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4급 한자]][[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일본의 상용한자]]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解}}}풀 해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角|{{{#000,#fff 角}}}]], 6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3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4급 한자|{{{#000,#fff 준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カイ, ゲ{{{#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と-く, と-かす, と-ける,[br]{{{#c88 さと-る, ほぐ-れる, ほつ-れる,[br]ほど-く, ほど-ける, わか-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jiě, jiè, xiè{{{#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解는 ''''풀 해''''라는 [[한자]]로, '풀다', '풀이하다', '[[이해#s-1.1]](理解)하다' 등을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89E3에 배정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NBSHQ(弓月尸竹手)로 입력한다. [[角]](뿔 각) + [[刀]](칼 도) + [[牛]](소 우)가 합쳐져 만들어진 [[회의자]]로 소(牛)의 살, 뼈, 뿔(角) 등을 칼(刀)로 따로 바른다는 뜻으로 '풀다'가 되었다. [[갑골문]]에서는 소의 뿔을 양손으로 해체하는 모습으로 그려져 있으며, [[전서|소전]]에 와서야 양손을 나타내는 부분이 刀로 대체되었다. '풀다'라는 단어가 워낙 여러 방면에서 쓰이다 보니 일상생활에서 解가 들어가는 단어도 엄청나게 많다. == 용례 == === [[단어]] === * [[견해]]([[見]]解) * 곡해([[曲]]解) * [[난해]]([[難]]解) * [[독해]]([[讀]]解) * [[분해]]([[分]]解) * [[양해]]([[諒]]解) * [[오해]]([[誤]]解) * [[와해#s-1]]([[瓦]]解) * [[용해]]([[溶]]解) * [[융해]]([[融]]解) * [[이해#s-1.1]]([[理]]解) * [[전해질]]([[電]]解[[質]]) * 해결(解[[決]]) * 해결책(解[[決]][[策]]) * [[해고]](解[[雇]]) * [[해금]](解[[禁]]) * 해답(解[[答]]) * [[해독]](解[[毒]]/解[[讀]]) * [[해동]](解[[凍]]) * 해동기(解凍[[期]]) * 해명(解[[明]]) * [[해방]](解[[放]]) * 해법(解[[法]]) * [[해부]](解[[剖]]) * [[해빙]](解[[氷]]) * [[해산]](解[[散]]) * [[해상도]](解[[像]][[度]]) * 해석(解[[釋]]/解[[析]]) * [[해석기관]]([解[[析]][[機]][[關]]) * [[해석역학]](解[[析]][[力]][[學]]) * 해석적(解[[析]][[的]]) * [[해석적 정수론]](解[[析]][[的]][[整]][[數]][[論]]), [[해석적 연속]](解[[析]][[的]][[連]][[續]]) * [[해석학(수학)|해석학]](解[[析]][[學]]) * [[실해석학]]([[實]]解[[析]][[學]]), [[복소해석학]]([[複]][[素]]解[[析]][[學]]), [[초실수체|비표준 해석학]]([[非]][[標]][[準]]解[[析]][[學]]), [[수치해석학]]([[數]][[値]]解[[析]][[學]]) * [[해석함수]](解[[析]][[函]][[數]]) * [[해설]](解[[說]]) * 해소(解[[消]]) * 해이(解[[弛]]) * [[도덕적 해이]]([[道]][[德]][[的]] 解[[弛]]) * [[해임]](解[[任]]) * [[해정술]](解[[錠]][[術]]) * [[해제#s-1|해제]](解[[除]]) * [[해제]](解[[除]]) * 해지(解[[止]]) * [[해체]](解[[體]]) * [[해체신서]](解[[體]][[新]][[書]]) * [[해탈]](解[[脫]]) * 현해([[懸]]解) * [[화해]]([[和]]解) === [[고사성어]]/[[숙어]] === * [[결자해지]]([[結]][[者]]解[[之]]) * 망매해갈([[望]][[梅]]解[[渴]]) * 불가지해([[不]][[可]][[知]]解) * [[해어화]](解[[語]][[花]]) * 해의추식(解[[衣]][[推]][[食]]) === [[인명]] === * [[고이해]]([[古]][[爾]]解) * [[막고해]]([[莫]][[古]]解) * [[모모타 카이토]]([[百]][[田]] 解[[斗]]) * [[박노해]]([[朴]][[勞]]解) * [[선도해]]([[先]][[道]]解) * [[야율해리(10세기 중반)|야율해리]]([[耶]][[律]]解[[里]]): 10세기 중반에 활동함 * [[온군해]]([[溫]][[君]]解) * [[와카라즈노미야 밀리온]]([[不]]解[[宮]] ミリオン) * [[적막이해]]([[適]][[莫]][[爾]]解) * [[카데노코지 유카리]]([[勘]]解[[由]][[小]][[路]] ユカリ) * [[카데노코지 이치지쿠]]([[勘]]解[[由]][[小]][[路]] [[無]][[花]][[果]]) * [[쿠사나기 리카이]]([[草]][[薙]] [[理]]解) * [[해모수]](解[[慕]][[漱]]) * [[해부루]](解[[扶]][[婁]]) * [[해이(1978)|해이]](解[[離]]): 1978년생 * [[백제]] [[대성팔족]]의 해(解)씨 * [[황해준]]([[黃]]解[[晙]]) === [[지명#s-2]] === * [[해안역]](解[[顔]][[驛]]) === [[창작물]] === * [[경국대전주해]]([[經]][[國]][[大]][[典]][[註]]解) * [[만해]]([[卍]]解) * [[몽어유해]]([[蒙]][[語]][[類]]解) * [[무경칠서휘해]]([[武]][[經]][[七]][[書]][[彙]]解) * [[시해(블리치)|시해]]([[始]]解) * 직재서록해제([[直]][[齋]][[書]][[錄]]解[[題]]) * [[해체신서]](解[[體]][[新]][[書]]) * [[훈민정음 해례본]]([[訓]][[民]][[正]][[音]] 解[[例]][[本]]) * [[炉心融解]]([[노심융해]]) * [[正解]] * [[この恋の解を答えなさい]]([[이 사랑의 해를 구하시오]]) === 기타 === * [[소집해제|소해]]([[召]]解): [[소집해제]]의 준말 == 유의자 == * [[釋]](풀 석) * [[繹]](풀 역)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蟹]](게 해) * [[懈]](게으를 해) * [[邂]](우연히 만날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