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5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舊}}}예 구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臼|{{{#000,#fff 臼}}}]], 12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8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5급 한자|{{{#000,#fff 준5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キュ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ふ-る, ふる-い, ふる-びる, もと}}}}}}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jiù{{{#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Ye gu hweksun.gif|width=130]]}}}||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舊는 ''''예 구''''라는 [[한자]]로, '옛날', '오래되다' 등을 뜻한다. == 설명 == [[유니코드]]에는 U+820A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廿人土難(TOGX)으로 입력한다. 음을 나타내는 [[臼]](절구 구)와 훈을 나타내는 [[萑]](풀 많을 추)가 합쳐진 한자로 원래는 [[부엉이]]의 일종을 가리키는 글자였으나, 이후 [[가차자|가차]]되어 "오래되다"의 의미를 나타내게 되었다. 갑골문에서는 밑부분이 절구 구(臼)가 아니라 움푹 파인 구덩이 모양(凵)이어서 둥지가 아니라 구덩이에 사는 새가 원 뜻이었다고 하기도 한다.[* [[http://www.vividict.com/WordInfo.aspx?id=2804|참조]].] 어떠한 변화에 대해서, 변하기 전에 대해 설명할 때 이 한자를 붙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구 막사 등. 반대는 [[새 신]]자를 붙여서 신 막사 등으로 부른다. 신자체 및 간체자로는 [[旧]]라고 쓴다. 얼핏 보면 디지털 숫자로 쓴 18 혹은 1日과 닮았다. --"옛날 구식이네 [[시발|18]]" 로 외우면 바로외워진다. 공교롭게 이 한자의 획수도 18획이다.-- == 용례 == === [[단어]] === * '''구(舊)''' * [[구교]](舊[[敎]]) * 구권(舊[[券]]) * [[구당서]](舊[[唐]][[書]]) * 구면(舊[[面]]) * [[구석기]](舊[[石]][[器]]) * [[구석기시대]](舊[[石]][[器]][[時]][[代]]) * [[구성]](舊[[姓]]) * [[구세대]](舊[[世]][[代]]) * 구속(舊[[俗]]) * [[구습]](舊[[習]]) * 구시대(舊[[時]][[代]]) * 구식(舊[[式]]) * [[구약]](舊[[約]]) * [[구약성서]](舊[[約]][[聖]][[書]]) * [[구오대사]](舊[[五]][[代]][[史]]) * [[설날|구정]](舊[[正]]) * 구판(舊[[版]]) * [[구한말]](舊[[韓]][[末]]) * [[구형]](舊[[形]]/舊[[型]]) * [[구형법]](舊[[刑]][[法]]) * [[복구]]([[復]]舊) * [[수구(동음이의어)|수구]]([[守]]舊) * 의구([[依]]舊) * [[친구]]([[親]]舊) === [[고사성어]]/[[숙어]] === * 송구영신([[送]]舊[[迎]][[新]]) === [[인명]] === * [[후루타 니무라]](旧[[多]] [[二]][[福]]) === [[지명#s-2]] ===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주문진읍]] 구보건소뒤길(舊[[保]][[健]][[所]]뒤길)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신구로([[新]]舊[[路]]) * [[경상남도]] [[거제시]] [[일운면]] [[구조라로]](舊[[助]][[羅]][[路]]) * [[울산광역시]] [[북구(울산광역시)|북구]] [[구유동]](舊[[柳]][[洞]]) * [[울산광역시]] [[중구(울산광역시)|중구]] 구역전길(舊[[驛]][[前]]길) * [[전라북도]] [[군산시]] 구시장로(舊[[市]][[場]][[路]]) * [[충청남도]] [[보령시]] 구상가길(舊[[商]][[街]]길) * [[충청남도]] [[보령시]] 구시청길(舊[[市]][[廳]]길) === [[창작물]] === === 기타 === * [[구남친]](舊[[男]][[親]]) * [[구여친]](舊[[女]][[親]]) == 유의자 == * [[古]](예 고) * [[久]](오랠 구) * [[昔]](예 석) == 상대자 == * [[新]](새 신)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蒦]](자 확)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https://zetawiki.com/wiki/%EB%84%90_%EA%B5%AC_%E5%8C%B6|匶]](널 구) * [[http://uny.kr/?q=%F0%A2%91%87|𢑇]](셀 구) * [[https://zetawiki.com/wiki/%E5%9A%BF|嚿]](자랑할 획) * [[https://zetawiki.com/wiki/%E6%AC%8D|欍]](구) * [[https://mzidian.qianp.com/zi/%F0%A6%A7%83|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