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群}}}무리 군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羊|{{{#000,#fff 羊}}}]], 7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3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4급 한자|{{{#000,#fff 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グン{{{#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む-れる, む-れ, (むら){{{#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qú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群은 ''''무리 군''''이라는 [[한자]]로, '무리', '무리를 지다', '떼' 등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무리 || || {{{-1 '''음'''}}} ||군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qún || || {{{-1 '''[[광동어]]'''}}} ||kwan4 || || {{{-1 '''[[객가어]]'''}}} ||khiùn || || {{{-1 '''[[민북어]]'''}}} ||gě̤ng || || {{{-1 '''[[민동어]]'''}}} ||gùng, kùng || || {{{-1 '''[[민남어]]'''}}} ||kûn || || {{{-1 '''[[오어]]'''}}} ||jjyn (T3) || ||<-3> || ||<|2> '''[[일본어]]''' || {{{-1 '''음독'''}}} ||グン || || {{{-1 '''훈독'''}}} ||む-れる, む-れ, (むら) || ||<-3> || ||<-2> '''[[베트남어]]''' ||quần || [[유니코드]]에는 U+7FA4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尸口廿手(SRTQ)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羊]](양 양)과 소리를 나타내는 [[君]](임금 군)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이체자]]로 君과 羊이 위아래로 배치된 羣(U+7FA3)이 있다. == 용례 == === [[단어]] === * [[군(대수학)|군]](群) * [[가군]]([[加]]群) * 가환군([[可]][[換]]群) * 가해군([[可]][[解]]群) * [[괴물군(수학)|괴물군]]([[怪]][[物]]群) * [[군론]](群[[論]]) * 군수열(群[[數]][[列]]) * [[기본군]]([[基]][[本]]群) * 단순군([[單]][[純]]群) * [[대칭군]]([[對]][[稱]]群) * [[리 군#s-3]]([[李]] 群) * 멱영군([[冪]][[零]]群) * 부분군([[部]][[分]]群) * 산재군([[散]][[在]]群) * 순환군([[循]][[環]]群) * 이면군([[二]][[面]]群) * [[자유군]]([[自]][[由]]群) * 군무(群[[舞]]): 여럿이 무리를 지어 춤을 춤. 또는 그 춤. * 군상(群[[像]]) * [[군상극]](群[[像]][[劇]]) * 군소(群[[小]]) * [[군소후보]](群[[小]][[候]][[補]]) * 군중(群[[衆]]) * [[군중심리]](群[[衆]][[心]][[理]]) * [[군청색]](群[[靑]][[色]]) * 발군([[拔]]群) * [[어군탐지기]]([[魚]]群[[探]][[知]][[機]]) * [[은하군]]([[銀]][[河]]群) * [[국부 은하군]]([[局]][[部]][[銀]][[河]]群) * [[증후군]]([[症]][[候]]群) === [[고사성어]]/[[숙어]] === * [[군계일학]](群[[鷄]][[一]][[鶴]]) * [[군웅할거]](群[[雄]][[割]][[據]]) === [[인명]] === * [[세군]]([[細]]群) * [[주군(촉한)|주군]]([[周]]羣): [[촉한]]의 인물 * [[추군]]([[麤]]群) * [[키하라 카군]]([[木]][[原]] [[加]]群) * [[하바키 카기무라]]([[吐]] [[釣]]群) === [[지명#s-2]] === * [[전라북도]] [[군산시]](群[[山]][[市]]) * [[군산역]](群[[山]][[驛]]) * [[군마현]](群[[馬]][[県]]) === [[창작물]] === * [[或る街の群青]]([[어느 거리의 군청]]) == 유의자 == * [[黨]](무리 당) * [[隊]](무리 대) * [[徒]](무리 도) * [[等]](무리 등) * [[類]](무리 류) * [[輩]](무리 배) * [[屬]](무리 속) * [[儕]](무리 제) * [[曹]](무리 조) * [[儔]](무리 주) * [[衆]](무리 중) * [[彙]](무리 휘)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郡]](고을 군) * [[鵘]](꼬리없는닭 군) * [[頵]](머리클 군/윤) * [[𢃆]](치마 군) * [[㪊]](친구범할 군) * [[覠]](크게볼 균) * [[𠧬]] * [[𢧃]] * [[𢽏]] * [[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