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급 한자]][[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艾}}}쑥 애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艸|{{{#000,#fff 艸}}}]], 2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6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2급 한자|{{{#000,#fff 2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ガイ}}}}}}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おさ-める, か-る, としより,[br]もぐさ, よもぎ}}}}}}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ài, yì{{{#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艾는 ''''쑥 애''''라는 [[한자]]로, 음식의 일종인 '[[쑥]]'을 뜻한다. == 상세 == 뜻을 나타내는 [[艸]](풀 초)와 음을 나타내는 [[乂]](벨 예)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827E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廿大(TK)로 입력한다. == 용례 == === [[단어]] === * 난애([[蘭]]艾) * 애년(艾[[年]]) * 애호(艾[[蒿]])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등애]]([[鄧]]艾) * [[애이량]](艾[[怡]][[良]]) * [[웅애]]([[熊]]艾) * [[유애]]([[劉]]艾) * [[아이웨이웨이]](艾[[未]][[未]]) === [[지명#s-2]] === 남한에서는 총 7개의 [[리(행정구역)|리]]가 이 한자를 쓰는 것으로 확인된다.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 애치리([[慶]][[尙]][[南]][[道]] [[河]][[東]][[郡]] [[橫]][[川]][[面]] 艾[[峙]][[里]]) *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애당리(慶尙[[北]]道 [[奉]][[化]]郡 [[春]][[陽]]面 艾[[堂]]里) *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읍애리([[全]][[羅]]南道 [[和]][[順]]郡 [[同]][[福]]面 [[邑]]艾里) * [[전라북도]] [[정읍시]] 소성면 애당리(全羅北道 [[井]]邑市 [[所]][[聲]]面 艾堂里) * [[충청남도]] [[서산시]] 인지면 애정리([[忠]][[淸]]南道 [[瑞]][[山]][[市]] [[仁]][[旨]]面 艾井里) * [[충청북도]] [[단양군]] 적성면 애곡리(忠淸北道 [[丹]]陽郡 [[赤]][[城]]面 艾[[谷]]里) * 충청북도 [[보은군]] 회인면 애곡리(忠淸北道 [[報]][[恩]]郡 [[懷]]仁面 艾谷里) [[이북 5도]]까지 합치면 총 14개의 [[동(행정구역)|동]][[리(행정구역)|리]]가 이 한자를 쓰는 것으로 확인된다. * 황해도 [[해주시]] 동애동(黃海道 [[海]][[州]]市 [[東]]艾[[洞]]) * 황해도 [[장연군]] 후남면 한애리(黃海道 [[長]][[淵]]郡 [[候]][[南]]面 [[寒]]艾里) * 황해도 [[송화군]] 장양면 애천리(黃海道 [[松]][[禾]]郡 [[長]][[陽]]面 艾川里) * 평안남도 [[남포시]] 문애동(平安南道 南[[浦]]市 [[文]]艾洞)[* 1945년 4월 [[용강군]]에서 진남포시로 편입] * 평안남도 [[대동군]] 남관면 애포리(平安南道 [[大]][[同]]郡 南[[串]]面 艾[[浦]]里) * 평안남도 [[중화군]] 당정면 애간리(平安南道 [[中]][[和]]郡 [[唐]][[井]]面 艾[[間]]里) * 평안북도 [[정주군]] 갈산면 애도리(平安北道 [[定]][[州]]郡 [[葛]]山面 艾[[島]]里) === [[창작물]] === === [[일본어]] === ==== [[훈독]] ==== ==== [[음독#s-1]] ==== === [[중국어]] === === 기타 === == 유의자 == * [[蘿]](담쟁이 라)[* '쑥'을 뜻하기도 한다.] * [[蓬]](쑥 봉) * [[䒨]](쑥 시) * [[䒖]](다북쑥 신) * [[莪]](다북쑥 아) * [[蒿]](쑥 호) == 상대자 ==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交]](사귈 교) * [[文]](글월 문) * [[攵]](칠 복) * [[父]](아비 부) == 여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