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3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該}}}갖출/마땅 해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言|{{{#000,#fff 言}}}]], 6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3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3급 한자|{{{#000,#fff 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ガイ{{{#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か-ね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gāi{{{#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該는 ''''갖출/마땅 해''''라는 [[한자]]로, '갖추다', '마땅히', '겸하다' 등을 뜻한다. == 상세 == 뜻을 나타내는 [[言]](말씀 언)과 소리를 나타내는 [[亥]](돼지 해)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8A72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卜口卜女人(YRYVO)으로 입력한다. == 용례 == === [[단어]] === * 당해([[當]]該)[* 해당(該當)과 같은 말이지만 해당(該當)에 비해 잘 쓰이지 않는다. 그나마 많이 보이는 용례가 '금년도([[今]][[年]][[度]])'의 이제 금([[今]])을 대체하여 쓴 '당해년도(當該年度)'이다.] * 절해([[節]]該) * 해당(該[[當]]) * 해당란(該[[當]][[欄]]) * 해당자(該[[當]][[者]]) * 해동(該[[洞]]) * 해리(該[[吏]]) * 해박(該[[博]]) * 해부(該[[府]]) * 해사(該[[社]]) * 해색(該[[色]]) * 해안(該[[案]]) * 해원(該[[院]]) * 해인(該[[人]]) * 해절(該[[切]]) * 해청(該[[廳]]) * 해하(該[[下]])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강해건([[姜]]該[[健]]): [[썸머코드]]의 등장인물 * 김해([[金]]該) * 마하분해([[摩]][[訶]][[賁]]該) * [[사해(삼국지)|사해]]([[謝]]該) * [[손해#s-3]]([[孫]]該): [[위나라]]의 인물 * [[송해(전연)|송해]]([[宋]]該): [[전연]]의 인물 * 야속해([[也]][[速]]該): [[예수게이]]의 [[휘#s-1]] * [[진해수]]([[陳]]該[[受]]) === [[지명#s-2]] === === 기타 === == 유의자 == * '''갖추다''' * [[具]]/[[俱]](갖출 구) * [[諨]](갖출 복) * [[備]](갖출 비) * [[僎]](갖출 선) * [[咃]](갖출 타) * [[辨]]/[[弁]](갖출 판) * [[晐]]/[[賅]](갖출 해) * [[𤰅]](갖출 황) * '''마땅하다''' * [[當]](마땅 당) * [[穩]](편안할 온) * [[宜]](마땅 의) * [[妥]](온당할 타) * '''겸하다''' * [[兼]](겸할 겸)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䤤]](그릇이름 개) * [[烗]](불길세찰 개) * [[𥞨]](짚고갱이 개) * [[硋]](방해할 애) * [[䬵]](쉴 애, 딸꾹질할 개) * [[晐]]/[[賅]](갖출 해) * [[輆]](거리낄 해/개) * [[㤥]](괴로울 해) * [[𨀖]](급히갈 해) * [[咳]](기침 해) * [[豥]](네발굽흰돼지 해) * [[駭]](놀랄 해) * [[䀭]](눈큰모양 해) * [[垓]](땅가장자리 해) * [[畡]](땅끝 해) * [[𩠚]](머리 해) * [[絯]](묶을 해) * [[峐]](민둥산 해) * [[姟]](백조 해/개) * [[𧊏]](벌레이름 해) * [[骸]]/[[䠹]](뼈 해) * [[𩰶]](새알심 해) * [[陔]](섬돌 해) * [[𥩲]](신이름 해) * [[孩]](어린아이 해) * [[胲]](엄지발가락 해, 뺨 개) * [[㧡]](움직일 해, 멜 위) * [[侅]](이상할 해) * [[核]](씨 핵) * [[𣴃]] * [[𪻞]] * [[𦈲]] * [[𨠳]] * [[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