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豢}}}기를 환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豕|{{{#000,#fff 豕}}}]], 6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13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특급}}}}}}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カン}}}}}}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か-う, やしな-う}}}}}}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huàn{{{#c88 }}}}}}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豢은 ''''기를 환''''이라는 [[한자]]로, '기르다'를 뜻한다. == 자원 == ||[[파일:豢 갑골문.png|width=100&height=100]]|| || [[갑골문]] || [[갑골문]]을 보다시피 [[돝]] 밑에 두 손이 있는 모습을 본뜬 [[회의자]]로 두 손으로 돝을 다룸을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8C62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FQMSO(火手一尸人)로 입력한다. 특히 [[곡식]]을 먹여 기르는 것, [[개돼지]]를 기르는 걸 뜻한다. == 용례 == === [[단어]] === * 추환([[芻]]豢) * 환룡씨(豢[[龍]][[氏]])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어환]]([[魚]]豢) === [[지명#s-2]] === * 환가(豢[[猳]]) === [[창작물]] === === 기타 === == 이체자 == * 㹖(U+3E56) * 𨤜^^[⿳釆艹豕]^^(U+2891C) == 유의자 == * [[飼]](기를 사) * [[養]](기를 양) * [[育]]/[[毓]](기를 육)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䖭]](거미 권) * [[劵]](게으를 권) * [[眷]](돌볼 권) * [[絭]](멜빵 권) * [[券]](문서 권) * [[奍]](밥 권) * [[𧙯]]^^[⿱𠔉衣]^^(버선 권, 두건 원, 곤룡포 곤) * [[韏]](분파할 권) * [[觠]](뿔 권) * [[桊]]/[[牶]](쇠코뚜레 권) * [[齤]](옥니 권) * [[帣]](자루 권) * [[餋]]/[[䄅]](제사 권) * [[飬]](제사 권, 기를 양) * [[拳]](주먹 권) * [[𥁠]]^^[⿱𠔉皿]^^(주발 권) * [[卷]]/[[巻]]/[[𩁫]]^^[⿱𠔉雚]^^(책 권) * [[𧯦]]^^[⿱𠔉豆]^^(흰콩 권) * [[誊]](베낄 등)[* [[謄]](베낄 등)의 [[간체자]]] * [[駦]](오를 등)[* [[騰]](오를 등)의 [[속자]]] * [[𣭮]]^^[⿱𠔉毛]^^(모모 모) * [[鮝]](건어물 상) * [[𡔨]]^^[⿱𠔉壬]^^(부끄러울 수) * [[𣇃]](찧을 용)[* [[舂]](찧을 용)의 [[동자#s-2]]] * [[𣳾]](클 태)[* [[泰]](클 태)의 [[동자#s-2]]] * [[弮]](쇠뇌활 환/권) * [[𣙂]]^^[⿱𠔉枲]^^(권) * [[𤱵]]^^[⿱𠔉田]^^(방) * [[䅈]](원) * [[𥏇]]^^[⿱𠔉矢]^^(환) * [[𭅑]]^^[⿱𠔉匕]^^ * [[𠝂]]^^[⿱𠔉分]^^ * [[𭑊]]^^[⿱𠔉⺀]^^ * [[𫝤]]^^[⿱𠔉天]^^ * [[𡙅]]^^[⿱𠔉丘]^^ * [[𭑖]]^^[⿱𠔉市]^^ * [[𫺉]]^^[⿱𠔉心]^^ * [[𬀴]]^^[⿱𠔉日]^^ * [[𬇦]]^^[⿱𠔉水]^^ * [[𭜮]]^^[⿱𠔉㣺]^^ * [[𮌐]]^^[⿱𠔉⺝]^^ * [[𬍢]]^^[⿱𠔉玉]^^ * [[𮍢]]^^[⿱𠔉至]^^ * [[𮍨]]^^[⿱𠔉臼]^^ * [[𰶩]]^^[⿳𠔉彐𧰨]^^ * [[𪀲]]^^[⿱𠔉鳥]^^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㹖]](기를 환)[* 豢(기를 환)의 [[동자#s-2]]] == 여담 == 강원도 고성의 옛 지명인 환가에 환이 이 한자이다. [[분류:특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