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袋}}}자루 대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衣|{{{#000,#fff 衣}}}]], 5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1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1급 한자|{{{#000,#fff 1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タイ{{{#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ふくろ{{{#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dài{{{#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袋는 ''''자루 대''''라는 [[한자]]로, '[[자루]]', '[[주머니]]'를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자루 || || {{{-1 '''음'''}}} ||대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dài || || {{{-1 '''[[광동어]]'''}}} ||doi^^6^^, doi^^6-2^^ || || {{{-1 '''[[객가어]]'''}}} ||thoi || || {{{-1 '''[[민북어]]'''}}} ||dō || || {{{-1 '''[[민동어]]'''}}} ||dô̤i || || {{{-1 '''[[민남어]]'''}}} ||tāi[*文 [[문독]]] / tē[*白 [[백독]]] || || {{{-1 '''[[오어]]'''}}} ||de (T3) || ||<-3> || ||<|2> '''[[일본어]]''' || {{{-1 '''음독'''}}} ||タイ || || {{{-1 '''훈독'''}}} ||ふくろ || ||<-3> || ||<-2> '''[[베트남어]]''' ||đại || [[유니코드]]에는 U+888B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人心卜竹女(OPYHV)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衣]](옷 의)와 소리를 나타내는 [[代]](대신할 대)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 용례 == === [[단어]] === * [[마대(동음이의어)|마대]]([[麻]]袋) * [[부대]]([[負]]袋) * ([[胃]]袋) - 일본어에서 쓰이는 표현으로 [[위]]를 의미하며, いぶくろ라고 읽는다. * [[유대류]]([[有]]袋[[類]]) * 주대([[酒]]袋) - 술을 담는 주머니 * [[포대]]([[包]]袋/[[布]]袋)[* 어떤 한자를 쓰느냐에 따라 의미가 다르다. 즉, [[동음이의어]].]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전설 시리즈#s-3.2.2|데부쿠로 호우키]]([[手]]袋 [[鵬]][[喜]]) * [[시마부쿠로 미츠토시]]([[島]]袋 [[光]][[年]]) * [[이부쿠로 타케시]]([[衣]]袋 [[武]][[志]]) * [[츠미부쿠로]]([[罪]]袋) * [[치에부쿠로 세츠카]]([[知]][[恵]]袋 [[雪]][[花]]) * [[호테이 모카]]([[布]]袋 [[百]][[椛]]) * [[호테이 토모야스]]([[布]]袋 [[寅]][[泰]]) === [[지명#s-2]] === * 일본 도쿄도 도시마구 [[이케부쿠로]]([[池]]袋) === [[창작물]] === == 유의자 == * [[韟]](자루 고) * [[帣]](자루 권) * [[囊]](주머니 낭) * [[㡞]](자루 루) * [[韢]](자루 혜)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柋]](누에시렁 대) * [[黛]](눈썹그릴 대) * [[貸]](빌릴/뀔 대) * [[岱]](산이름 대) * [[帒]](산이름/자루 대) * [[垈]](집터 대) * [[牮]](버팀목 천) * [[𧊇]](독 특) * [[𢘋]](어그러질 특) * [[𠊝]] * [[𠍜]] * [[𡥖]] * [[𠰰]] * [[𦙯]] * [[𥿝]] * [[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