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薨}}}죽을 훙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艸|{{{#000,#fff 艸}}}]], 13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17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준특급}}}}}}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コウ}}}}}}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し-ぬ, みまか-る, みう-す}}}}}}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hōng{{{#c88 }}}}}}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薨은 ''''죽을 훙''''이라는 [[한자]]로, '죽다', '훙서(薨逝)' 등을 뜻한다. 그래서 ''''훙서 훙''''이라고도 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85A8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TWLP(廿田中心)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艸]](초두머리)와 음을 나타내는 [[夢]](꿈 몽)의 생략형이 [[死]](죽을 사)를 바탕으로 합쳐진 [[형성자]]이다. 아무 죽음이나 뜻하는 게 아니라 [[제후]]의 죽음이다. >諸侯 曰 薨 >제후는 훙이라고 한다. >---- >『[[예기]]』, 「곡례(曲禮) 하(下)」 뒤에 [[去]](갈 거)나 [[逝]](갈 서)를 붙이기도 한다. 그래서 [[황족]]의 죽음을 훙거나 훙서라고 쓴다. 간혹 [[공경#s-2|3품 이상]]의 죽음을 뜻하기도 한다. [[만엽집]]이나 [[일본서기]]를 비롯한 [[일본]] [[고대]] [[문헌]]에서는 '몸'을 뜻하는 미([ruby(身,ruby=み)])와 '없어지다'를 뜻하는 우스([ruby(失,ruby=う)]す)를 붙여서 미우스([ruby(薨,ruby=みう)]す)라고 [[훈독]]하는데 실제로는 활용을 해서 미우세누([ruby(薨,ruby=みうせ)]ぬ)라고 읽는다. == 용례 == === [[단어]] === * 훙거(薨[[去]]) * 훙서(薨[[逝]]) * 훙어(薨[[御]])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지명#s-2]] === === [[창작물]] === === [[일본어]] === ==== [[훈독]] ==== ==== [[음독#s-1]] ==== === [[중국어]] === === 기타 === == 유의자 == * [[殌]](죽을 경) * [[𣩰]]^^[⿰歹翟]^^(죽을 도) * [[歿]](죽을 몰) * [[𣨞]]^^[⿰歹奉]^^(죽을 봉) * [[死]](죽을 사) * [[𣩄]]^^[⿰歹盍]^^/[[𣩱]]^^[⿰歹蓋]^^(죽을 애) * [[殗]](앓을 업, 죽을 엄) * [[殪]](죽을 에) * [[殞]](죽을 운) * [[殂]](죽을 조) * [[𤯚]]^^[⿱不生]^^(죽을 종/충) * [[斃]](죽을 폐) == 상대자 == * [[生]](날 생) * [[活]](살 활)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𥕗]]^^[⿳艹罒⿱冖石]^^(돌떨어지는소리 굉) * [[𧄼]]^^[⿳艹罒⿱冖登]^^(어리둥절한모양 등) * [[蘉]](힘쓸 망) * [[𧀧]]^^[⿳艹罒⿱冖夌]^^(갓깨어일어날 맹) * [[甍]](용마루/싹 맹) * [[薎]](눈에놀이/업신여길 멸) * [[𦸑]]^^[⿳艹罒⿱冖戈]^^(업신여길 멸)[* [[蔑]](업신여길 멸)의 [[동자#s-2]]] * [[𧂝]](짓무를 멸)[* [[䁾]](짓무를 멸)의 [[오탈자#s-1|와자]]] * [[夢]]/[[𦴋]]^^[⿳艹罒⿱冖又]^^/[[𧁌]]^^[⿳艹罒⿱冖⿰亻㐁]^^(꿈 몽) * [[𪅇]]^^[⿳艹罒⿱冖鳥]^^(비둘기 몽) * [[瞢]](어두울 몽, 먼눈 맹) * [[𥌱]]^^[⿳艹罒⿱冖眠]^^(잠꼬대할 몽) * [[䠢]](터덜터덜가는모양 몽) * [[𧄯]]^^[⿳艹罒⿱冖⿰爿吾]^^(잠깰 오)[* [[寤]](잠깰 오)의 [[동자#s-2]]] * [[𦒃]]^^[⿳艹罒⿱冖羽]^^(새날 횡)[* [[䎕]](새날 횡)의 [[동자#s-2]]] * [[𧀆]]^^[⿳艹罒⿱冖豆]^^(몽) * [[𣊔]]^^[⿳艹罒⿱冖日]^^ * [[𫉐]]^^[⿳艹罒⿱冖方]^^ * [[𦾋]]^^[⿳艹罒⿱冖舛]^^ * [[𦿛]]^^[⿳艹罒⿱冖伯]^^ * [[𧁣]]^^[⿳艹罒⿱冖果]^^ * [[𱾺]]^^[⿳艹罒⿱冖⿰爿未]^^ * [[𮒽]]^^[⿳艹罒⿱冖悟]^^ * [[𮓏]]^^[⿳艹罒⿱冖惺]^^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𠐿]]^^[⿰亻薨]^^(어두울 홍) * [[𤃫]]^^[⿰氵薨]^^(물결소리 횡) * [[𪈘]]^^[⿰薨鳥]^^(물새이름 횡) * [[𩙛]]^^[⿺風薨]^^(큰바람 횡) * [[𩖎]]^^[⿰薨頁]^^(어두울 훙) == 여담 == 음이 '훙'인 한자는 사실상 이 한자가 유일하다. [[顭]](어두울 훙)이라는 한자도 있지만, 용례를 찾아볼 수가 없다. [[분류:준특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