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3급 한자]]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縣}}}고을 현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糸|{{{#000,#fff 糸}}}]], 1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6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3급 한자|{{{#000,#fff 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ケン{{{#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あがた}}}}}}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xià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縣은 ''''고을 현''''이라는 [[한자]]로, '현(縣)'이라고 하는 지방 행정 구역을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는 U+7E23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月火竹女火(BFHVF)로 입력한다. [[파일:縣.jpg|width=400]] [[𥄉]](형벌 교)와 [[系]](이을 계)가 합쳐진 [[회의자]]다. 이 글씨는 [[懸]](매달 현)의 고자(古字)로, 원래는 죄인의 목([[𥄉]])을 실([[糸]])로 묶어 나무([[木]])에 거꾸로 매달아 놓은 모습을 본떠 만들었다. [[금문]] 때부터 등장하며, 혹은 거꾸로 매달린 머리 대신 눈([[目]])으로 나타내기도 한다. 소전에 이르러서는 나무는 생략되고 [[糸]]은 [[系]]가 되어 지금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이후 [[가차자|가차]]되어 '고을'이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고, 본래의 '매달다'라는 뜻은 밑에 [[心]](마음 심)을 더한 [[懸]](매달 현)이 이어받았다. 일본에서는 왼쪽의 県만을 따와 縣의 신자체로 쓰고 있다. == 용례 == === [[단어]] === * 군현([[郡]]縣) * [[군현제]]([[郡]]縣[[制]]) * [[도도부현]]([[都]][[道]][[府]]県[* 거의 일본에서만 쓰이는 명칭이기에 정자가 아닌 신자체다]) * 현감(縣[[監]]) * 현관(縣[[官]]) * 현령(縣[[令]]) * 현장(縣[[長]]) === [[고사성어]]/[[숙어]] === * 호봉팔현([[戶]][[封]][[八]]縣) * 현해(縣[[解]])=현해([[懸]][[解]]) === [[인명]] === * [[방현성]]([[方]]縣[[成]]): [[라이언 방]]의 본명 * [[야마가타 마사카게]]([[山]]県 [[昌]][[景]]) * [[야마가타 아리토모]]([[山]]縣 [[有]][[朋]]) === [[지명#s-2]] ===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옥계면 현내리(縣[[內]][[里]]) *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방산면 현리(縣[[里]]) *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해안면 현리(縣[[里]]) *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현남면(縣[[南]][[面]]) *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현북면(縣[[北]][[面]]) *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기린면 현리(縣[[里]]) *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 현리(縣[[里]])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隱]]縣[[面]]) *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炭]]縣[[面]]) * [[경상남도]] [[거제시]] 고현동([[古]]縣[[洞]]) * [[경상남도 고성군]] 영현면([[永]]縣[[面]]) * [[경상남도]] [[남해군]] 고현면([[古]]縣[[面]])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고현리([[古]]縣[[里]])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현동(縣[[洞]]) *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현내리(縣[[內]][[里]]) * [[경상북도]] [[문경시]] 산양면 현리(縣[[里]]) * [[경상북도]] [[봉화군]] 소천면 현동리(縣[[洞]][[里]]) * [[경상북도]] [[봉화군]] 재산면 현동리(縣[[東]][[里]])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상현리([[上]]縣[[里]]) *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현하리(縣[[下]][[里]]) * [[경상북도]] [[영양군]] 영양읍 현리(縣[[里]]) * [[경상북도]] [[예천군]] 감천면 현내리(縣[[內]][[里]]) *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현리리(縣[[里]][[里]]) * [[경상북도]] [[청송군]] 현동면(縣[[東]][[面]]) * [[경상북도]] [[청송군]] 현서면(縣[[西]][[面]])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계면 현내리(縣[[內]][[里]])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죽장면 현내리(縣[[內]][[里]])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청하면 고현리([[古]]縣[[里]])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현내리(縣[[內]][[里]])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縣[[山]][[面]])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고현리([[古]]縣[[里]]) * [[전라북도]] [[군산시]] 회현면([[澮]]縣[[面]]) *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현내리(縣[[內]][[里]])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현북리(縣[[北]][[里]]) *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 현내리(縣[[內]][[里]])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보현리([[保]]縣[[里]]) * [[충청남도]] [[홍성군]] 홍동면 월현리([[月]]縣[[里]]) * [[충청북도]] [[단양군]] 어상천면 임현리([[任]]縣[[里]]) * [[충청북도]] [[옥천군]] 안내면 현리(縣[[里]]) * [[현내역]](縣[[內]][[驛]]) * [[현동역]](縣[[洞]][[驛]]) == 유의자 == * [[郡]](고을 군) * [[邑]](고을 읍) * [[州]](고을 주)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孫]](손자 손) * [[懸]](달 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