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絆}}}얽어맬 반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糸|{{{#000,#fff 糸}}}]], 5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1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1급 한자|{{{#000,#fff 1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ハン, バン}}}}}}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きずな, つな-ぐ, ほだ-す}}}}}}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bà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絆은 ''''얽어맬 반''''이라는 [[한자]]로, '얽다', '[[굴레]]', '고삐', '멍에' 등 얽어매는 것들을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7D46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VFFQ(女火火手)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糸]](가는 실 멱)과 음을 나타내는 [[半]](반 반)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동문유해(同文類解, 1748)에서는 말을 얽매는 도구인 '지달'이라고 풀이하였다. [[한국어]]에서 자주 쓰이는 한자는 아니다. [[반창고]](絆瘡膏), [[각반]](脚絆) 정도. 그래서 그런진 몰라도 한국어 IME에서도 3쪽에 상당히 뒤에 있다. 한자 등급도 읽기 [[1급 한자]]/쓰기 [[특급 한자]]이다. [[일본어]]에서는 유대라는 의미로 きずな라고 [[훈독]]할 때 이 글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상당히 자주 쓰이는 편이다. 일본에서는 [[2011년]] [[올해의 한자]]로 선정되기도 했다.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동일본 대지진]]에서 도리어 유대감을 발견할 수 있었다는 취지에서였다. 굴레라는 의미로는 ほだし라고도 읽지만 [[상용한자표]] 범위 밖에 있다. [[한국어]]나 [[일본어]]에서는 주로 명사적으로 쓰이지만 [[중국어]]에서는 '얽다'와 같이 동사적으도 쓰인다. [[半]]이 포함된 글자가 모두 그렇듯 [[중국어]]/[[일본어]] 환경에서는 상단의 점이 八자에서 V자 모양으로 바뀐다. 중국어에서는 糸 때문에 간체자 자형이 따로 있는데, 간체자는 이미 '绊'로 半자의 자형이 V자로 구현되어있다. == 용례 == === [[단어]] === * [[반창고]](絆[[瘡]][[膏]]): 본래 [[고약]]을 붙이고서 떨어지지 않게 얽어맨다는 의미에서 만들어진 말이었지만 근래의 반창고는 스티커처럼 붙이는 방식이라 한자의 뜻과는 다소 달라졌다. 일본어로는 특이하게도 이 글자에서만은 ハン이 아닌 バン으로 읽어 バンソウコウ가 된다. * [[각반]]([[脚]]絆) === [[인명]] === * [[에다사키 반리]]([[枝]][[先]] 絆[[理]]) * [[이하라 한나]]([[猪]][[原]] 絆[[愛]]) * [[토모리 키즈나]]([[友]][[利]] 絆) === [[지명#s-2]] === === [[창작물]] === * [[絆Hero]] * [[絆、知りそめし季節]] * [[絆のポラリス]] * [[星々の絆]] * [[間違いじゃない 泣いたりしない / スキップ・スキップ・スキップ / 君と僕の絆 feat.KIKI]] * [[絆色のアンサンブル]]([[인연 빛깔 앙상블]]) * 일본의 메탈 밴드 [[GALNERYUS]]가 이 글자를 제목으로 하는 미니 앨범과 [[https://www.youtube.com/watch?v=tjafruFG-Yc|그 타이틀곡]]을 낸 일이 있다. * [[히프노시스 마이크 -Division Rap Battle- Rhyme Anima]] ED 絆(인연) * [[디지몬 어드벤처 라스트 에볼루션: 인연]] * [[絆ノ奇跡]] == 유의자 == * [[糾]](얽을 규, 얽힐 규) * [[紐]](맺을 뉴) * [[絡]](이을/얽을 락) * [[縛]](얽을 박) * [[束]](묶을 속) * [[纏]](얽을 전)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眫]](눈에 티가 들어갈 미) * [[𩢔]](가는 모양 반) * [[怑]](거스릴 반) * [[姅]](경도 반) * [[牉]](나눌 반) * [[䬳]](떡 반) * [[詊]](말 잘할 반) * [[冸]](물가 반) * [[㫠]](물 이름 반) * [[靽]](밀치끈 반) * [[畔]](밭두둑 반) * [[拌]](버릴 반) * [[跘]](비틀거릴 반) * [[胖]](살찔 반) * [[鉡]](삽 반) * [[䉽]](싸라기떡 반) * [[泮]](얼음풀릴/학교 반) * [[伴]](짝 반) * [[柈]](쟁반 반) * [[𥑍]](큰 돌 반) * [[坢]](편편할 반) * [[秚]](화합할 반) * [[袢]](속옷 번) * [[𠰢]] * [[𡶡]] * [[𢏑]] * [[𥘽]] * [[𧉻]] * [[𩶐]] == 여담 == * 2011년 [[올해의 한자]]로 선정되었다.[[https://www.kanken.or.jp/project/edification/years_kanji/2011.html|#]] [[올해의 한자#2011년]] 참고. [[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1급 한자]]