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聘}}}부를 빙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耳|{{{#000,#fff 耳}}}]], 7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3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3급 한자|{{{#000,#fff 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ヘイ}}}}}}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と-う, まね-く, め-す, めと-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pìn, {{{#c88 pìng}}}}}}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聘은 ''''부를 빙''''이라는 [[한자]]로, '부르다', '초빙(招聘)하다', '찾아가다' 등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부르다 || || {{{-1 '''음'''}}} ||빙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pìn[* 대륙], {{{#c88 pìng}}}[* 대만] || || {{{-1 '''[[광동어]]'''}}} ||ping3 || || {{{-1 '''[[객가어]]'''}}} ||phín, phin || || {{{-1 '''[[민북어]]'''}}} ||pēng || || {{{-1 '''[[민동어]]'''}}} ||péng || || {{{-1 '''[[민남어]]'''}}} ||phèng || || {{{-1 '''[[오어]]'''}}} ||phin (T2) || ||<-3> || ||<|2> '''[[일본어]]''' || {{{-1 '''음독'''}}} ||{{{#c88 ヘイ}}} || || {{{-1 '''훈독'''}}} ||{{{#c88 と-う, まね-く, め-す, めと-る}}} || ||<-3> || ||<-2> '''[[베트남어]]''' ||sính || [[유니코드]]에는 U+8058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尸十中田尸(SJLWS)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耳]](귀 이)와 음을 나타내는 [[甹]](말잴 병)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 용례 == === [[단어]] === * 가빙([[嘉]]聘) * 고빙([[雇]]聘) * 교빙([[交]]聘) * 귀부군행빙별감([[歸]][[附]][[軍]][[行]]聘[[別]][[監]]) * 근빙([[覲]]聘) * 납빙([[納]]聘) * 내빙([[來]]聘) * 대빙([[待]]聘) * 대빙재([[待]]聘[[齋]]) * [[명주보월빙]]([[明]][[珠]][[寶]][[月]]聘) * 보빙([[報]]聘) * 보빙대사([[報]]聘[[大]][[使]]) * [[보빙사]]([[報]]聘[[使]]) * 빙가(聘[[家]]) * 빙군(聘[[君]]) * 빙금(聘[[金]]) * 빙렴(聘[[殮]]) * 빙례(聘[[禮]]) * 빙모(聘[[母]]) * 빙문(聘[[問]]) * 빙물(聘[[物]]) * 빙부(聘[[父]]) * 빙소(聘[[召]]) * 빙용(聘[[用]]) * [[빙장#s-2]](聘[[丈]]) * 빙재(聘[[財]]) * 빙조(聘[[祖]]) * 빙처(聘[[妻]]) * 빙초(聘[[招]]) * 빙택(聘[[宅]]) * 빙폐(聘[[幣]]) * 빙호(聘[[好]]) * 사빙([[使]]聘) * 속빙([[續]]聘) * 수빙([[修]]聘) * 연빙([[延]]聘) * 영빙([[迎]]聘) * 예빙([[禮]]聘) * 옥란빙([[玉]][[鸞]]聘) * 용빙([[傭]]聘) * 응빙([[應]]聘) * 조빙([[朝]]聘) * 조빙사([[朝]]聘[[使]]) * 중빙([[重]]聘) * 징빙([[徵]]聘) * 초빙([[招]]聘) * [[초빙교수]]([[招]]聘[[敎]][[授]]) * 통빙([[通]]聘) * 폐빙([[幣]]聘/[[弊]]聘) * 허빙([[許]]聘)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지명#s-2]] === === [[창작물]] === * [[명주보월빙]]([[明]][[珠]][[寶]][[月]]聘) == 유의자 == * [[召]](부를 소) * [[籲]](부를 유) * [[徵]](부를 징) * [[招]](부를 초) * [[呼]](부를 호) * [[喚]](부를 환)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𩩍]](갈비뼈 빙) * [[騁]](달릴 빙) * [[䛣]](말할 빙, 결단하지못할 추) * [[涄]](물모양 빙) * [[䀻]](볼 빙) * [[俜]]/[[𥪁]](부릴 빙) * [[娉]](장가들 빙) * [[梬]](고욤나무 영) * [[𢓳]] * [[𧚗]] * [[𥺒]] * [[𦀔]] * [[𧮹]] [[분류:3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