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謄}}}베낄 등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言|{{{#000,#fff 言}}}]], 1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7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2급 한자|{{{#000,#fff 2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ト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うつ-す}}}}}}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té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謄은 ''''베낄 등''''이라는 [[한자]]로, '베끼다', '등사(謄寫)하다' 등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베끼다 || || {{{-1 '''음'''}}} ||등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téng || || {{{-1 '''[[광동어]]'''}}} ||tang4 || || {{{-1 '''[[객가어]]'''}}} ||thèn || || {{{-1 '''[[민북어]]'''}}} ||da̿ing || || {{{-1 '''[[민동어]]'''}}} ||dèng || || {{{-1 '''[[민남어]]'''}}} ||thêng || || {{{-1 '''[[오어]]'''}}} ||den (T3) || ||<-3> || ||<|2> '''[[일본어]]''' || {{{-1 '''음독'''}}} ||トウ || || {{{-1 '''훈독'''}}} ||{{{#c88 うつ-す}}} || ||<-3> || ||<-2> '''[[베트남어]]''' ||đằng || [[유니코드]]에는 U+8B04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月火手口(BFQR)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言]](말씀 언)과 소리를 나타내는 [[朕]](나 짐)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 용례 == === [[단어]] === * 등본(謄[[本]]) * 제적등본([[除]][[籍]]謄[[本]]) * [[주민등록표등본]]([[住]][[民]][[登]][[錄]][[票]]謄[[本]]) * 등사(謄[[寫]]) * [[등사기]](謄[[寫]][[機]])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지명#s-2]] === === [[창작물]] === *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 기타 === == 유의자 == * [[摹]](베낄 모) * [[寫]](베낄 사) * [[抄]](뽑을/베낄 초) * [[搨]](베낄 탑)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黱]](눈썹 그릴 대) * [[縢]](노 등) * [[螣]](등사 등) * [[滕]](물솟아오를 등) * [[騰]](오를 등) * [[勝]](이길 승) * [[塍]](밭두둑 승) * [[榺]](잉아 승) * [[膡]](예쁜 눈 잉) * [[媵]](줄 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