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3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苟}}}진실로/구차할 구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艸|{{{#000,#fff 艸}}}]], 5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9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3급 한자|{{{#000,#fff 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コウ}}}}}}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いやしく-も, かりそめ, まことに}}}}}}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gǒu{{{#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苟는 ''''진실로/구차할 구''''라는 [[한자]]로, '진실로', '다만', '임시로', '구차(苟且)하다' 등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진실로/구차하다 || || {{{-1 '''음'''}}} ||구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gǒu || || {{{-1 '''[[광동어]]'''}}} ||gau2 || || {{{-1 '''[[객가어]]'''}}} ||kiéu || || {{{-1 '''[[민북어]]'''}}} ||gě || || {{{-1 '''[[민동어]]'''}}} ||gēu || || {{{-1 '''[[민남어]]'''}}} ||kó͘ || || {{{-1 '''[[오어]]'''}}} ||keu (T2) || ||<-3> || ||<|2> '''[[일본어]]''' || {{{-1 '''음독'''}}} ||{{{#c88 コウ}}} || || {{{-1 '''훈독'''}}} ||{{{#c88 いやしく-も, かりそめ, まことに}}} || ||<-3> || ||<-2> '''[[베트남어]]''' ||cẩu || [[유니코드]]에는 U+82DF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廿心口(TPR)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艸]](풀 초)와 소리를 나타내는 [[句]](글귀 구)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원래는 풀의 이름을 나타내는 한자였으나, 이후 가차되어 '진실로'와 같은 부사, 혹은 '구차하다'와 같은 형용사로 쓰이게 되었다. == 용례 == === [[단어]] === * 간구([[艱]]苟) * 구간(苟[[艱]]) * 구람(苟[[濫]]) * 구면(苟[[免]]) * 구명(苟[[命]]) * 구모(苟[[冒]]) * 구사(苟[[辭]]) * 구생(苟[[生]]) * 구순(苟[[循]]) * 구안(苟[[安]]) * 구암(苟[[菴]]) * 구언(苟[[言]]) * 구용(苟[[容]]) * 구전집(苟[[全]][[集]]) * 구존(苟[[存]]) * 구종(苟[[從]]) * 구차(苟[[且]]) * 구충(苟[[充]]) * 구투(苟[[偸]]) * 구합(苟[[合]]) * 구활(苟[[活]]) * 산구화([[山]]苟[[花]]) === [[고사성어]]/[[숙어]] === * 구명도생(苟[[命]][[圖]][[生]]) * 구연세월(苟[[延]][[歲]][[月]]) * 구전성명(苟[[全]][[性]][[命]]) * 구충기수(苟[[充]][[其]][[數]]) * 구합취용(苟[[合]][[取]][[容]]) * 아유구용([[阿]][[諛]]苟[[容]]) === [[인명]] === === [[지명#s-2]] === == 유의자 == * '''진실로''' * [[亶]](진실로 단) * [[洵]](참으로 순) * [[允]](맏 윤)[* '맏' 이외에 '진실로'라는 뜻이 있다.] * '''구차하다''' * [[愈]]/[[愉]](구차할 투) == 반대자 ==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蒟]](구장 구) * [[耈]](늙은이 구) * [[笱]](통발 구) * [[茍]](급할 극) * [[荀]](풀 이름 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