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罪}}}허물 죄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网|{{{#000,#fff 网}}}]], 8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13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5급}}}}}}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ザイ{{{#c88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つみ{{{#c88 }}}}}}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zuì{{{#c88 }}}}}}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罪는 ''''허물 죄''''라는 [[한자]]로, '허물'[* '잘못 저지른 일'을 뜻하는 [[고유어]] [[명사(품사)|명사]]. [[용비어천가]]를 통해 고유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잘못' 또는 '[[범죄]]'(犯罪)를 뜻한다. [[죄#s-5|벌(罰)을 준다는 뜻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7F6A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WLLMY(田中中一卜)로 입력한다. [[설문해자]]에 의하면, [[육서]] 중 [[육서#s-2.2.1|회의자]](會意字)에 속하며, 물고기를 잡는 대나무 그물(捕魚竹网)이 본뜻인데 [[진(통일왕조)|진(秦)]]대부터 辠(허물 죄, U+8FA0)를 대신하여 이 글자를 쓰게 되었다고 한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설문해자주 등에 전하기를, 辠의 자형이 [[황제|皇]]과 비슷하게 생겼기 때문에 다른 뜻으로 쓰이지만 음이 같은 罪라는 글자를 빌려 썼다는 것이다. 실제로 辠는 [[금문]]의 형태가 전해지지만 罪는 [[전서|소전체]]부터 존재하며 辠보다 후대에 만들어진 글자다. 여담으로 辠는 [[코]]의 상형인 [[自]]와 형구(刑具)인 [[辛]]을 결합해 고대에 죄인의 코를 베는 잔혹한 형벌을 나타내는 글자이다. '''인명용 한자'''로 분류되어 있지만 의미가 부정적이므로 실제로 이름 지을 때 쓰이지는 않는다. [[한자/인명용 한자표|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용례 == === [[단어]] === * 괘씸죄(-罪) * 단죄([[斷]]罪) * 면죄([[免]]罪) * [[면죄부]](免罪[[符]]) * [[모욕죄]]([[侮]][[辱]]罪) * [[무죄]]([[無]]罪) * [[무죄추정의 원칙]]([[無]]罪[[推]][[定]]의 [[原]][[則]]) * [[범죄]]([[犯]]罪) * [[강력범죄]]([[強]][[力]][[犯]]罪) * [[경범죄]]([[輕]][[犯]]罪) * [[경범죄처벌법]]([[輕]][[犯]]罪[[處]][[罰]][[法]]) * 공범죄([[共]][[犯]]罪) * 국제범죄([[國]][[際]][[犯]]罪) * 군중범죄([[群]][[衆]][[犯]]罪) * 대립적범죄([[對]][[立]][[的]][[犯]]罪) * 범죄과학([[犯]]罪[[科]][[學]]) * [[범죄단체]]([[犯]]罪[[團]][[體]]) * [[범죄단체조직죄]]([[犯]]罪[[團]][[體]][[組]][[織]][[罪]]) * 범죄사회학([[犯]]罪[[社]][[會]][[學]]) * 범죄성([[犯]]罪[[性]]) * [[범죄소년]]([[犯]]罪[[少]][[年]]) * 범죄소설([[犯]]罪[[小]][[說]]) * [[범죄 심리학]]([[犯]]罪 [[心]][[理]][[學]]) * 범죄심리학자([[犯]]罪[[心]][[理]][[學]][[者]]) * 범죄예측([[犯]]罪[[豫]][[測]]) * 범죄의학([[犯]]罪[[醫]][[學]]) * [[범죄인]]([[犯]]罪[[人]]) * 관습범죄인([[慣]][[習]][[犯]]罪[[人]]) * 도망범죄인([[逃]][[亡]][[犯]]罪[[人]]) * 범죄인류학([[犯]]罪[[人]][[類]][[學]]) * [[범죄인 인도조약]]([[犯]]罪[[人]] [[引]][[渡]][[條]][[約]]) * 전쟁범죄인([[戰]][[爭]][[犯]]罪[[人]]) * [[범죄자]]([[犯]]罪[[者]]) * [[성범죄자]]([[性]][[犯]]罪[[者]]) * [[범죄 조직]]([[犯]]罪 [[組]][[織]]) * 범죄지([[犯]]罪[[地]]) * 범죄징표설([[犯]]罪[[徵]][[表]][[說]]) * [[범죄학]]([[犯]]罪[[學]]) * 범죄학자([[犯]]罪[[學]][[者]]) * 범죄현상론([[犯]]罪[[現]][[象]][[論]]) * 선거범죄([[選]][[擧]][[犯]]罪) * [[성범죄]]([[性]][[犯]]罪) * 소년범죄([[少]][[年]][[犯]]罪) * [[암수범죄]]([[暗]][[數]][[犯]]罪) * 오범죄([[五]][[犯]]罪) * 완전범죄([[完]][[全]][[犯]]罪) * 적극적범죄([[積]][[極]][[的]][[犯]]罪) * [[전쟁범죄]]([[戰]][[爭]][[犯]]罪) * [[증오범죄]]([[憎]][[惡]][[犯]]罪) * [[치사 범죄]]([[致]][[死]] [[犯]]罪) * 친범죄([[親]][[犯]]罪) * 침범죄([[侵]][[犯]]罪) * 경계침범죄([[境]][[界]][[侵]][[犯]]罪) * 특정범죄([[特]][[定]][[犯]]罪) *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特]][[定]][[犯]]罪 [[加]][[重]][[處]][[罰]] [[等]]에 [[關]]한 [[法]][[律]]) * 파산범죄([[破]][[産]][[犯]]罪) * [[형법/죄]] 문서에서 볼 수 있는 상당수의 문서들 * 불해산죄([[不]][[解]][[散]]罪) * [[다중불해산죄]]([[多]][[衆]][[不]][[解]][[散]]罪) * 사죄([[謝]]罪) * [[소요죄]]([[騷]][[擾]]罪) * 속죄([[贖]]罪) * 속죄양([[贖]]罪[[羊]]) * 유죄([[有]]罪) * [[유죄추정의 원칙]](有罪[[推]][[定]]의 [[原]][[則]]) * [[원죄]]([[原]]罪/[[怨]]罪/[[冤]]罪) * 죄명(罪[[名]]) * 죄목(罪[[目]]) * 죄밑(罪밑) * 죄송(罪[[悚]]) * [[죄수]](罪[[囚]]) * 죄악(罪[[惡]]) * 죄인(罪[[人]]) * 죄질(罪[[質]]) * [[죄책감]](罪[[責]][[感]]) === [[고사성어]]/[[숙어]] === * 고두사죄([[叩]][[頭]][[謝]]罪) * [[석고대죄]]([[席]][[藁]][[待]]罪) * [[여도지죄]]([[餘]][[桃]][[之]]罪) === [[인명]] === * [[츠미구치 츠미나]](罪[[口]] [[摘]][[菜]]) * [[츠미구치 츠미유키]](罪[[口]] [[積]][[雪]]) * [[츠미부쿠로]](罪[[袋]]) === [[창작물]] === * 消せない罪([[강철의 연금술사(애니메이션)|구 강철의 연금술사 애니메이션]] [[강철의 연금술사(애니메이션)#s-6|1기 엔딩곡]]) * [[断罪は遍く人間の元に]] * [[断罪プラズマ]] * [[罪曲]](죄곡) * [[罪と罰]](죄와 벌) * [[罪の名前]]([[죄의 이름]]) * [[愛と浄罪の森]] === 기타 === * [[기분상해죄]]([[氣]][[分]][[傷]][[害]]罪) * [[범죄두]]([[犯]]罪[[斗]]) == 유의자 == * '''허물''' * [[缺]](이지러질 결) * [[愆]](허물 건) * [[辜]](허물 고) * [[過]](지날 과)[* '지나가다', '지나치다'의 뜻 이외에 잘못, 과실([[過]]失)이라는 뜻이 있다.] * [[咎]](허물 구) * [[辥]](허물 설) * [[失]](잃을 실) * [[訧]](허물 우) * [[疵]](허물 자) * [[瑕]](허물 하) * [[欠]](하품 흠) * '''벌하다''' * [[罰]](벌할 벌) * [[𧬍]](벌할 적) * [[刑]](형벌 형) == 상대자 == * '''허물''' * [[功]](공 공) * '''벌하다''' * [[賞]](상줄 상)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霏]](눈펄펄내릴 비) * [[暃]](떠날 비) * [[菲]](엷을 비) * [[𦋛]]^^[⿱网非]^^(허물 죄)[* 罪(허물 죄)의 [[본자]]] * [[𡨰]]^^[⿱宀非]^^ * [[𡔭]]^^[⿱士非]^^ * [[𣔉]]^^[⿱木非]^^ * [[𥦯]]^^[⿱穴非]^^ * [[𭽜]]^^[⿱白非]^^ * [[𱴎]]^^[⿱石非]^^ * [[𫅪]]^^[⿱羽非]^^ * [[𰪂]]^^[⿱𥫗非]^^ * [[𬜞]]^^[⿱色非]^^ * [[𮫊]]^^[⿱髟非]^^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檌]](줄일 죄) * [[嶵]]/[[㠑]](험준할 죄) * [[𨗻]]^^[⿺辶罪]^^(잡을 체)[* [[逮]](잡을 체)의 [[동자#s-2]]] * [[𣿓]]^^[⿰氵罪]^^(맑을 최) * [[䊫]](앵미 최) == 여담 == 음이 '죄'인 한자 중에서 널리 쓰이는 글자는 사실상 罪 하나밖에 없다. [[분류:5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