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豸}}}벌레 치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豸, 0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7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미배정}}}}}}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タイ, チ}}}}}}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zhài, zhì{{{#c88 }}}}}}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px-豸-order.gif]]}}}||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豸자는 ''''벌레 치''''라는 [[한자]]로, [[설문해자]]에 따르면 긴 등뼈 가진 사냥감을 느릿느릿 다가가 엿보다 죽이려는 모습을 본떴다라 설명하고 있으며 그 외의 견해로는 고문자를 미루어 봤을 때 큰 입을 긴 신체의 위에 놓은 형상이라는 견해도 있다. 豸자는 벌레 혹은 다리가 없는 벌레의 뜻 또한 지니고 있는데, [[이아]](爾雅)에 따르면 벌레의 안쪽 다리가 있는 것이 蟲이고 다리가 없는 것이 豸라 하며 따라서 蟲豸는 벌레의 총칭이라 설명하고 있다. 또한 선악을 판단한다는 전설 속 신수인 [[해태]]를 이르기도 한다 [[유니코드]]는 U+8C78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BSHH(月尸竹竹)으로 입력한다. == 자형 == ||<:>[[파일:120px-豸-oracle.svg.png]]||<:>[[파일:120px-豸-bronze.svg.png]]||<:>[[파일:120px-豸-bigseal.svg.png]]||<:>[[파일:120px-豸-seal.svg.png]]|| ||<:>갑골문||<:>금문||<:>대전체||<:>소전체|| == 용례 == === [[단어]] === * [[해태]]([[獬]]豸)[* 중국·일본에서는 豸를 해태의 의미로서도 한국 한자음 '치'에 해당하는 음으로 읽는 것이 보편화했다.]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명칭: 갖은돼지시변부[* '갖은'은 [[갖은자]]에서 알 수 있듯 획을 더 많이 쓴 글자라는 뜻이다. 즉, 부수의 본래 뜻과 무관하게 모양만을 기준으로 하여 돼지 시(豕)에 획을 더 갖춘 글자라는 의미다.] 강희자전 안에 153번째에 수록된 부수로 강희자전안에 140자가 수록되었다.(49,030자 중) 부수의 의부로 붙을 때에는 맹수(주로 고양잇과 동물들)에 관한 뜻을 나타낸다. === 부수 예 === ||추가 획||한자|| ||기본자||豸|| ||3획||[[豹]] [[豺]] 豻|| ||5획||豾 豿 貀 貁 [[貂]] 貃|| ||6획||貄 貅 貆 貇 貈 貉 貊|| ||8획||貎 貏|| ||20획||貜|| === 나라별 부수명칭 === * 한국: 갖은돼지시변부 * 중국: [ruby(豸部, ruby=zhìbù)] * 일본: むじなへん * 미국: Radical Badger == 유의자 == * [[虫]](벌레 충, 벌레 훼, 찔 동) * [[蟲]](벌레 충) [[분류:급수 미배정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