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舟}}}배 주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舟, 0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6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3급}}}}}}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シュウ{{{#c88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ふね, (ふな){{{#c88 }}}}}}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zhōu{{{#c88 }}}}}}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px-舟-order.gif]]}}}||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舟는 ''''배 주''''라는 [[한자]]로, 교통수단인 '[[선박|배]]'를 의미한다. == 상세 == 중국에선 [[한나라|한대]] 이후론 [[船]](배 선)이 폭넓게 사용되었으며 舟자는 주로 소형 배만 지칭하게 되었다. 나무를 잘라 만든 배의 형상을 본떠 만든 [[상형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821F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HBYI(竹月卜戈)로 입력한다. 한국과 일본에서는 가로획 아래의 획을 곧게 쓰지만, 중국에서는 가로획 위의 획과 같은 점 모양으로 쓴다. 몇몇 한자에는 舟가 月의 형태로 뭉개진 경우가 많다. [[兪]](성 유), [[前]](앞 전), [[服]](옷 복) 등이 그 예시. 설문해자에서는 [[朝]](아침 조)도 [[倝]](아침해빛날 간)과 舟의 합자로 나타내어졌지만 예서에서 원래 형태로 돌아왔다. == 자형 == ||[[파일:舟-oracle.svg.png]]||[[파일:舟-bronze.svg.png]]||[[파일:120px-舟-bigseal.svg.png]]||[[파일:120px-舟-seal.svg.png]]|| ||<:>[[갑골문]]||<:>[[금문]]||<:>[[대전체|전서]]||<:>소전체|| == 용례 == === [[단어]] === * [[방주#s-1]]([[方]]舟) * [[노아의 방주]] === [[고사성어]]/[[숙어]] === * [[각주구검]]([[刻]]舟[[求]][[劍]]) * [[오월동주]]([[吳]][[越]][[同]]舟) === [[인명]] === * [[가쓰 가이슈]]([[勝]] [[海]]舟) * [[뤄이죠우]]([[罗]][[一]]舟) * [[만죠메 인슈]]([[万]][[丈]][[目]] [[胤]]舟) * [[혜주(Loossemble)|손혜주]]([[孫]][[慧]]舟) * [[신숙주]]([[申]][[叔]]舟) * [[오카미네 코슈]]([[岡]][[峰]] [[光]]舟) * [[오쿠무라 코우슈]]([[奥]][[村]] [[光]]舟) * [[카이키 데이슈]]([[貝]][[木]] [[泥]]舟) * [[쿠사나기 사이슈]]([[草]][[薙]] [[柴]]舟) * [[타와라야 세이슈]]([[俵]][[谷]] [[星]]舟) * [[타쿠미 슈]]([[巧]] 舟) * [[히키후네 키리오]]([[曳]]舟 [[桐]][[生]]) === [[지명#s-2]] === * [[서울특별시]] [[중구(서울특별시)|중구]] [[주교동]](舟[[橋]][[洞]]) * [[저우산시]](舟山市) * 주성(舟[[城]])[* [[충청북도]] [[청주시]] 지역의 별칭으로, 청주읍성 일대의 지형이 배가 움직이는 형상이라는 데서 유래했다.] * [[주평역]](舟[[坪]][[驛]]) * [[히키후네역]]([[曳]]舟[[駅]]) === [[창작물]] === * [[浮舟]] * [[星の小舟]] * [[伍越同舟]] * [[望影の方舟Six]] * [[明日方舟]]([[명일방주]])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명칭 : 배주부 강희자전에서 137번째에 수록된 부수로 강희자전 안에 197자가 수록되었다. 부수로 쓰일 때에는 배 그 자체나 배의 공구, 배의 운항에 관한 뜻을 나타낸다. 예외로는 [[般]](일반 반) 정도가 있다. === 부수 예 === ||추가 획||한자|| ||기본자||舟|| ||4획||[[航]], [[般]]|| ||5획||[[船]]|| ||15획||[[艦]]|| === 나라별 부수명칭 === * 한국 : 배주부 * 중국: [ruby(舟部, ruby=zhōubù)] * 일본 : ふね, ふねへん * 미국 : Radical boat == 유의자 == * [[舸]](배 가) * [[舡]](배 강) * [[䑩]](배 고) * [[䑦]](배 구) * [[䑤]](배 금) * [[䑴]](배 기) * [[艡]](배 당) * [[艔]](배 도) * [[䑬]](배 도/요) * [[艟]](배 동) * [[艛]](배 루) * [[䑳]](배 륜) * [[艃]](배 리) * [[舶]](배 박) * [[舫]]/[[舽]](배 방) * [[舤]](배 범) * [[䑰]](배 보) * [[船]](배 선) * [[]]^^[⿰舟星]^^(배 성) * [[艘]](배 소) * [[䑱]](배 원) * [[艇]](배 정) * [[䒆]](배 철) * [[]]^^[⿰舟非]^^(배 키) * [[舨]](배 판) * [[航]](배 항) * [[艧]](배 확)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丿⿻⺆一]^^(마칠 종)[* [[終]](마칠 종)의 [[고자(동음이의어)#s-7|고자]]] [[분류:3급 한자]][[분류:제부수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일본의 상용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