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제목이 일본어인 문서]][[분류:maimai 시리즈의 수록곡]][[분류:Muse Dash의 수록곡]] [include(틀:게키츄마이 그랜드슬램)] '''꽃과 눈과 드럼 앤 베이스''' [목차] == 개요 == [youtube(KL3z-VFNNa8)] [[maimai MiLK PLUS]]의 챌린지트랙으로써 수록된 kanone와 [[Sennzai]]의 합작. [[ダブステ列島恋物語]]의 후속편이다. 장르는 공식왈, [[엔카]] [[드럼 앤 베이스|앤 베이스]]. 덥스텝 열도 사랑 이야기의 후속작답게, 여기서도 엔카라하기엔 괴리감이 심한 곡으로 나왔다. 한 술 더 떠서, BGA는 일본 노래방에 나올법한 영상분위기랑 노래방가사까지 있다. 초반에는 무난하게 엔카분위기를 잡고 시작하나 간주 9초구간이 지나서는 전작에서 보여줬던 [[스캣|보컬을 직접 이펙트를 입으로 말하며 부른다.]] 거기에 맞춰 BGA도 버그가 난 마냥 [[글리치]]효과가 중간중간에 나오면서 진행된다. [[DJMAX 시리즈]]를 즐기는 유저라면 [[XLASHER]]가 연상될 수도 있는 BGA.[* 이 쪽도 저 노래방 가사 못지않게 약빤 자막으로 유명한 BGA를 보유하고 있다.] 중반부의 --이 노래하고는 안 어울릴 정도의 멋진 목소리로-- '''DON'T STOP THE MUSIC OVER'''를 부른 다음에는, 엔카에서 더욱 멀어진 분위기를 자아낸다. 유저들은 이번 후속작에도 [[팝픈뮤직 éclale|타사]]에 있는 전작에도 굴하지않는 개그곡을 내줬다는 평가. == [[maimai 시리즈]] == ##편집 특성상 일부 기기에선 여백이 남을 수 있습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EAC78, #EDDACE, #CEAC78)" '''{{{+2 {{{#red 花と、雪と、ドラムンベース。}}}}}}''' }}} || ||<-8>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EAC78, #EDDACE, #CEAC78)" [[파일:花と、雪と、ドラムンベース。(maimai).webp|width=5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EAC78, #EDDACE, #CEAC78)" {{{#red 아티스트}}}}}} ||<-6> [[kanone|{{{#!html kanone}}}]] {{{#!html feat.}}} [[Sennzai|{{{#!html せんざい}}}]]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EAC78, #EDDACE, #CEAC78)" {{{#red 장르}}}}}} ||<-6> {{{#!html maimai}}}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EAC78, #EDDACE, #CEAC78)" {{{#red BPM}}}}}} ||<-6> {{{#!html 18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EAC78, #EDDACE, #CEAC78)" {{{#red 버전}}}}}} ||<-6> [[maimai MiLK PLUS|{{{#!html MiLK PLU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EAC78, #EDDACE, #CEAC78)" {{{#red 최초 수록일}}}}}} ||<-6> {{{#!html 2018/11/06}}} || ||<-8><:>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EAC78, #EDDACE, #CEAC78)" '''[[maimai DX|{{{#!html m}}}{{{#!html a}}}{{{#!html i}}}{{{#!html m}}}{{{#!html a}}}{{{#!html i}}} {{{#!html D}}}{{{#!html X}}}]] {{{#!html 난이도 체계}}}'''}}} || ||<-8> '''STANDARD'''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EAC78, #EDDACE, #CEAC78)" {{{#red 난이도}}}}}} || --EASY-- || BASIC || ADVANCED || EXPERT || MASTER || Re:MASTER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EAC78, #EDDACE, #CEAC78)" {{{#red 레벨}}}}}} || 2 || 6 || 8 || 12+{{{-2 {{{#white (12.7)}}}}}} || 14{{{-2 {{{#white (14.3)}}}}}} || 13+{{{-2 {{{#white (13.8)}}}}}} || ||<|5> {{{#!wiki style="margin: -70px -10px; padding: 75px 10px;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EAC78, #EDDACE)" {{{#red 노트 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CEAC78, #EDDACE)" {{{#red TAP}}}}}} || 101 || 171 || 261 || 278 || 647 || 25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CEAC78, #EDDACE)" {{{#red HOLD}}}}}} || 6 || 18 || 54 || 87 || 71 || 32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CEAC78, #EDDACE)" {{{#red SLIDE}}}}}} || 6 || 6 || 34 || 67 || 116 || 106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CEAC78, #EDDACE)" {{{#red BREAK}}}}}} || 3 || 11 || 20 || 8 || 42 || 1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CEAC78, #EDDACE)" {{{#red 합계}}}}}} || '''116''' || '''206''' || '''369''' || '''440''' || '''876''' || '''398'''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EAC78, #EDDACE, #CEAC78)" {{{#red 보면제작}}}}}} || - || - || - || Jack || 合作だよ || はっぴー || * [[maimai/수록곡|수록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MASTER === [youtube(S1B3MO-zjfQ)] '''AP''' 스크린 캡처 영상. 개그 성향이 짙은 곡과는 달리 당시 최고 레벨인 13을 배정받았다. 평범하게 엔카 부르는 구간은 무난하게 나오는데, 스캣 구간부터 갑자기 손이 바빠진다. 그리고 중반부의 "겨울 창가의" 구간에 짧은 홀드 축연타가 나온 뒤엔 본격적으로 난이도값을 하기 시작한다. 이 부분에 노트가 많이 몰려있기 때문에 꼬여버리면 고득점이 어려워진다. === Re:MASTER === [youtube(wDLR6OWdM3E)] '''AP''' 스크린 캡처 영상. maimai 시리즈 사상 최초로 Re:MASTER의 난이도가 MASTER보다 낮게 나온 케이스다. MASTER와 완전히 반대되는 성향의 암기형 초견살 채보로, 초견이라면 무조건 당할 수밖에 없는 속도가 제각각인 슬라이드와 꼬인 배치 때문에 사실상 채보 전체를 외워야 한다. 거기다 노트 수도 겨우 398개밖에 안 되는데다 슬라이드의 비중이 꽤 높기 때문에 한 번 꼬일 때마다 달성률이 심하게 깎인다. 다만 암기형 채보인 만큼 한 번 확실하게 외워둔다면 고득점은 쉬운 편. == 가사 == ||彼方へ届け、私の{{{#red ベィス}}} 카나타에 토도케 와타시노 {{{#red 붸이스}}} 저 너머에 닿아라, 나의 {{{#red Bass}}} あなたの心を白く染める 아나타노 코코로오 시로쿠소메루 당신의 마음을 새하얗게 물들이는 「せんざい」がお届けします。 센자이가 오토도케시마스 'Sennzai'가 전해 드립니다. それでは聞いてください、 소레데와 키이테 쿠다사이 그러면 들어주세요 花と、雪と、ドラムンベース。 하나토 유키토 도라무운베에스 '꽃과 눈과 드럼 앤 베이스.' 冬の窓辺に、花一輪 후유노 마도베니 하나이치린 겨울 창가에, 꽃 한 송이 消えない、あの時の記憶 키에나이, 아노토키노키오쿠 사라지지 않는, 그 때의 기억 甘えた、その背中、温もりはもう・・・ 아마에타, 소노세나카 누쿠모리와모우... 응석부렸었던 그 뒷모습, 온기도 이젠... 雪と、共に消えてゆく 유키토 토모니키에테유쿠 눈과 같이 사라져가네 {{{#red ディスイズトラボゥ!!!デレレン!}}} {{{#red 디스이즈토라부!!! 데레렌!}}} {{{#red ドゥンドゥドゥドゥドゥ・・・ヒュルルルルルルル}}} {{{#red 둔두두두두... 휴루루루루루루루}}} {{{#red デレテテデレテテドゥンドゥドゥドゥドゥ・・・ズッチチチッドドゥルルル}}} {{{#red 데레테테 데레테테 둔 두두두두 즛치치칫도 뚜르르르}}} {{{#red ジュッドゥワァ!ジュッドゥワァ!ワゥワァワァ!!(バラバラバン)}}} {{{#red 즛츠튜와! 즛츠튜와! 와우오와와와!! (빠라빠라빰)}}} {{{#red ドゥンドゥドゥドゥドゥ・・・ズッチチチッドドゥルルル}}} {{{#red 둔 두두두두 즛치치칫도 뚜르르르}}} {{{#red ヒュルルルルルルル デレテテデレテテ}}} {{{#red 휴루루루루루루루데레테테 데레테}}} {{{#red ドゥンドゥドゥドゥドゥ・・・ズッチチチッドドゥルルル}}} {{{#red 둔 두두두두 즛치치칫도 뚜르르르}}} {{{#red ブンワァーブンワァーブンワァワァ(イヒヒヒヒヒ)}}} {{{#red 부웅와아- 부웅와아- 부웅와아와 (이히히히히히)}}} 冬の窓辺に、花一輪 후유노 마도베니 하나이치린 겨울 창가에, 꽃 한 송이 消えない、あの時の記憶 키에나이, 아노토키노키오쿠 사라지지않는, 그 때의 기억 甘えた、その背中、温もりはもう・・・ 아마에타, 소노세나카 누쿠모리와모우... 응석부렸었던 그 뒷 모습, 온기도 이젠... 雪と、共に消えてゆく 유키토 토모니키에테유쿠 눈과 같이 사라져가네 冬の窓辺に、冬の窓辺に、冬の窓辺に、 후유노 마도베니, 후유노 마도베니, 후유노 마도베니 겨울 창가에, 겨울 창가에, 겨울 창가에, 花花花一輪 하나하나하나이치린 꼬꼬꼬꽃 한 송이 甘えた、{{{#red ヌクヌクモリモリヌクヌクモリモリヌクヌクモリモリヌクヌクモリモリヌクヌクモリモリ}}} 아마에타, {{{#red 누쿠누쿠모리모리누쿠누쿠모리모리누쿠누쿠모리모리누쿠누쿠모리모리누쿠누쿠모리모리}}} 응석부렸었던, {{{#red 그그그그온온온온기기기기온온온온기기기기온온온온기기기기온온온온기기기기}}} {{{#red ドンストップザミュージックオーバー}}} {{{#red 돈 스톱푸 쟈 뮤직쿠 오바}}} {{{#red DON'T STOP THE MUSIC OVER}}} {{{#red ドゥンデッデドゥンデッデドゥンデッデ}}} {{{#red 둔뎃데 둔뎃데 둔뎃데}}} {{{#red アアアアアアアアアアアア}}} {{{#red 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 {{{#red ドゥンッデデデドゥンッデデデ}}} {{{#red 둔데데데 둔데데데}}} 冬の窓辺に、 후유노 마도베니 겨울 창가에, {{{#red ドゥンデデデデデデデデデ}}} {{{#red 둔데데데데데데데데데데}}} {{{#red ドンッデデデドンッデデデ}}} {{{#red 둔데데데 둔데데데}}} 消えない、あの時の記憶 키에나이, 아노토키노키오쿠 사라지지않는, 그 때의 기억 {{{#red ドゥンデッデドゥンデッデドゥンデッデ}}} {{{#red 둔뎃데 둔뎃데 둔뎃데}}} {{{#red アアアアアアアアアアアア}}} {{{#red 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 {{{#red ドゥンッデデデドゥンッデデデ}}} {{{#red 둔데데데 둔데데데}}} 冬の窓辺に、 후유노 마도베니 겨울 창가에, {{{#red ドゥンデデデデデデデデデ}}} {{{#red 둔데데데데데데데데데데}}} {{{#red ドンッデデデドンッデデデ}}} {{{#red 둔데데데 둔데데데}}} 雪と、共に消えてゆく 유키토 토모니키에테유쿠 눈과 같이 사라져가네 いかがでしたでしょうか、 이카가데시타데쇼우카, 어떠셨습니까? 乱れ散り、雪のように溶ける{{{#red ベィス}}} 미다레치리, 유키노요우니토케루{{{#red 붸이스}}} 꽃이 흩어지듯, 눈과 같이 녹는 {{{#red Bass}}} また、いつの日か、お会いいたしましょう。 마타, 이츠노히카, 오아이이타시마쇼우. 언젠가, 다시 만나뵙도록 하죠. ありがとうございました。 아리가토우고자이마시타. 감사합니다. || == 타 리듬게임 수록 == === [[Muse Dash]] === ||<-5><:> {{{+1 '''Flower, snow and Drum'n'bass'''}}}|| ||<-5><:>[[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350]]|| || 작곡 ||<-4> Kanone feat.[[Sennzai]] || || 길이 ||<-4> - || || BPM ||<-4> 180 || || 난이도 || 초보[br] ||<-2> 어려움 / 히든[br] || 마스터 || || 레벨 || 5 || 8 || ? || 10 || || 노트 수 || 341 || 458 || 513 || 643 || || 특이 사항 ||<-4> 히든 존재 || ==== 초보 ==== ==== 어려움 ==== ===== 히든 ===== > '''하나, 하나, 하나, 하나, 하나 이찌린''' >----- > - 히든 난이도 오픈 시 출력되는 문구 ==== 마스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