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臣}}}신하 신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臣, 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6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5급 한자|{{{#000,#fff 준5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シン, ジン{{{#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おみ}}}}}}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ché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臣은 ''''신하 신''''이라는 [[한자]]로, '[[신하]](臣下)'를 뜻한다. == 상세 == 臣은 신하나 하인을 뜻하며 자원은 몸을 굽히고 위로 부릅뜬 눈의 형태를 본뜬 [[상형자]]로 노예의 눈을 표현한 것으로 추정된다. 후에 노예라는 뜻에서 임금을 따르는 신하의 의미로 확대되었다. [[유니코드]]에는 81E3에 배당되어 있다. == 자형 == || [[파일:120px-臣-oracle.svg.png]] || [[파일:120px-臣-bronze.svg.png]] || [[파일:120px-臣-seal.svg.png]] || || 갑골문 || 금문 || 소전체 || == 용례 == === [[단어]] === * [[간신]]([[奸]]臣/[[諫]]臣) * [[공신]]([[功]]臣) * [[개국공신]]([[開]][[國]][[功]]臣) * [[군신]]([[君]]臣) * [[대신]]([[大]]臣) * [[국무대신]]([[國]][[務]]大臣), [[내각총리대신]]([[內]][[閣]][[總]][[理]]大臣) * 명신([[名]]臣) * 모신([[謀]]臣) * [[무신]]([[武]]臣) * [[문신(동음이의어)#s-1|문신]]([[文]]臣) * [[반신]]([[叛]]臣) * 봉신([[封]]臣) * [[사신(외교)|사신]]([[使]]臣) * [[사육신]]([[死]][[六]]臣) * [[사충신]]([[四]][[忠]]臣) * [[생육신]]([[生]][[六]]臣) * [[소신]]([[小]]臣) * 신등(臣[[等]]) * [[신례]](臣[[隷]]) * 신복(臣[[僕]]/臣[[服]]) * [[신하]](臣[[下]]) * [[역신]]([[逆]]臣) * 재신([[宰]]臣) * [[척신]]([[戚]]臣) * [[총신(역사)|총신]]([[寵]]臣) * [[충신]]([[忠]]臣) === [[고사성어]]/[[숙어]] === * [[고굉지신]]([[股]][[肱]][[之]]臣) * [[군신수어]]([[君]]臣[[水]][[魚]]) === [[인명]] === - 한국 * [[김득신]]([[金]][[得]]臣) * 김석신([[金]][[碩]]臣): 한국의 미술가 * 염제신([[廉]][[悌]]臣) * [[이순신]]([[李]][[舜]]臣) * 정가신([[鄭]][[可]]臣) - 중국 * [[무신저]]([[無]]臣[[氐]]) * [[성득신]]([[成]][[得]]臣) * [[송성공|송왕신]]([[宋]][[王]]臣): [[춘추시대]] [[송(춘추전국시대)|송나라]]의 군주 * [[양의신]]([[楊]][[義]]臣) * [[휴왕|여신]]([[余]]臣): [[주나라]]의 왕족 * 위여신([[蒍]][[呂]]臣): [[초(춘추전국시대)|초나라]]의 [[영윤]]이자 위 성득신의 후임 * [[초목왕|웅상신]]([[熊]][[商]]臣): 춘추시대 [[초(춘추전국시대)|초나라]]의 군주 - 일본 *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를 포함한 [[도요토미]](豊臣)씨들. 단 豊富라고 쓴 경우도 있다. * [[사카우에 히사오미]]([[坂]][[上]] [[久]]臣) * [[야마모토 카즈토미]]([[山]][[本]] [[和]]臣) * [[카나사키 타카오미]]([[金]][[崎]] [[貴]]臣) * [[Jin & Akiomi|쿠누기 아키오미]]([[椚]] [[章]]臣) * [[타카츠카사 마사오미]]([[鷹]][[司]] [[正]]臣) * [[타케다자키 시게오미]]([[竹]][[田]][[崎]] [[重]]臣) * [[토사카 히로오미]]([[登]][[坂]] [[広]]臣) * [[후시미 오미]]([[伏]][[見]] 臣) * [[진순신]](陳 舜臣): 대만계 일본인 소설가 및 역사저술가. === [[지명#s-2]] === * [[광주광역시]] [[북구(광주광역시)|북구]] [[신룡동]](臣[[龍]][[洞]]) === [[창작물]] === * [[오공신회맹축]]([[五]][[功]]臣[[會]][[盟]][[軸]]) * [[육신전]]([[六]]臣[[傳]])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명칭 : 신하신부 강희자전 안에 131번째에 수록된 부수로서 강희자전 안에 이 부수를 사용하는 자는 16 자가 수록돼 있다. 부수로 붙을 때에는 노예나 머리를 숙이고 몸을 굽히는 동작에 관한 뜻을 나타낸다. === 나라별 부수명칭 === * 한국 : 신하신부 * 중국: [ruby(臣部, ruby=chénbù)] * 일본 : しん * 영미 : Radical minister == 반대자 == * [[君]](임금 군) * [[王]](임금 왕) * [[帝]](임금 제) * [[主]](임금 주) * [[皇]](임금 황)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巨]](클 거) * [[𦣝]](턱 이) [[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준5급 한자]][[분류:제부수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