨족이 나중에 전국칠웅 중 하나로 자리잡는 [[조(전국시대)|조나라]]를 건국하면서, 점차 본 뜻으로는 쓰이지 않고 성씨와 지명으로만 쓰이게 된다. == 출전 == ||<:>출전||<:>원문|| ||[[설문해자]]||趨趙也。从走肖聲。治小切|| ||청대[br]단옥재[br]설문해자주||(趙) 趍趙也。从走。肖聲。治小切。|| ||[[강희자전]]||《廣韻》治小切《集韻》《韻會》《正韻》直紹切,音肇。《說文》趍趙也。 又《釋名》趙,朝也。本小邑,朝事于大國也。 又《廣韻》趙,少也,久也。 又姓。《史記·趙世家》繆王賜造父以趙城,由此爲趙氏。 又國名。《前漢·地理志》趙地,昴畢之分野。趙分晉,得趙國。 又《揚子·方言》牀杠,南楚之閒謂之趙。《註》趙當作兆,聲之轉也。中國亦呼杠爲挑牀,皆通也。 又《集韻》徒了切,音窕。或作,通作趙。刺也。《詩·周頌》其鎛斯趙。《傳》趙,刺也。《箋》以田器刺也。 又《集韻》起了切。《詩·周頌·釋文》沈重讀。 又同掉。《荀子·賦論篇》頭銛達而剽趙繚者耶。《註》趙,讀爲掉。掉,繚長貌。 又《韻補》叶文呂切。《崔駰·達旨》魯連辨言以退燕,包胥單辭而存楚。唐且華顚以悟秦,甘羅童牙而報趙。|| == 용례 == === [[인명]] === [include(틀:한국의 성씨 한자)] 2015년 통계청 집계 기준 대한민국 인구 1,055,567명, 전체 7위의 성씨로 주요 본관으로는 [[한양 조씨|한양]](漢陽), [[함안 조씨|함안]](咸安), [[풍양 조씨|풍양]](豊壤)이 있다. 자세한 사항은 [[조(성씨)]] 문서 참조. === 기타 === * [[노심조]]([[魯]][[沈]]趙) * [[조금박해]](趙[[琴]][[朴]][[海]]) [[분류:2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