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멸흑발소녀''' {{{#gray {{{-2 제츠메츠쿠로카미쇼죠}}}}}} [include(틀:NMB48)] ||||||<:><#663300> '''[[NMB48|{{{#FFCC66 NMB48}}}]]'''{{{#FFCC66 '''의 싱글'''}}} || ||<:> NMB48 데뷔 ||<:> '''絶滅黒髪少女''' (2011) ||<:> [[オーマイガー!]] (2011)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D8D8D, #000000)" '''{{{#fff NMB48의 데뷔 싱글[br] ‘순정은 언제라도 목숨을 바칠 각오로.’}}}'''[br][[絶滅黒髪少女|[[파일:絶滅黒髪少女_LOGO.png|height=3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MB48_1st_T.jpg|width=100%]]}}} || ||<-2> {{{#white '''싱글 1집'''}}} || || {{{#white '''발매일'''}}}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2011년]] [[7월 20일]] || || {{{#white '''가수'''}}} || [include(틀:NMB48 로고)] || || {{{#white '''레이블'''}}}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ffffff; font-size: 0.7em" [[요시모토 흥업|{{{#000000 laugh out! records}}}]]}}} || || {{{#white '''수록곡'''}}} || 5곡 (반주 제외) || || {{{#white '''선발'''}}} || 16명 선발 || || {{{#white '''센터'''}}} || [[와타나베 미유키]] || || {{{#white '''표제곡'''}}}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lack; font-size: 0.8em" {{{#white '''絶滅黒髪少女'''}}}}}} || [목차] [CLEARFIX] == 개요 == * [[일본]]의 여성 아이돌 그룹 [[NMB48]]이 2011년 7월 20일 발매한 첫번째 싱글. * 캐치 카피는 '목숨과도 같은 흑발, 순정은 언제라도 목숨을 바칠 각오로.'[* 원문은 '黒髪命、清純はいつだって一生懸命。'이다.] == 자켓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D8D8D, #000000)" {{{+2 '''{{{#!html 絶滅黒髪少女 }}}'''}}} }}}|| ||<-2> {{{#FFFFFF '''아티스트 사진'''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MB48_1st_At.jpg|width=100%]]}}}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color: #454545" {{{#!wiki style="margin: 0px 10px; display:inline-block; color: #ffffff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자켓 보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MB48_1st_A.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MB48_1st_B.jpg|width=100%]]}}} || || {{{#FFFFFF '''Type-A''' }}} || {{{#fff '''Type-B'''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MB48_1st_T.jpg|width=100%]]}}} || ||<-2> {{{#FFFFFF '''극장반''' }}} || }}}}}}}}}}}}}}} || == 수록곡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D8D8D, #000000)" {{{#ffffff '''絶滅黒髪少女'''}}}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MB48_1st_A.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MB48_1st_B.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MB48_1st_T.jpg|width=100%]]}}} || || Type-A || Type-B || 극장반 || ||<#8D8D8D><-4> {{{#ffffff '''CD'''}}} || || 1 ||<-3> '''絶滅黒髪少女[br]절멸흑발소녀''' || || 2 ||<-2> 青春のラップタイム[br]청춘의 랩타임 || 僕が負けた夏[br]내가 패배한 여름 || || 3 || 僕が負けた夏[br]내가 패배한 여름 ||<-2> 待ってました、新学期[br]기다렸습니다, 신학기 || || 4 ||<-2> 絶滅黒髪少女[br](Off Vocal Ver.) || 三日月の背中[br]초승달의 뒤편 || || 5 ||<-2> 青春のラップタイム[br](Off Vocal Ver.) || 絶滅黒髪少女[br](Off Vocal Ver.) || || 6 || 僕が負けた夏[br](Off Vocal Ver.) || 待ってました、新学期[br](Off Vocal Ver.) || 僕が負けた夏[br](Off Vocal Ver.) || || 7 ||<|2><-2> || 待ってました、新学期[br](Off Vocal Ver.) || || 8 || 三日月の背中[br](Off Vocal Ver.) || ||<-3> {{{#ffffff '''DVD'''}}} ||<|4>|| || 1 ||<-2> 絶滅黒髪少女[br](Music Video) || || 2 ||<-2> 僕が負けた夏[br](Music Video) || || 3 || 특전영상「NMB48をダマしちゃいました。(1)」 || 특전영상「NMB48をダマしちゃいました。(2)」 || ||<-4> {{{#ffffff '''특전'''}}} || || 1 ||<-2> 전국 악수회 참가권 || 개별 악수회 참가권 || || 2 ||트레이딩 카드 타입A(16종 중 1종 랜덤) || 트레이딩 카드 타입B(16종 중 1종 랜덤) || || === 絶滅黒髪少女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D8D8D, #000000)" '''{{{#!html 絶滅黒髪少女 (절멸흑발소녀) / 선발 }}}''' }}}|| ||<#fff> {{{#!wiki style="background: #454545; border-radius : 5px ; display:inline-block ; color :#FFFFFF; font-style: normal ; width:45px ; text-align: center" {{{-1 '''센터'''}}} }}} [[와타나베 미유키]] || * 팀N: [[오가사와라 마유]], [[카도와키 카나코]], [[키시노 리카]], [[키노시타 하루나]], [[코타니 리호]], [[콘도 리나]], [[시노하라 칸나]], [[죠니시 케이]], [[시로마 미루]], [[후쿠모토 아이나]], [[마츠다 시오리]], [[야마구치 유키]], [[야마다 나나]], [[야마모토 사야카]], [[요시다 아카리]], [[와타나베 미유키]] 팀N 멤버 16인 전원 선발. 원래는 팀N의 멤버였던 [[모리 아야카]]가 선발 멤버일 예정이였지만 음반 발매 한달 전에 졸업 발표를 해서 이후 팀N에 승격하게 된 야마구치 유키가 선발 멤버로 발탁되었다. 모리가 졸업하기 전에 열린 [[AKB48/총선거/3회|AKB48 3회 총선거]]에서 선보인 절멸흑발소녀 무대에선 모리가 선발 멤버로 무대에 섰다. '검은 머리는 우리가 지켜나가야 할 일본의 혼'이라는 가사 내용이 참 재미있는데, [[아키모토 야스시]]가 검은 생머리에 [[성적 페티시즘|페티시]]가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도 든다. 가사 뿐만 아니라 곡 마지막에 [[도게자]]를 취하는 안무도 참신하다는 평을 받았다. 여러모로 48 그룹의 싱글 치고는 이색적인 작품. 한국 팬들의 반응은 매우 좋았다. 그런데 정작 현지 팬들에게는 그정도까지 사랑을 받지는 못하는 듯.[* 가사 때문이라는 평도 있다. 우리나라로 따지면 한국의 아름다움이란 가사가 계속 들어가는 셈인데 그때문에 유치하다는 평도 있다.] 2011년 리퀘스트 아워에서는 <[[オーマイガー!]]>에 밀리기도 하였다. 2016년 9월 19일, 미루키가 졸업한 이후 뮤직 스테이션에서 이곡을 불렀는데 사야네가 미루키 포지션을 맡고 기존 사야네 포지션을 미루룽이 맡았다. 사실 NMB뿐만 아니라 AKB 그룹, 지점 내에서도 투탑 라이벌 포지션이 있는 멤버들은 서로가 센터로 선 곡의 대타 센터를 맡는 경우는 없는데 꽤나 이례적인 일이다. 콘서트, 방송 등에서 이 곡을 부를때 반드시 흑발로 부른다. 갈색으로 염색한 멤버도 검은 가발을 쓴다던지, 아니면 검은 머리 멤버들로만 무대를 하는 등[* 2020년 12월 21일 [[요시다 아카리]]의 졸업공연에서는 이런 점에 구애받지 않고 그냥 불렀다. 아카리조차 갈색머리]. 2018년 11월 15일에 요미우리 TV의 베스트 히트 가요제에서 다시 선보였는데 졸업을 한 야마모토 사야카가 없는 상태에서 무대를 꾸몄다.[* 사야네가 없는 상태에서 이 노래를 부르는 것은 이번이 사상 최초라고 한다. 그래서인지 무대 시작전에 전임 캡틴인 야마모토 사야카의 영상 코멘트 후에 시작되었다.] 이때 센터는 캡틴직을 이어받은 코지마 카린이 섰으며 그 외에도 시로마 미루, 요시다 아카리, 시부야 나기사, 오오타 유우리, 무라세 사에등 19인이 무대에 올라갔다. 특이사항으로 니혼 테레비에서 2011년에 방영한 NMB48의 칸무리 프로그램인 나니와 나데시코의 초반 오프닝곡으로 쓰였다. (1화부터 9화까지.) ==== 뮤직 비디오 ==== ||
'''{{{#ffffff 絶滅黒髪少女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9x23NlSo7c,width=100%)]}}} || * 뮤직비디오 감독은 소설원작 영화인 [[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를 감독한 유키사다 이사오가 담당하였다. * 첫 부분에서 한 소녀가 그림자 실루엣으로 지나가는 장면이 보여지는데 이 사람이 바로 이번 센터의 주인공인 와타나베 미유키다. 추후 새로운 NMB48의 포문을 여는 싱글 <[[토코노마 정좌 아가씨]]> 뮤비에서 [[시로마 미루]]로 오마주된다. * 뮤비에서는 총 다섯명의 비중이 높은데 야마모토 사야카는 궁도, 와타나베 미유키는 서예, 야마다 나나는 아이키도 (합기도), 요시다 아카리는 검술 (거합), 오가사와라 마유는 다도 (전통 차)를 하는 모습이 보여진다. === 青春のラップタイ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D8D8D, #000000)" '''{{{#!html 青春のラップタイム (청춘의 랩타임) }}}''' }}}|| ||<#fff> {{{#!wiki style="background: #454545; border-radius : 5px ; display:inline-block ; color :#FFFFFF; font-style: normal ; width:45px ; text-align: center" {{{-1 '''센터'''}}} }}} [[야마모토 사야카]] || * 팀N: [[오가사와라 마유]], [[카도와키 카나코]], [[키시노 리카]], [[키노시타 하루나]], [[코타니 리호]], [[콘도 리나]], [[시노하라 칸나]], [[죠니시 케이]], [[시로마 미루]], [[후쿠모토 아이나]], [[마츠다 시오리]], [[야마구치 유키]], [[야마다 나나]], [[야마모토 사야카]], [[요시다 아카리]], [[와타나베 미유키]] 커플링인 <青春のラップタイム>은 NMB48 최초의 오리지널 곡으로 NMB48 팬들이 가장 아끼는 곡이다. --남바국가-- 역시 1기생 버프+NMB 특유의 활기찬 분위기 덕에 인기가 좋다. [[NMB48]]이 처음으로 출장한 [[AKB48/리퀘스트 아워/2012년|2012 리퀘아워]]에서는 절멸흑발소녀 바로 위인 23위를 받기도 했다. === 僕が負けた夏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D8D8D, #000000)" '''{{{#!html 僕が負けた夏 (내가 패배한 여름) / 백조}}}''' }}}|| ||<#fff> {{{#!wiki style="background: #454545; border-radius : 5px ; display:inline-block ; color :#FFFFFF; font-style: normal ; width:45px ; text-align: center" {{{-1 '''센터'''}}} }}} [[야마모토 사야카]] || * 팀N: [[오가사와라 마유]], [[키시노 리카]], [[키노시타 하루나]], [[코타니 리호]], [[시노하라 칸나]], [[후쿠모토 아이나]], [[야마다 나나]], [[야마모토 사야카]] ==== 뮤직 비디오 ==== ||
'''{{{#ffffff 僕が負けた夏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2m8-ck6ZqE,width=100%)]}}} || === 待ってました、新学期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D8D8D, #000000)" '''{{{#!html 待ってました、新学期 (기다렸습니다, 신학기) / 홍조 }}}''' }}}|| ||<#fff> {{{#!wiki style="background: #454545; border-radius : 5px ; display:inline-block ; color :#FFFFFF; font-style: normal ; width:45px ; text-align: center" {{{-1 '''센터'''}}} }}} [[와타나베 미유키]] || * 팀N: [[카도와키 카나코]], [[콘도 리나]], [[죠니시 케이]], [[시로마 미루]], [[마츠다 시오리]], [[야마구치 유키]], [[요시다 아카리]], [[와타나베 미유키]] ==== 뮤직 비디오 ==== ||
'''{{{#ffffff 待ってました、新学期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MXeVqA_mek,width=100%)]}}} || === 三日月の背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D8D8D, #000000)" '''{{{#!html 三日月の背中 (초승달의 뒤편) }}}''' }}}|| ||<#fff> {{{#!wiki style="background: #454545; border-radius : 5px ; display:inline-block ; color :#FFFFFF; font-style: normal ; width:45px ; text-align: center" {{{-1 '''센터'''}}} }}} [[와타나베 미유키]] || * 팀N: [[오가사와라 마유]], [[카도와키 카나코]], [[키시노 리카]], [[키노시타 하루나]], [[코타니 리호]], [[콘도 리나]], [[시노하라 칸나]], [[죠니시 케이]], [[시로마 미루]], [[후쿠모토 아이나]], [[마츠다 시오리]], [[야마구치 유키]], [[야마다 나나]], [[야마모토 사야카]], [[요시다 아카리]], [[와타나베 미유키]] * 연구생: 오오타 리오나, [[오키타 아야카]], [[카와카미 레나]], [[키노시타 모모카]], [[코야나기 아리사]], [[히카와 아야메]], [[야마기시 나츠미]] == 여담 == * '역대 최강의 기수'라고 불리는 NMB48 1기생들만이 참여한 싱글인데, 이 때만 해도 NMB48이 [[SKE48]]을 누르리라는 예상을 하는 이들도 있었다. 첫 주에만 21만 장을 판매하며 [[동방신기]]의 <[[Superstar(동방신기)|Superstar]]>를 누르고 오리콘 1위에 오르는 등 성과도 좋았다. * 참고로 절멸의 센터를 두고는 팬들 사이에서 갑론을박이 있는데 일단 센터는 [[와타나베 미유키]]라는 것이 정설이다.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야마모토 사야카]]와의 투톱 센터. 도입부에서는 와타나베가 맨 앞에 있고 뒤에 야마다-야마모토가 있지만, 첫 소절이 시작하고 나서는 와타나베-야마모토 투톱으로 포지션이 바뀐다. [[분류:NMB48/디스코그래피]][[분류:제목이 일본어인 문서]][[분류:2011년 싱글]][[분류:오리콘 싱글 차트 1위/2011년]][[분류:데뷔 싱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